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보는 난중일기 완역본 - 한산·명량·노량 해전지와 함께
이순신 지음, 노승석 옮김 / 도서출판 여해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시절 방학숙제로 하던 일기는 밀려있는 날씨칸에 어떻게 채워 넣을지에 대한 걱정이 앞서던 기억이 우선적으로 남아있습니다. 매일 맑음이라고 적을 수도 없고 그렇다고 언제 비가 왔는지, 흐렸는지는 기억에 없고 말이죠. 어른이 되어 다이어리를 내 돈으로 사서 적기 시작하면서도 단 한 번도 끝까지 채워본 적이 없었고, 일기라는 것이 매일 나만의 기록이라는 걸 알고, 길지 않은 글이어도 된다는 것까지 알고 나서도 왠지 쓰기 어려웠던 것은 의무감이 먼저 들어서였을까요?

이순신 하면 자동적으로 떠오르는 것들이 몇 가지 있잖아요.

거북선, 난중일기, 해상대전 등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일기를 썼다는 것 그 자체에 성실과 근면 100점 만점을 주고 싶은 건 온전히 나라는 인간이 그렇지 못하기에 그걸 해낸 사람에 대한 제 기준이 지나치게 높은 점도 있어서일 것이란 생각도 들어요. 그런데 왜 저는 난중일기를 읽어보잔 생각을 한 번도 해보지 못했던 것일까요? 위인의 일기라 재미없을 것이라 지레짐작한 것은 아니었을까?(크게 아니라고는 못하겠습니다. 크음)

아들과 명량 대전은 함께 보지 못했지만 올해 개봉한 한산은 여름방학 때 함께 볼 수 있었는데요.

거북선의 등장과, 일본과 우리나라의 대격전을 보며 가슴 벅참을 느꼈는지 이런저런 질문을 하는 아들에게 제대로 된 대답을 하나도 해줄 수 없는 제가 너무 초라한 겁니다.

"엄마는 이순신 장군님 잘 몰라?"라고 묻는데... 선뜻 대답을 못하겠는데 순간 머리가 하얗게 되더라고요. 명량 대전 영화가 먼저 나와서 그 전쟁이 먼저였는지 알았다고, 그런데 왜 이순신이 더 나이 먹었었지?라고 아들에게 되물을 수는 없었기에 더더욱 책을 펼쳐들 수밖에 없었습니다.

책 속에 많은 사진과 설명들도 함께 들어있어요. 그래서 아들과 함께 사진도 보고 여기서 어떤 해전이 일어났는지 이야기도 나눠보고 실물 난중일기는 어떻게 생겼는지 이야기도 나눠볼 수 있었답니다. 사진을 보더니 이순신 장군 묘에 직접 가봐야 한다고 떼를 써서 한참을 애먹었네요^^

그리고 대부분의 초등학교에 이순신 장군님 동상이 있잖아요. 그런데 아들이 보기에 그 동상의 키가 무척 작아 보였나 봐요. 자꾸 이순신 장군님 키가 작았냐고 물어보는데 알 수가 없어서...

키가 작아도 장군님 할 수 있냐고도 물어보고, 그래도 나쁜 놈들하고 다 싸워서 이길 수 있냐고도 묻고 궁금증 투성이라 한참 아들과 실랑이했답니다.

청소년 필독서인 난중일기를 성인이 된 지금에서야 읽어보면서 알고 느끼게 된 이야기들이 많습니다. 위인이라며 멀게만 느끼던 이순신 장군이 좀 더 사람 같아 느껴지는 것도 있었고요. 나랏밥 먹던 사람이라 공무를 보거나 제사가 있던 날에는 출근을 하지 않았던 일이라든지 대첩에 대한 이야기가 쓰여있는 일기들을 볼 때는 괜히 뭉클해지기도 했습니다.

난중일기가 2013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고 세계 역사상 어디에도 최고 지휘관이 전쟁에 직접 참여해서 일기를 쓴 것은 최초라고 합니다. 지원받아서 읽게 되었는데 정말 적극 추천합니다. 나라가 어지럽고 세상이 시끄러운 시기인 만큼 조용히 앉아 이 책 한 권 읽어보는 것도 좋을 거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