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공포 비채 모던 앤 클래식 문학 Modern & Classic
에리카 종 지음, 이진 옮김 / 비채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치광이로 판정되버린 첫 남편 브라이언, 미성숙하고 불결한 지휘자 찰리, 정신과 의사 두번째 남편 베넷, 어느날 욕망의 대상이 되는 맨스플레이너 에이드리언.

한 여자의 사랑의 궤적을 따라 가다 보면, 이 여자는 어쩔 수 없는 사랑 지상주의자 처럼 보인다.
상대방의 자아를 북돋워주는 역할에 몰두하다 문득 돌아보면 ‘아, 나는 사회복지사인가’ 싶은 한숨을 쉬게 되는 사랑중독자.
나를 지우고 사랑에 헌신하는 일이 더 이상 유용한 무엇이 아니라는 걸 깨닫지만, 그래도 어쩔 수 없는 원점이 되고 마는 사람.

하지만 우습게도 사랑에 목매는 주인공 이사도라는 냉소가 가득한 사람이다. 사랑에 열렬히 빠져든 순간 조차 매력적인 냉소가 빛나는 지성을 가진 사람, 그래서 어쩔 수 없이 한심하고, 사랑스러운 사람.
도발적으로 세상의 시선에 고개를 쳐들어도, 결국 그 자신의 내면의 변화 이외에 무엇을 기대할 수 있을까 고뇌하는 여자.

이 자전적 소설이 1970년대에 발표되었고, 소설의 배경은 50년대이다.

프로이트를 대놓고 비웃지만 프로이트상을 받았다는 점은 전후라는 그 시대의 전복적 시각이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결코 채워지지 않는 갈망덩어리 화자가 말하는, 결혼, 임신과 출산이라는 것, 다채로운 인종들과 새로운 가족을 이루는 유대인 이라는 정체성의 전복같은 것 말이다.
얼핏 콩가루 집안 처럼 보이는 이사도라의 가족들의 존재가 그녀의 정신적이고 학문적인 자양분이 되었음을 보여준다.

에이드리언과 유랑하는 생활을( 그의 표현을 빌면 분노의 포도의 유랑민처럼) 하면서 툭하면 그들이 길을 잃는 설정은 맹목에 대해 에둘러 가르쳐주는 것 같았다.

회상과 현재를 반복하고, 갈팡질팡하고 목적지 없이 흘러가는 듯한 이야기는 결국 “여성”이라는 단어를 남기는 모래글자놀이 같다.


나는 결혼 자체를 반대하는 사람은 아니었다. 사실 나는 결혼의 의미를 믿었다. 적개심으로 불타는 이 험한 세상을 살아가려면 한 명의 단짝 친구 정도는 둘 필요가 있다. 무슨 일이 있어도 내가 저버리지 않을 한 사람, 무슨 일이 있어도 나를 저버리지 않을 한 사람. 그러나 결혼 생활이 나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할 때 고개드는 이 갈망은 어쩌란 말인가? - 27

나는 나 자신의 배신을 경멸하고 나 자신을 경멸한다. 나는 이미 주정을 저질렀고 단시 소심해서 실행에 옮기지 못한 것뿐이다. 덕분에 나는 부정한 여자이자 소심한 여자가 되었다. 만약 에이드리언과 실제로 섹스를 했다면 부정한 여자로 끝났을 것을. - 76

문제는 결혼이 ‘도대체 어디서부터 잘못된 건가?’가 아니라, ‘언제 한번이라도 옳았던가?’이다. - 153

그러나 누가 억압되었는가? 피아와 나는 ‘자유로운 여성’이었다.(따옴표가 없으면 아무 의미도 없는 말이다.) 피아는 화가였고 나는 작가였다. 우리 삶에는 남자 외에도 무언가가 있었다. 우리에겐 일이 있었고 여행이 있었고 친구가 있었다. 그런데 왜 우리 삶은 남자를 향해 부르는 서글픈 노래의 연속이어야 하는가? 왜 우리 삶은 남자 사냥으로 전락했는가? 진정으로 자유로운 여자는 어디에 있는가? 이 남자에서 저 남자로 전전하지 않는 여자, 남자가 있건 없건 완전함을 느끼는 여자는 어디에 있는가? 왜 매번 미덥지 않은 남자들에게 도움을 청하는가? 보라. 시몬 드 보부아르조차 ‘사르트르는 어떻게 생각할까’를 항상 염두에 두지 않았던가? 릴리언 헬먼은 대시엘 해밋이 그녀를 사랑해주기를 원했기에 남자가 되고 싶어했다. 그리고 도리스 레싱의 <황금 노트>의 여자 주인공 애나 울프는 지극히 드문 경우지만 사랑에 빠져 있지 않으면 극치감을 느끼지 못했다. 그 외의 여성 작가들, 여성 화가들 대부분은 수줍었고 위축되었으며 정신분열증을 앓았다. 삶에 있어서는 소심했고 오직 예술 세계에서만 대범했다. 에밀리 디킨슨이 그랬고 브론테 자매가 그랬으며 버지니아 울프가 그랬고 카슨 매컬러스가 그랬다. 플래너리 오코너는 공작새를 키우며 엄마와 살았다. 실비아 플라스는 오븐에 머리를 처박고 죽어서 전설이 되었다. 조지아 오키프 만이 사막에 홀로 남았고 진정한 생존자였다. 참으로 대단한 집단 아닌가. 그들은 자신에게 혹독했고 자살했으며 기이했다. 여성 초서는 어디에 있었던가? 음액과 기쁨과 사랑과 재능을 모두 지닌 열정적인 여자는 정녕 한 명도 없는가? 누구를 본보기 삼아야 하는가? 풍성하게 머리를 부풀린 콜레트? 거의 알려진 바가 없는 사포? ‘나는 굶주리고 또한 갈망한다’라고. 내가 어설프게 번역한 문장 속에서 그녀가 말한다. 우리가 숭배하는 모든 여성들은 노처녀이거나 자살했다. 과연 그게 우리가 가야할 길인가? - 192

그래서 나는 남자에게서 여자를 배웠다. 나는 남성 작가의 눈으로 여성을 보았다. 물론 나는 그들을 남성 작가들로 여기지 않았다. 그들을 작가로, 권위자로, 신처럼 모든 걸 알고 있는자, 완전히 신뢰할 수 있는 대상으로 여겼다. 당연히 나는 그들이 말하는 모든 걸 믿었다. 비록 그게 나의 열등함을 의미할지라도. - 293

다른 사람은 결코 나를 완성하지 못한다. 우리 자신이 우리를 완성하는 것이다. 우리가 스스로 완성할 힘이 없을 때, 사랑을 찾는 건 자살행위이다. 그럴 때 우리는 자기 희생이 곧 사랑이라고 스스로를 설득한다. - 553

19세기 소설은 결혼으로 끝난다. 20세기 소설은 이혼으로 끝난다. 그 외에 다른 결말도 가능할까? 나는 고지식한 나 자신을 비웃었다. - 569

2018. ma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