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을유세계문학전집 105
알베르 카뮈 지음, 김진하 옮김 / 을유문화사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에서 가장 큰 스트레스를 주는 일이 가족의 죽음이라고 어떤 글에서 본 기억이 난다.

그리고 결혼이나 배우자의 외도 같은 경험도 죽음 못지않은 스트레스를 주고 삶의 변화를 가져다주는 요인이라고 하는 내용의 글이었는데 카뮈의 이방인 속의 주인공 '뫼르소'는 그런 경험과 스트레스에 왠지 초연해 보이는 인물인 듯 보였다.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일지도 모르겠다.]

로 이 책 [이방인]은 시작하는데, 어머니의 장례를 위해 찾아간 양로원에서 신랄하게 그리고 아무렇지도 않다는 듯 뫼르소를 비판하는 원장과, 대단치 않다는 듯 현실을 받아들이는 그의 담담한 반응이 오히려 너무 슬프다. 어머니의 마지막 모습도 보지 않겠다 하고 그냥 그 시간을 버티는 듯 보이는 그가 자신의 삶에서 마저 철저한 이방인의 모습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머니의 몇 안 되는 지인들이 커피를 마셔가며 기침과 가래가 들끓는 불편한 밤샘을 함께하는데 그들의 친밀감이 오히려 왠지 피곤하다.

 



사장에게 모친의 죽음이 내 잘못이 아니라 말하고 휴가를 받던, 장례를 끝내고 집에 가서 잘 수 있어 기쁘다는 뫼르소의 마음이 너무 적나라하게 표현되어서 나는 오히려 불쾌하지 않았다. 어머니의 장례를 어제 치렀지만 여자에게 욕망하는 그가, 일상으로 돌아옴에 있어 아무렇지 않은 그가 슬픔을 온몸으로 티 내는 이들보다 더 텅 비어 보이는 건 왜일까?

엄마가 돌아가셨는데도 마른 수건과 초록빛 하늘에 만족감을 느끼고 변한 게 없이 일상은 똑같이 돌아가고 뫼르소는 열심히 일을 한다. 사장에게 파리행과 마리에게 결혼을 제안받지만 뭔가 이 남자 굉장히 의욕이 없다.

이 책은 뫼르소가 아랍인을 살해하기 전과 후로 1,2부가 나뉘는데 살인에 대한 이야기도 크지만 나는 뫼르소 그에게 더 집중해서 읽었다. 사랑하지 않는데 결혼은 하겠다거나, 죽음에 초연한 듯했지만 그의 내면 깊숙한 곳엔 어머니의 죽음이 똬리 틀고 자리 잡고 있었던 것이라든지, 사랑과 욕구를 별개로 생각하는 듯하다가도 분노를 표출할 줄도 알았던 뫼르소의 모습에 말이다.


살인의 동기가 햇빛 때문이라고 말하거나, 어떤 변명도 하지 않고 자신의 삶을 다시 살 기회를 포기해버리는 그가 가장 인간적인 모습을 보였던 건 그나마 신부에게 목이 터져라 소리 지르는 모습이었지 않나 싶다.

인생의 가치를 찾지 못하고 허무주의적인 태도를 고수하는 뫼르소는 카뮈 자신의 모습이 투영된 것이 아니었을까?

다 읽고 난 후 왠지 책장 속 카뮈의 책을 모두 찾아 다시 읽어보고 싶어졌다. 이해도나 느낌의 강도가 예전과는 많이 달라졌을 테니까 말이다. 그의 글을 모두 읽었던 이들이라도 다시 한번 재독을 추천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