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읽어 씨 가족과 책 요리점 초승달문고 42
김유 지음, 유경화 그림 / 문학동네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어떻게 읽어야 맛있는지 그대로 보여주는 이야기다. ^^ 책이라는 게 그냥 읽으면 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읽어보니 알겠더라. 페이지가 잘 넘어가지 않는 책을 읽고 있는 게 고문이라고. 생각해 보니 맞는 말이다. 책이 재미없다면 읽기 싫은 게 당연한 거 아닌가? 그런데도 굳이 읽어야 할 때가 있고, 읽기 싫다 보니 자꾸 멀어지는 속도가 빠른 것도 책이더라는... 안읽어 씨 가족의 책 맛집 탐방기가 우리 모두의 입맛을 만족하게 하는 맛있는 책으로 거듭날지어다.

 

안읽어 씨 가족은 모두 네 명이다. 안읽어 씨, 산만해 여사, 안봄, 개 왈왈 씨.

안읽어 씨는 폼 나는 책을 좋아한다. 책을 절대 읽지는 않는다. 남들 앞에서 폼 나 보이는 책을 손에 들고 지하철을 탄다. 거실의 책장에도 폼 나는 책으로 채웠다. 산만해 여사는 한 가지 일을 끝까지 한 적이 없다. 산만해서 말이다. 안봄은 떼쓰면서 자기주장을 내세운다. 이 집에서 가장 어른은 개 왈왈 씨다.

 

 

안읽어 씨 가족은 책을 좋아한다. 정말 좋아한다. 안읽어 씨는 책을 운동기구로 이용한다. 산만해 여사는 책을 냄비 받침으로, 높은 곳의 물건을 꺼낼 때도 사용한다. 안봄은 책을 장난감으로 여기고 논다. 왈왈 씨에게 책은 밥그릇이 되기도 한다. 안읽어 씨 가족에게 책은 너무 좋아하는 대상이지만, 읽지는 않는다는 게 반전이다. 책을 엄청 좋아하지만, 절대 읽지 않는다. 가끔 새 책이 필요하면 주문도 한다. 그런데도 읽지 않는다. 책을 읽지 않는, 오직 그들만의 방식을 책을 좋아하는 거다. 그러던 이 가족에게 갑자기 나타난 ‘맛있는 책 요리점’으로 가는 약도는 신비한 모험을 만든다. 안봄의 학교 숙제 때문에 등장한 이 책은 안읽어 씨 가족에게 맛있는 책 요리점으로 인도하는 네비게이션이 된 거다!

 

‘맛있는 책 요리점’으로 가는 길은 험난했다. ‘맛있는 책 요리점’을 사칭한 듯한, ‘거만한 책 요리점’에 갔다가 화나는 맛을 경험했다. 뭐 그리 거부하는 사항이 많은 요리점인지, 다시는 가지 않으리. 이름도 지워진 ‘XX 요리점’에서는 먹은 책은 헷갈리는 맛이었다. 지워진 간판 일부분처럼 뭔가 알쏭달쏭 알 수 없는 맛이었다. 그다음 찾아간 곳은 정말 이름값을 하더라. ‘맛없는 책 요리점’에서는 아주 끔찍한 맛을 보았다. 도대체 ‘맛있는 책 요리점’이 있기는 한 걸까? 분명 주소 그대로 갔는데 왜 보이지 않는 거지? ‘책도시 책마을로 99’ 맞잖아? 도대체 ‘맛있는 책 요리점’은 어디 있는 거야?

 

어찌어찌, 보물섬 찾아가듯 헤매다 보니 드디어 도착했다. 맛있는 책 요리점! 와우~ 여기는 메뉴판부터 다르다. 발효 종이를 층층이 쌓은 책, 무지갯빛 그림을 곁들인 책, 오븐에 구운 사진 책, 문장 사이에 꿀을 바른 책, 숫자 소스를 듬뿍 올린 책, 바삭하게 튀긴 글자 책, 낱말 새싹을 버무린 책. 메뉴만 봐도 뭔가, 어디선가 맛있는 냄새가 스멀스멀 피어오르는 것 같잖아. 식당 입구부터 분위기가 다르더라고. 사람들이 북적북적, 겨우 한 자리 남은 곳에 안읽어 씨 가족이 앉게 되었지. 그리고 책 요리의 다양한 맛의 세계로 풍덩 빠져버린 거야. 게다가 마구 편식해도 된다잖아! 이렇게 자유로운 요리점이 있다니, 지상 천국이로구나.

 

쌀로 만든 종이에 유기농 식용 잉크로 글자와 그림을 인쇄하고, 옥수수수염으로 종이를 묶어 만든 건강한 책 요리를 비롯해서 이제까지 책에서 보지 못한 맛이 수두룩했다. 아니, 이런 책 요리점이 이제 알았다는 게 뭔가, 뭔가 많이 억울해! 이제라도 다 먹어보고 말테야! 편식이 웬 말인가! 이 기회에 편식 습관을 없애버리고 말 테다.

 

이 이야기의 핵심은 이 부분인데, 맛있는 책 요리점에서 화장실에 갔던 안봄이 길을 잃어서 가게 된 곳이, 맛있는 책 요리점의 주방이었다. 사방이 책으로 둘러싸인 방에서 하얀 모자를 쓴 요리사들이 바쁘게 움직이면서 하는 말이, 책 만드는 일을 대하는 자세를 알려주었다고 해야 할까.

“오늘 들어온 이야기가 싱싱하지 못해요. 다시 보내달라고 해야겠어요.”

“배꼽 빠지게 재미있는 이야기는 언제 들어오죠?”

“따뜻한 이야기가 더 필요해요.”

요리사들의 대화가 이어졌습니다. (103페이지)

책을 요리하는 것을 처음 본 안봄은 신기했다. 여기서 이어지는 요리점의 고양이 할아버지(아마도 매니저쯤?)의 말이 책에 관한 기본을 말해준다.

“모든 일이 그렇겠지만, 책 한 권을 요리할 때도 많은 사람이 힘을 합쳐야 한단다. 그래야 맛있는 책이 될 수 있지.”

“맛있는 책은 어떤 건데요?”

안봄이 되물었습니다.

“음, 우선 재료가 좋아야겠지. 파릇파릇 신선한 이야기나 깊은 맛이 나는 이야기처럼 좋은 재료에 만드는 사람들의 정성이 더해진다면, 맛있는 책이 탄생하지 않을까?”(106페이지)

 

 

한 권의 책이 어떻게 탄생하는지 보게 된 안봄은 책을 대하는 태도가 완전히 바뀌었다. 누구라도 그러지 않을까? 좋은 소재에서 신선한 이야기가 만들어진다는 기대. 책과 관련한 많은 사람이 정성을 다해 이루어놓은 책의 탄생.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책 만드는 과정이 좀 더 흥미롭고 재밌게 재탄생한 이야기다. 두껍고 어려워서 읽기 싫지만 어디 놓아두면 폼 나는 책이 아니라, 저절로 펼쳐보고 싶어지게 하는 책을 만나는 길을 열어주는 여정이었다. 그동안 안읽어 씨네 이야기를 듣고 보면 이건 기적이라고 해도 좋을 것 같다. 책을 읽는 게 아니라 일상생활의 도구쯤으로 활용했던 이 가족이 진정으로 책을 좋아하는 계기가 된 거니까. 무엇보다, 그저 취향대로 주문했을 뿐인데 자기 입맛에 맞게 나온 책 요리들로 책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열린 것이다. 책만 보면 답답하고, 독후감 숙제라도 해야 하니 억지로 펼치고, 이런 것은 좀 읽어야 한다면서 권하는 책을 눈앞에 두고 한숨만 푹푹 쉬어지는 어린이들에게, 스스로 책 세상에 뛰어들 수 있는 메뉴로 가득한 책 요리점이었으니!

 

이 가족이 책을 대했던 자세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였을지도 모른다. ^^ 허세 부리며 책을 장식으로 활용했던 안읽어 씨, 산만해 여사의 산만함으로 가방으로 변신한 듯한 책 디자인, 남의 독후감을 짜깁기해서 겨우 제출한 숙제를 읽지도 못하는 두통을 일으키는 안봄, 왈왈 씨가 핥아 대서 표지가 지워지는 지워지기까지 하는 책은 더는 볼 수 없다. (냄비 받침으로는 이용해봤어도 개 밥그릇으로는 사용해 본 적이 없어서 놀라웠지만... ^^) 책을 이루는 재료들이 어떻게 어우러져서 태어나는지, 어린이의 시선에서 재밌게 엮어 놨다. 안읽어 씨 가족이 각자 주문한 책으로 자기 입맛을 찾을 것처럼 책에서 찾는 다양한 맛이 누구에게나 찾아들 수 있다는 의미를 가득 담은 이야기다. 재밌고, 맛있고, 달콤하고, 고소하고, 새콤하고... 더 다양한 맛을 즐기고 찾는 그 날까지, 계속 책맛에 빠져들어 맛있게 꼭꼭 씹어 먹을 수 있기를.

 

 

오늘 안읽어 씨는 정말 재미있는 책을 가지고 지하철을 탔고, 산만해 여사는 요리책을 보고 요리를 하고, 안봄은 책이 얼마나 맛있는지 확인하려고 책을 씹어 먹고, 왈왈 씨는 다 먹을 밥이 아쉬운지 여전히 책을 핥아먹고 있다. 이 정도면 책을 충분히 즐기는 거 아닌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