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보는 하이데거
한상연 지음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르틴 하이데거는 실존주의 철학의 대표자로 그의 사상은 전, 후기로 나뉘는데 저서 [존재와 시간]은 그의 전기 사상을 대표한다.

난해하기로 유명한 그의 사상을 이 책 [그림으로 보는 하이데거]를 통해 좀 더 편하게 다가가보려 한다.

생생한 체험적 현실의 진실만을 추구하라!

글쓴이의 말로 시작하는 책의 첫 부분에서 작가는 왜 이 책이 기획되었는지 하이데거의 철학이란 어떤 것인지 최대한 쉽게 설명해 주려 한다. 철학을 어려워하고 잘 알지 못하는 나 같은 사람들이 하이데거의 철학을 그림과 같은 예술작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석해 볼 수 있도록 기회를 준 것이다. 그래서인지 작가는 이 책을 하이데거 철학의 입문서이자 결코 입문서만은 아니라고 말한다.

어렵다. 난해하다. 무슨 말이지? 처음 들어보는 단어 같기만 한 철학적 용어들도 그렇게 느끼게 만든다.

실제로 철학도들도 하이데거의 이론을 어려워한다고 하니 말 다 했다. 난해하고 어렵지만 새롭고 기존의 전통적인 철학과는 다르다. 모호한 것 같다고 느끼지만 모호하지 않고 이 논리가 맞는 건가 싶지만 비논리적이다.

작가는 앙리 루소, 구스타프 클림트, 에곤 실레,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파블로 피카소, 피터르 브뤼헐, 빈센트 반 고흐까지 총 7명의 화가와 그의 작품들을 통해 하이데거의 철학을 설명해 준다.

하이데거의 진리, 죽음의 선 구성, 세계, 도구, 홀로-있음, 함께-있음, 일상세계, 알레테이아 개념과 화가들의 각 회화 스타일들을 짝을 지어 설명하고 그림을 통해 하이데거의 사상을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야기한다.

매장 시작 첫 페이지에는 QR코드가 있어 찍어보면 네이버 지식백과로 연결되어 예술가들의 삶과 작품을 더욱 자세히 알 수 있도록 돕는다.

[진리는 존재 자체의 탈은폐이기도 하고 은폐이기도 하다.]

무슨 소리지? 한참 동안 머리를 굴렸었다. 이해가 되고는 있는 것인가 싶어 혼란스러웠다.

나의 뇌는 벌써 용량을 초과했고 끼익 끼익 소리를 내며 힘들어하고 있었다. 그래도 내 머릿속 뇌의 존재를 깨닫게 되어 '이 녀석 살아있었구나' 생각하게 되었다고나 할까? 뭔가 오랜만에 머리를 쓰고 있는 나를 발견하게 된다.




​에곤 실레의 삶과 그의 작품을 철학적 개념과 시선으로 풀어보니 또 다른 느낌이다.

누이동생을 사랑했던 에곤 실레의 평탄하지 않은 삶이야 익히 알고 있었고 그의 작품들도 자주 봤었는데 뭔가 새로웠다.

연인의 두 몸이 엉켜있는 모양과 색채 등에서 삶과 죽음을 대하는 에곤 실레의 내면의 표현을 조금을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그의 그림에서 보이는 죽은 피부 같은 색표현으로 인해 이상하게 희망이나 사랑 같은 감정보다 허망함과 죽음과 참혹함과 공포들이 더 느껴진다. 하이데거의 개념으로 봤을 때 에곤 실레의 세계는 무덤이었던 것일까? 존재자인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세계에서 에곤 실레의 삶은 진정 안온했을까? 철학을 공부하고 시선을 바꿔 명화를 바라보니 그림이 다르게 다가온다. 게다가 뭔가 하이데거의 개념도 조금씩 쉽게 이해가 되려고 한다. 작가가 원하는 방향을 내가 잘 따라가고 있는듯해서 읽는 내내 괜히 뿌듯하다.

호불호가 갈리는 철학자인 하이데거가 사상사에 큰 흔적을 남겼다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형이상학을 설명할 때 제일 익숙한 질문은 [나는 누구인가]인데, 무척 쉬운 질문처럼 느껴지지만 이처럼 답을 내기 어려운 질문도 없다.

이 책에서 설명하는 형이상학이란 나와 현상적 존재자 사이의 근원적 통일성에 대한 망각의 표현이다.

좀 더 풀어 설명하면 내가 보는 빨간 꽃을 나는 나와 다른 개별적인 것이라 착각한다는 것인데 하이데거는 이런 형이상학을 비판하였지만 완벽하게 벗어나진 못했다고 한다. [ 존재와 시간]이라는 하이데거의 저서도 한번 읽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읽으며 들었던 생각 중 하나가 실존하는 관계에서의 인간의 본질이 무엇인가라는 의문이었다.

솔직히 어렵다. 인간이라는 존재를 증명하고 이론화하는 철학자들의 말이 어렵고 이해가 안 되지만 계속 읽다 보니 (정말 그런 것 같다)라는 생각도 들고 뭔가 빠져드는 느낌이다. 말장난인듯한데 묘하게 설득된다.

찾아보니 이 전 책으로 [그림으로 보는 니체]가 있었고 앞으로 들뢰즈, 푸코, 사르트르도 계속 발간될 예정이라고 하는데 이건 무조건 모두 소장각이란 생각이 뇌리를 빠지직~ 하고 스친다. ​명화를 보는 눈을 높이는 데 있어 철학이 큰 부분을 차지하지 않을까?

같은 그림을 보더라도 철학적 사고를 장착하고 보는 그림은 그 의미와 시선이 달라진다는 것을 이 책을 보며 다시 한번 느끼게 된다.

끙끙거리고 생각하고 고민해가며 읽어서 더없이 즐거웠던 책 [그림으로 보는 하이데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