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생이 생긴 너에게 - 2019 아침독서신문 선정, 2018 서울시교육청도서관 여름방학권장도서 추천, 동원책꾸러기 선정 ㅣ 바람그림책 65
카사이 신페이 지음, 이세 히데코 그림, 황진희 옮김 / 천개의바람 / 2018년 1월
평점 :
육 남매로 자라면서 가장 큰 바람은, 외동으로 살면서 부모님의 사랑을 독차지하는 것이었다. 물론 어릴 때 얘기다. 쓸데없는 바람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아마도, 외동인 친구들이 가지는 오롯이 자기만의 그것들이 부러웠나 보다. 물려 입는 게 아니라 무조건 새것으로 사서 입고, 형제자매와 나누는 게 아니라 처음부터 자기만의 그것으로 가지는 것들의 많은 양을 부러워했던 거다. 나 혼자만 있다면 나누는 게 아니라 형제자매들에게 가야 할 것들까지 내 몫으로 올 수 있다는 계산이었던 것. 말하면서 보니 우습기만 하다. 그냥 나에게는 처음부터 내 몫의 적당량이 있었던 것일지도 모르는데 말이다. ^^
나의 조카들을 볼 때도 그렇고 친구의 아이들을 볼 때도 그렇더라. 둘째 아이가 태어났을 때 첫째 아이가 겪는 은근한 외로움, 질투, 시기 같은 감정이 있더라는 것. 막연하게 둘째를 질투할 것이라는 추측이 아니라 눈앞에서 첫째 아이의 투정이나 행동을 보고 나니 더 분명한 현상이었다. 아이 육아에 있어서 둘째 아이의 태어남으로 첫째 아이가 겪는 감정의 변화를 유심히 봐야 할 필요가 있는 듯하다. 어른의 눈으로 보이는 아이의 단순한 행동이 아니라, 아이의 그 마음을 읽고 확인하면서 나누어야 하는 일이었던 거다. 이 그림책에서 보이는 준이의 모습도 그러하다. 준이의 겉모습이 아니라, 준이가 동생과 가족들을 바라보는 마음을 읽는 일이 먼저였다.


있잖아, 나 형아가 됐어.
그런데 참 이상해.
다들 자고, 안기기만 하는 동생이 예쁘대.
엄마를 차지하고 내 인형까지 넘보는데
나보고만 양보하래.
이제 모두 나보다 동생이 소중한 걸까?
준이에게 동생이 생겼다. 조그맣고, 아직 말도 못 하고, 혼자 움직이지도 못하고, 분유를 먹여줘야만 하는 아이. 혼자 할 줄 아는 건 아무것도 없는데 어른들의 사랑을 독차지하는 게 아이러니다. 원래 어른들이 예뻐하고 사랑하는 건 준이였는데, 준이에게 동생이 생긴다는 예고와 동시에 준이는 더는 아이가 아닌 게 되어버린 것 같다. 동생을 뱃속에 품고 있는 엄마가 힘들까 봐 엄마의 일을 도와주고, 무거운 것도 들어주는 준이였는데, 동생이 태어나면서 뭔가 조금 바뀐 것만 같다. 동생이 생겨서 기쁘고, 어른들이 더 많이 웃고 행복해하는 게 좋은데, 뭔가 조금 서운한 이 마음은 뭘까?
형제가 생긴다는 일의 시작을 알리는 듯한 이야기다. ^^ 우리 모두 이런 시작과 과정을 거쳐 또 다른 가족을 만나고 형제애를 배운다. 함께여서 더 든든하고 고마운 일들을 겪어갈 테지만, 아직 그 과정을 거치지 못한 준이에게 동생의 등장은 낯설고 소외감 느끼게 하는 경우가 많다. 이건 동화 속의 이야기여서가 아니라, 현실 속 우리가 겪는 이야기이기에 더 가까이 다가가서 보게 한다. 아이에게는 동생을 바라보는 시선과 조금씩 배우며 성장하는 시간을 갖게 하고, 부모와 다른 어른들에게는 둘째가 생긴 첫째에게 어떤 마음으로 다가가야 하는지 보게 한다. 무조건 ‘너는 형아니까 양보하고 배려하고 참는’ 게 아니라, 같은 시간을 겪으면서 보게 되는 가족의 일부분임을 받아들이게 하는 일. 말로 하니까 쉬운 것 같지만 감정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부분까지 이해하려면 좀 난해하고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직접 겪고 보면 더 애틋해지고 아껴주는 마음이 피어나는 일이기도 하다.

준이에게는 하늘이라는 코끼리 인형이 있다. 어른들의 관심 밖(?)으로 밀려났다고 생각하는 준이에게 하늘이는 준이의 마음을 말할 수 있는 유일한 상대가 된다. 원래도 아끼던 인형이었지만, 동생이 태어나면서 준이는 하늘이와 보내는 시간이 많아진다. 준이가 느끼는 불안하고 서운하고 속상한 마음을 하늘이에게 털어놓는다. 동병상련? 이심전심? 후후~ 준이는 오래된 사진첩에서 하늘이의 역사를 알게 된다. 하늘이는 엄마의 인형이었고, 엄마가 어른이 되고 준이가 태어나면서 준이의 인형이 된 거였다. 준이에게는 새로운 친구가 생긴 일이지만, 엄마에게는 소중한 친구를 잃은 거나 마찬가지. 하지만 하늘이가 준이의 단짝이 되었다고 해서 엄마가 서운하고 속상했을까? 아니다. 엄마는 자신의 소중한 인형이 준이에게도 똑같이 소중한 존재가 되어가는 것을 보고 행복하지 않았을까?
동생이 생긴 아이의 마음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동생이 생긴 아이에게 동생의 존재를 어떻게 이해시켜야 하는지 고민이 되는 부모님에게 안성맞춤인 그림책이다. 뭔가를 알려주고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요하는 가르침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이해하게 되는 순간을 보면서 부모와 아이가 동반 성장하는 느낌이다. 부모에게는 동생이 생긴 아이의 마음을 아는 일, 아이에게는 동생이 생긴다는 게 가족 모두에게 어떤 마음인지 아는 일을 동시에 이뤄낸다. 엄마에게 소중한 인형 하늘이가 준이에게 오고, 준이가 모든 마음을 나누었던 친구 하늘이가 동생에게 건네지면서 끊어지지 않는 다리 하나가 계속 연결되어있는 듯하다. 엄마와의 시간이 줄어들었다는 게 사랑과 관심의 단절은 아니라는 것, 소중함이 사라지는 게 아니라는 것을 그대로 보여준다.


읽다 보니, 괜히 예전 생각이 나서, 나도 모르게 순간 어린 마음이 되어버렸다. 우리는 왜 이렇게 형제가 많은 거냐고, 투덜투덜, 나도 외동딸이었으면 좋겠다고, 투덜투덜, 부모님의 관심과 사랑을 독점하고 싶다고, 투덜투덜... 외동이 아니어서 싫다는 이유를 끊임없이 나열하며 불평불만을 쏟아내던 어린 시절을 떠올렸다. 아마도 준이가 동생의 등장으로 처음 느꼈을 감정들을 나는 많은 형제로 오랜 시간 반복해서 겪었기 때문이 아닐까 싶지만, 그것도 시간이 흐르니까 둔해지고 다르게 다가오긴 하더라. 가끔은 그 형제들 때문에 힘든 일도 생기지만, 형제들 때문에 안심하고 든든해지는 일들이 더 많아지는 걸 보면, 외동이 아니어서 생기는 불만스러움은 어린 시절 한때의 투정으로 멈춰있기 마련인가 보다 ^^
예쁜 그림과 아름다운 마음이 그대로 묻어나는 책이다. 아이가 부모의 마음을 배우고 부모가 아이의 마음 다치지 않게 가르치는 일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거기에, 단순히 가르치고 배우는 행위가 아니라 마음이 오가는 감정의 문제까지 아우르기에 충분한 이야기가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