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詩누이
싱고 지음 / 창비 / 2017년 6월
평점 :
한때는 시인이 되고 싶어서 시를 많이 읽은 적이 있다. 시인이 되려면(=등단을 하려면) 시를 ‘잘’ 써야 하는데, 잘 쓰려면 우선 시를 많이 읽어야 한다는 조언을 여러 경로로 접했다. 그러다 보니 다른 사람들, 그러니까 고등학교 졸업을 기점으로 시 읽기에서 손을 떼는 보통의 사람들과는 달라야 하지 않겠는가, 라고 은연중에 생각했었다. 앞 문장을 ‘생각했었다’라고 끝맺은 이유는, 생각만 야심차게 하고 생각만큼 많이 읽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덕분에 집에는 사 두고 읽지 않은 시집만 많다. 어쨌든.
‘시인 되기’에 대한 미련이야 아직 남았는지 모르겠지만, 예전보다, 그러니까 남들보다 시를 많이 읽는다고 자부하던 시절보다는 확실히 시를 덜 보는 요즘이다. 그렇다고 시에 대한 감각이 아예 제로베이스로 돌아갔느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생활이 목표하는 바가 단순해지다 보니 단순한 사고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졌고, 시 읽기가 그 경향에 맞지 않는다고 설명하는 것이 낫겠다.
그러니까, 예전에 시를 조금 읽긴 읽었지만 지금은 어느 정도 시와 거리를 두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는 초심자를 위한 시‘선’집도, 눈 밝은 시 마니아를 위한 시집이나 시 ‘전’집도 애매하기만 하다. 초심자와 마니아의 경계를 왔다 갔다 하는 나 같은 독자에게 다시 시 읽기의 즐거움을 매개해 줄 책이-찾아보면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지금까지는 없었다.
『詩누이』의 저자는 시인이다. 시인은 아무래도 시와 친연한 사람. 시를 보는 안목이 빤하지는 않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시와 너무 친연하고 익숙한 나머지 시가 막연히 어렵고 낯선 사람들에게 어떤 고난이도의 ‘과제’를 던져주는 것은 아닐까 하는 우려도 가질 수 있다(“어때요. 참 쉽죠?”). 시의 목록을 찬찬히 보았다. 앞의 기대가 틀리지 않았다는 것과 뒤의 우려가 현실화되지 않았다는 것을 ‘느낌적으로’ 느낄 수 있다.
‘느낌적으로’라는 말은 중요하다. 학교에서는 언어와 사물이 일대일로 대응된다고 가르친다. 그러나 사람의 감정과 사람의 일, 세계에서 목격하는 사물과 현상들을 ‘정확하게’ 가리키는 언어를 현실에서 단박에 찾아본 일은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그렇게 많지 않을 것이다. 원래 세계는 복잡하다. 그리고 우리는 늘 그 복잡함에 어울리는 언어를 찾지 못해 주저하기 마련이다. 그저 ‘느낌’으로 우리 주위의 감정과 일과 사물과 현상을 파악할 뿐이다. 그 주저하는 가운데, 언어의 첨단을 탐색하는 시도가 있다. 그것이 바로 시(詩)다. 그래서 시의 언어는 ‘느낌적’이다. 어떠한 ‘느낌’을 가져다준다.
『詩누이』의 그림은 시의 이러한 ‘느낌적’인 성격과 어울린다. 시와 최소한의 연결 고리를 가지고 풀어가는 에피소드도 있고, 시의 구절을 이미지화한 에피소드도 있고, 시의 이미지를 고유한 서사로 변주하는 에피소드도 있다. 이들 그림-이야기는 시의 해석을 직접적으로 제시하지 않는다. 중고등학생 시절에 받았던 시 교육을 생각해 볼 때 시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단서가 그림 안에 숨어 있을 것도 같지만, 그런 것 없다. 이 포근한 만화는 우리로 하여금 시를 더 잘 ‘느끼게끔’ 해 주는 역할을 할 따름이다.
책 띠지에 있는 ‘토닥토닥’이라는 단어가 나로 하여금 이 책의 성격을 오해하게 할 뻔했다(띠지에 있는 원문은 다음과 같다: 시로 ‘마음의 온도’를 맞춰주는 싱고의 ‘토닥토닥’ 웹툰 에세이). 그러니까, 섣불리 자신과 독자를 위로하려 하는, ‘힐링’ 계열의 책으로 잠깐 생각했었다는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내 생각이 짧았다. 시는 아무 것도 단정하지 않는다. 앞서 나는 이 책의 그림(자꾸 그림이라고 부르게 되는데, 저자님께 양해를!)이 시의 성격과 어울린다고 했는데, 단일한 해석을 내리거나 섣부른 답을 보여주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책의 그림과 시는 닮아 있다. 그러므로 또한 어울린다.
“이 책에서 봤던 시와 그림이 떠오른다면, 그것대로 보람”일 것이라는 저자는 마음껏 보람을 느껴도 좋을 것 같다. 나만 하더라도, 이 책의 그림에서 보았던 차분한 유머에 피식거렸던 순간, 시와 그림의 절묘한 컬래버레이션에 나지막이 감탄을 내뱉던 순간을 잊지 못할 것이다.
책의 유일한 결점(?)이라면, 제목이 가져다줄지도 모르는 어떠한 ‘느낌’. 짐작건대, 대다수의 기혼 여성들에게 ‘시’자가 앞에 붙은 존재들은 마냥 편한 느낌을 가져다주지는 않을 것이다. 시어머니, 시아버지, 시댁, 시누이 등등……. 부디 그러한 ‘느낌’ 때문에 이 책이 일부 독자들에게 부수적인 외면을 당하는 것은 아닌지, 객쩍은 생각을 해 본다. 이런 시누이라면, 시를 즐거이 나눌 수 있는 누이-언니라면 나로서는 언제나 환영이다.
ps. 글의 제목은 블리자드 사의 게임 ‘오버워치(Overwatch)’ 등장 영웅 중 한 명인 트레이서(Tracer)의 대사("새로운 영웅은 언제나 환영이야!")를 변용했다.
*본 서평은 ‘<詩누이> 사전 서평단’ 활동으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