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내가 사는 게 재미있는 이유 - 30년간 정신과 의사로 일하고 15년간 파킨슨병을 앓으며 비로소 깨달은 인생의 지혜 42
김혜남 지음 / 갤리온 / 201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지난달 김혜남 선생님의 신간 소식을 듣고 얼마나 기뻤는지!

<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 <심리학이 서른 살에게 답하다> 시리즈로 처음 알게 된 김혜남 선생님 책이라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당장 사서 애독 애독했는데. '진짜 오랜만에 뵙는다. 그동안 뭘 하며 지내셨을까?' 한 걸음에 달려가 새 책 구경을 하다가 얼마나 심쿵했는지 모르겠다. 이렇게 사람 좋아 보이는 김혜남 선생님이 파킨슨병을 앓고 계셨다니? 그것도 15년간? 도대체 어떻게 된 일인지? 너무 깜짝 놀랐고 안타까워서 이 책을 어떻게 읽어야 하나? 읽기 전부터 걱정이었는데. 너무나 잘 이겨내고 계시고, 너무나 멋진 태도로 남은 삶을 재미있게 채우고 계시는 모습 보면서 하루를 게으름과 무의미로 날려 버리고 있는 나는 어찌나 반성이 되던지..

 

 

 

김혜남 선생님 책 읽을 때마다 늘 그랬지만 이번에는 더- 어마무시하게 포스트잇 플래그를 붙이며 열심히 읽었는데..

이 책 이야기를 하려면 우선, 파킨슨병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 할 듯. 

 

 

파킨슨병은 도파민이라는 신경 전달 물질을 생산하는 뇌 조직의 손상으로 인해 손발이 떨리고, 근육이 뻣뻣해지며, 몸이 굳고, 행동이 느려지고, 말소리가 잘 나오지 않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신경 퇴행성 질환이다. 보통 65세 이후 나타나는 노인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요한 바오로 2세, 무하마드 알리, 로빈 윌리엄스도 이 병을 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마흔세 살에 파킨슨병이라니, 너무 잔인하지 않은가. 게다가 파킨슨병은 우울증과 치매, 편집증(피해망상)이라는 끔찍한 증상을 동반하는데 나에게 그런 시련이 닥쳤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았다. 가장 끔찍한 사실은 파킨슨병은 아직까지 딱히 치료법이 없어 희귀성 질환으로 분류되며 발병하고 15~17년 정도 지나면 사망이나 심각한 장애가 나타난다는 것이었다. 그것은 곧 내 인생이 60세 전에 끝난다는 것을 의미했다.

♣ 오늘 내가 사는게 재미있는 이유 - 김혜남 :p 17~18

 

 

대충 이름은 알고 있는 질병이었지만 43살에 김혜남 선생님이 파킨슨 병 진단을 받으셨다니 더군다나 직업이 의사이신데? 선생님과 아무 상관없는 내가 보기에도 너무 어처구니없어 말이 안 나오는 상황인데 본인은 오죽하셨을까?

 

 

4월 중순에 다 읽은 이 책을 단지 여운만이 아닌 나만의 리뷰로 남겨 놓고 싶어서 다시 들춰 보는데. 다시 보니 더더욱! 한 페이지 한 페이지가 애틋하게 와 닿는다. 이건 보통의 땀과 눈물로 쓰여진 책이 아니라 병환 중에 쓰신 책이라 그 한마디 한 마디가 더더욱 크고 선명하게 와서 박힌다. 앞으로는 자기계발서 대신 이 책을 채찍으로 삼아야겠다는 생각마저 든다. 특히 입에서 나도 모르게 '어휴~ 사는 게 왜 이렇게 재미없지?' 소리가 튀어나올 때 김혜남 선생님의 <오늘 내가 사는 게 재미있는 이유>를 반사적으로 펼쳐 읽어보면 어떨까?

 

 

 ▥ 밑줄 그은 문장들 ▥

 

단점을 애써 고치려 하지 말고 그냥 장점에 집중할 것

파킨슨병에 걸리고 나서 나는 집을 지고 다니는 달팽이가 된 기분이었다. 내 몸이 집이고 내 머리가 이걸 끌고 가는데, 옛날에는 머리에서 명령을 내리면 몸이 알아서 착착 움직인 반면 지금은 쉽게 움직이지 않는다. 집을 끌고 가기가 여간 어렵지 않은 것이다. 내 경우 오른쪽 다리가 먼저 약해지기 시작해 그 다리를 끌게 되었는데, 어떻게든 오른쪽 다리에 힘을 주고 움직여 보려고 해도 꿈쩍하지 않았다. 대신 튼튼한 왼쪽 다리에 힘을 줘서 움직이면 오른쪽 다리도 같이 따라갔다. 그때 새삼 깨달았다. 힘이 남아 있는 강한 쪽을 더욱 강화시켜서 움직이면 약한 쪽은 따라가는데, 약한 쪽에 포커스를 두고 움직이려고 하면 죽어도 안 움직인다. 즉 약한 부분인 단점을 고치려고 애쓰는 것보다 오히려 강한 부분인 장점에 집중해 그것을 강화시키는 게 낫다. 못하는 것을 잘하려고 하면 낭비되는 에너지가 너무 많다. 그러니 단점은 그냥 두고 그 시간에 장점을 더 키워 나가면 많은 걸 얻을 수 있다. 뛰어난 장점이 단점을 커버해 버리는 것이다. 그러면 단점 때문에 더 이상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수 있고, 남들이 그 단점을 공격해도 끄떡하지 않을 수 있다. 탁월하게 잘하는 게 있는데 뭐가 두렵겠는가. 그래서 약한 부분을 두려워하지 않고 드러낼 수 있는 사람이 진정 강한 사람이라고들 하는 것이다.
♣ 오늘 내가 사는게 재미있는 이유 - 김혜남 :p 44~45

 

 

사람들이 나의 병에 대해 알고 나면 어쩔 줄을 몰라 한다. 어떻게 위로해야 좋을지 모르겠다는 표정이 역력하다. 그럴 때마다 나는 먼저 웃으며 그런다. “제가요, 옛날에는 가진 거라곤 돈하고 미모밖에 없었거든요. 근데 나이가 드니까 병하고 빚밖에 안 남았어요.” 그러면 사람들이 심각한 표정을 풀고 나를 대하는 걸 불편해하지 않는다. 내가 파킨슨병을 앓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나는 병자다’라며 늘 우울하게 살기는 싫다. 그래서 음식값을 계산할 때도 그런다. “제가 다리가 불편하니까 제일 좋은 게 뭔지 아세요?” 음식값을 안 내요. 제가 계산대에 도착하면 사람들이 이미 다 계산한 뒤더라고요. 근데 오늘은 제가 살 기회를 주시면 안 될까요?” 그런데 참 신기한 게 그렇게 유머를 던지고 나면 내 병이 가볍게 느껴져서 기분이 좋아진다. 유머가 병의 무게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 오늘 내가 사는게 재미있는 이유 - 김혜남 :p 48

 

모든 게 재미없다고 말하는 당신, 혹시 꿈꾸기를 멈추어 버린 것은 아닐까? 남이 뭐라하든 정말 하고 싶고 이루고 싶은 꿈이 없어서 삶이 지루한 게 아닐까? 지금 당장 이루지 못할 꿈이라고 냉큼 포기해 버리지 말고, 그 꿈을 간직하고 이루기 위해 애써 보면 어떨까?
꿈을 꾸게 되면 뇌의 기능은 꿈을 이루기 위한 회로로 집중된다. 따라서 이 부분의 뇌가 활성화되고 발달하게 된다. 그러면 실패를 하더라도 배우고 일어설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뇌의 회로가 온통 꿈을 달성하기 위한 문제 해결에 집중되어 있어 실패를 해도 뇌가 좌절과 수치심을 극복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꿈은 이루어진다’는 말은 과학적으로 일리 있는 말이다. 간절히 원하면 이루어진다는 말이 괜한 미신이 아닌 것이다.

♣ 오늘 내가 사는게 재미있는 이유 - 김혜남 :p 127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15-05-05 17: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파킨슨병 앓는 중에 집필했다는 것만으로도 숙연해지네요. 밝게 쓰신 것 같아요. 읽고싶어집니다.
직접 찍으신 책 사진‥맘에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