경제생활백서 -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선택한 당신을 위한 똑똑한 경제학
이경은 지음 / 비아북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은이가 처음에는 경제의 기자가 아니었는데, 일본에서 방을 세줘서 노후의 삶을 멋지게 살아가는  할아버지의 모습을 보고 경제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부자가 되려면  능력있는 부모를 만나든지 아님 로또에 당첨이 되던지 둘중에 해당이 되지 않으면 알뜰히 저금하여 목돈을 만들고 목돈을 재투자하여 불여 나가야 한다. 

우리나라도 부자의 대열에 들어가려면 살고 있는 집을 빼고 30억정도의 자산이 있어야 부자소리를 듣는다. 맨땅에서 30억을 벌려고 하면 정말 자린고비의 정신 그러니까 굴비를 천장에 매달아 놓고 한번씩 처다보면서 밥을 먹는 모습으로 살아야 하지 않을까요. 

그러나 부자가 되기 위해 너무 허리띠를 졸라매는 모습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한번뿐인 인생 현재의 삶도 중요하지 않을까요. 쥐뿔도 없으면서 호화스럽게 폼을 잡는것도 문제지만, 자기의 분수에 맞게 살면서 투자의 감각을 살려 노력하는 모습이 아름답게 보입니다. 

책속에 간단히 설명을 해 놓은 개그맨 팽현숙과 가수 방미의 임대사업에 대한 노력을 잘 표현 해 놓았다. 식당을 하면서 먹고 살 정도의 수입은 되지만, 거기에 안주하지 않고 늘 발품을 팔아 부동산의 시세를 꽤고 있다.  

돈이 생기면 달려가는 것이 아니라 돈이 없을 때도 사고 싶은 부동산을 눈여겨 봐 두었다가 돈이 준비되면 바로 구입을 하여 준비된 단체장의 선거 공약과 비슷하게 준비된 투자자라고 이야기를 하고 싶다.

탈렌트 전원주 할머니는 시집올때 가져온 살림살이를 아직까지 바꾸지 않고 사용을 하고 있다고 한다. 물론 통장도 30여개나 가지고 있으며 월말이 되면 이자 관리에 들어간다. 은행에 볼일이 없어도 가끔 들러 좋은 상품이 있는지 확인을 꼭한다. 

부자의 대열에 들어가려면 뭔가 남보다 다르게 행동으로 옮겨야 하며 인내와 노력이 필수로 동반되어져야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우리모두 한번 부자의 대열에 줄을 서보지 않으시렵니까 !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제생활백서 -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선택한 당신을 위한 똑똑한 경제학
이경은 지음 / 비아북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옛가수 방미의 "가시에 찔려야 장미꽃을 모은다" 의 글귀가 마음에 와 닿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인열전 - 장사를 잘하는 법, 한국을 뒤흔든 장사꾼 이야기
이수광 지음 / 진명출판사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 조선말기 부터 일제 강점기시대에 부를 축척하여 부자가 된사람의 사례를 잘 모아 놓았으며, 부자가 되기 위한 안내의 책이라고 평을 하고 싶다.  

"놀부보쌈" 의  김순진회장의 상호부터 특이하다. 흥부는 가난하여 밥을 굶주렸으나 놀부는 언제나 진수성찬으로 식사를 하였기에 김회장도 밥은 굶주림없이 먹을 수 있는 "놀부"로 택하였다고 했다.

조선말기나 일제강점기시대에 먹고 살기가 얼마나 힘이 들었는가 그 시기에 자수성가하여 성공한 사람들은 모두 현실의 삶에서는 더 이상 밥 먹기 힘이 든다고 생각하여 반전을 시도한 것이다. 

현대그룹의 고 정주영회장 가출을 한번도 아니고 4번이나 했다. 가출이 실패라고 하기엔 뭐하지만, 부를 찾기위해 비가오는 날도 쌀배달을 나가는 집념과 장부관리의 탁월한 능력으로 부자가 되기 위해 한단계 올라선다. 

책에 나오는 주인공들은 모두 변화에 두려워하지 않고 직접 몸으로 체험하며 남들이 보지 못한 세계를 접함으로서 돈을 모으며 조선시대 및 일제 강점기때 부자의 대열에 이름을 올린다. 

그 때의 할아버지 덕에 지금도  손자들이 우리나라의 이름있는 기업을 운영하며 잘 사는 후손들도 많이 있다. 

기업의 회장이나 부자의 소리를 듣는 사람들 중 자수성가한 사람이 80% 정도 되며 나머지는 할아버지 및 조상의 덕을 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느 쪽이든 자본주의에는 돈 있는 부자가 큰소리 치고 소외된 사람을 도울 수 있고  그런 사회다. 우리 모두 두가지 자수성가든 조상의 덕을 보던 꼭 성공한 사람이 되어 베풀며 사는 가정 및 사회로 만들어 가는 것이 진정한 삶의 목표가 아닐까요.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인열전 - 장사를 잘하는 법, 한국을 뒤흔든 장사꾼 이야기
이수광 지음 / 진명출판사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의 상인의 정신이 잘 나타나 있는 책으로 사업을 하는분께 권해드리고 싶은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환율 지식이 돈이다
송기균 지음 / 21세기북스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MB정부의 고환율정책 “ 

 2009년도 세계경제가 어려운 가운데 매출이 전년도대비 줄었지만, 환차익으로 수조원을 벌어들인 “삼성전자“ 그들이 벌어들인 돈이 과연 어디에서 나왔을까 ?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답은 바로 나온다.
수출해서 받은 달러를 원화를 바꾼것이다. 그런데 원화가 947원에서 1,276원으로 올라주니 땅짚고 헤엄을 쳤다고 표현을 해야 되나 ? 개콘의 봉숭아 학당에 나오는 누구의 이야기처럼 "참 미스테리하죠".  

강만수씨의 "고환율정책" -----> 삼성전자의 기하학적인 순익으로 임원들은 스톡옵션으로 주식을 팔아 수십억원을 챙길때 일반서민과 자영업자들의 눈에는 피눈물의 고통과 주름살이 늘어난정책이다.  

과연 환차익 329원은 누가 모은 돈인가 ? 모두 국민의 피와 땀으로 만들어낸 세금이다.
전년도 환율이 947원에서 1,000원정도 오르자 회심의 미소를 지었지만, 1,500원까지 치솟자 많이 당황했을 것 같다.  

 그렇게 대기업이 순익을 많이 챙겼을때는 재투자와 고용창출을 하여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않았다고 한다. 세계적인 불경기로 매출이 일어나지 않으니 공장증설이나 사람을 뽑는일은 없고 돈은 은행에 쌓아 두었다고 한다.

환율은 강제를 막는 것이 아니라 시장원리에 맡겨야 하지 않을까요. 환율에 관심이 있으신분들은 한번 구독하시면 도움이 되리라 믿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