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남 오빠에게 - 페미니즘 소설 다산책방 테마소설
조남주 외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소설로 만나는 여성의 삶을 볼 때마다, 세상은 이렇게 발전되고 변해가는데 왜 여성을 바라보는 시선을 잘 변하지 않을까 싶을 때가 있다. 물론 그 시선을 보내는 사람마다 다른 가치관이 있겠지만, 내가 살면서 만나는 대부분의 시선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어제 만난, 어떤 남자 어른과 이야기를 하면서도 그랬다. 겉으로는 '어디서 그런 고릿적 사고방식을 들이대느냐?' 라며 웃으면서 에둘러 말했지만, 사실 속으로는 왜 세상과 여자를 대하는 방식이 저렇게 자리 잡았을까 하는 의문뿐이었다. 인간 대 인간으로 보는 것보다, 인간과 여자를 구분하여 인지하는 경우를 겪으면서, 도대체 무슨 이야기로 그 시각을 좁혀야 할까 하는 걱정이 들기도 했다. 하루아침에 바뀔 방식들은 아니겠지만, 조금만 더 들여다보고 확인하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아 가는데 참 시간이 많이 필요할 듯하다.

 

일곱 명의 작가가 뭉친 이 소설집은 그러한 변화의 시도에 한발 들여놓는 문을 열어준다. 이야기와 문장으로 미처 다 표현하지 못했던 속내의 답답함을 풀어준다. 소설에서 만나는 여성의 삶을 적나라하게 들추면서, 때로는 SF적인 분위기로 강한 여자의 이미지를 찾아내면서 고정관념처럼 박힌 여성의 존재를 새로 쓰려 애쓴다. 특히 첫 번째 이야기로 등장하면서 이 소설집의 표제작인 조남주의 「현남 오빠에게」는 10년을 만난 남자친구에게 길들듯 살아온 여자의 깨달음이 인상적이다. 믿고 의지하는, 마음을 나눈다고 여겼던 대상이라고 믿었던 남자 친구의 태도를 제대로 보기 시작한 거다. 편지로 전하는 진심과 솔직함으로 잘 몰라서 끌려가는 게 옳다고 믿었던 시간을 끝낸다. 세상을 당당하게 바라보는 눈을 뜨는데 10년이라는 시간이 걸렸지만, 나는 이 여자가 지나간 10년보다 앞으로의 남은 시간이 더 빛날 거라는 걸 안다. 10년이란 수업료를 톡톡하게 치러냄으로써 인생이 더 단단해지고 자존감 있는 인간으로 살아낼 것이라는 걸.

 

오빠가 아무것도 할 줄 모르는 나를 돌봐줬던 게 아니라 나를 아무것도 할 줄 모르는 사람으로 만들었더라. 사람 하나 바보 만들면서 마음대로 휘두르니까 좋았니? 청혼해줘서 고마워. 덕분에 이제라도 깨달았거든, 강현남. 이 개자식아! (38페이지 「현남 오빠에게」)

 

그리고 이어지는 최은영의 「당신의 평화」와 김이설의 「경년(更年」에서는 '엄마'라는 자리에서의 삶을 이야기한다. 무시당하고 살았던 지난 시간의 고충을 딸에게 토로하고, 아들의 결혼을 두고 아들 가진 자의 당당함을 내세우려 하는 엄마의 모습. 또 아들의 성적인 문제에 관대한 남편과 주변의 말에 불편함을 느끼지만, 선뜻 나서서 상대 여자아이들의 입장까지 파악하지 못하는 엄마의 불안함을 드러낸다. 본인들도 여자이면서, 여자로 살면서 당해온 부조리하고 불평등한 시선과 태도를 견뎌왔으면서, 정작 그런 문제들에 내가 피해자가 되지 않으면 안으로 감싸 안는 자세를 취하는 게 옳은 것처럼 여기는 분위기들. 아들이니까 당연히, 남자라서 다행인 일들이라고 들어왔던 이야기가 스스럼없이 쏟아진다.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살아온 우리가 익숙하고 당연하게 보아왔던 가치관을 머릿속에 심어놓고 그대로 행하면서 사는 시간을 눈으로 확인한다. 그러다가 문득 이런 공포가 찾아든다. '이렇게 살아도 되는 건가?'

 

그가 말했던 현명한 아내, 현명한 어머니란 무슨 의미였을까. 참고 참고 또 참는 사람, 남자가 하는 일에 토를 달지 않는 사람, 남자와 아이들에게 궁극의 편안함을 제공하는 사람. 자기 욕구를 헐어 남의 욕구를 채워주는 사람. 자기주장이 없거나 약하므로 갈들을 일으킬 일도 없는 사람…… 그가 '현명함'이라는 말을 입에 올릴 때마다 유진은 거부감을 느꼈다. (51페이지 「당신의 평화」)

 

"세훈이가 아니라 세은이한테 벌어진 일이라면? 세은이가 스트레스를 풀겠다고 남자애들이랑 그런 짓을 하고 다녔다면? 그때도 당신은 공부 잘하는 애가 그랬으니 괜찮다 할 거야?"

"어디 끔찍하게 세은이한테 갖다붙여! 여자랑 남자랑 같아?"

"다를 게 뭐 있어?"

"어깃장 부리지 마. 계집애가 무슨. 여자들은 태생저으로 그런 짓 안 해."

"세훈이랑 한 애들은?"

"그것들이 미친년이지. 세운이 때 남자애들은 여자라면 정신 못 차리니까 어떻게든 몸으로 꼬셔보려고. 그럼 내가 가마니 안 두지. 우리 애 공부 방해한 것들이면 가만두면 안 된다고. 싸가지 없는 년들. 어린것들이 발랑 까져서 밝히기나 하고."

싸가지 없이 밝힌 건 그 여자애들이 아니라 아들아이가 아닌가. 그러나 나는 입을 다물었다. 나 또한 아들아이가 그런 아이라고 인정하기 싫었던 것이다. (97페이지 「경년(更年」)

 

조금은 다른 분위기로 여성의 존재를 이야기하는 최정화의 「모든 것을 제자리에」, 손보미의 「이방인」, 구병모의 「하르피아이와 축제의 밤」과 김성중의 「화성의 아이」 역시 다른 세상 속 여성을 보는 듯한 분위기다. 고정관념처럼 여겨지던 여성 직업의 다양성을 부각하고 여성 살해의 역사를 남자가 경험하게 하면서, 임신한 여성의 존재가 출산을 이루는 과정에서 함께한 사람들의 존재를 따뜻함으로 언급한다. 앞서 나열된 소설들과는 다르게 마지막 소설이 주는 분위기는 사뭇 다른데, 이러한 배열은 이 소설집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흐름을 같이 하는 게 아닐까 싶다. 편 가르기나 싸우자는 이야기가 아니다. 어떠한 존재이든, 같이하면서 따뜻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고 싶었던 듯하다. 화성으로 보내져 유일하게 살아남은, 서로 다른 역할의 존재들이었지만, 한 생명의 탄생을 함께 하면서 같은 순간을 살아가는 존재들로 인식하면 되는 일로...

 

나는 이 모든 풍경에, 익숙한 이미지와 친구들로 이루어진 내 둥지에 와락 안심이 된다. 그러자 너로 인해 발생한 나의 말, 다정한 말을 아이에게 건네고 싶어진다.

"나는 온 우주에서 오직 너만을 걱정한단다. 얘야. 모든 별들은 어머니이고 우리는 춥지 않단다." (271페이지 「화성의 아이」)

 

언젠가부터 나도 모르게 '제가 페미니스트는 아니지만...'이라는 단서를 붙여 말하는 경우가 늘었다. 페미니즘의 정확한 의미를 설명하기에는 내가 아는 게 많지 않고, 페미니스트라고 주장하기에는 나의 의지가 강하지 않아서일지도 모른다. 다만, 우리 살아가는 세상에서 보게 되는 차별과 이해 못 할 태도들에 관해 '그건 아니다'라고 말하는 경우가 늘었다. 특히 가까이에 있는 사람에게서 들리는 말이 불편하다고 여길 때 더 자주 말한다. 엄마나 주변의 다른 연장자들(이들 대부분은 남자인 경우가 많았다)이 하는 말에, '지금 하는 말이 옳지 않으며, 당신의 아내와 딸이 살아갈 세상이라고 생각하면 뭔가 다르게 여기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품으면서 말이다.

 

이 소설집이 전하는 게, 단순하게 가부장제를 비난하고, 차별받으며 살아온 여자의 시간이 결혼으로 더 많은 차별을 유발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건 아니다. 두려워서 주저앉았던 순간들을 변화시키면서, 이야기의 중심에 나 자신이 설 수 있는 인생을 만들 여성을 생각하게 한다. 다른 누군가가 아닌 자기 자신이 삶의 주체가 되길 바라면서 말이다. 다양한 소재로 현실과 미래를 넘나들며 인간다운 행복을 추구하게 하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