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3년 정도 신경과 진료를 받고 있다. 그전 병원에서 증상에 대한 원인을 찾지 못했던 것을 지금 다니는 병원에서 찾아주고 꾸준히 진료해주고 있다. 근처 대학병원과 연계한 병원이라 여기서 안 되면 소견서 가지고 대학병원으로 가려고 했는데, 다행스럽게도 잘 진료 받고 있고 큰 문제 없이 다니고 있다. 특별한 일이 없으면 두 달에 한 번 정도 가고 있는데, 처방받는 약이 크게 변하지 않는다. 거의 같은 증상으로 찾아가니 그 증상을 해결하는 약도 그리 많이 달라질 게 없겠지.

 

이번에는 두 달을 채우지 못하고 진료를 받으러 갔다. 진료실에 들어서고 선생님이 환자에게 하는, 늘 반복되는 질문이 계속됐다. 요즘 어떻게 지내시는지, 상태는 어떠한지, 잠은 잘 주무시는지... 늘 그렇듯 나오는 대답도 똑같다. 요즘 이러한 생활을 하고 있다면서 크게 변함없는 일상을 얘기했다. 선생님에게 시시콜콜한 사생활을 언급한 적은 없다. 대부분 두루뭉술하게 ‘이렇다’라고 얘기해왔을 뿐이다. 그런데 이번에는 선생님이 좀 더 질문을 늘린다. ‘이렇다’라고 말하니 구체적으로 어떤 상황인지 하나하나 차근차근 묻는다. 신경 쓰고 있는, 고통스러운 그 문제가 해결이 될 일인지 물으면서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과 답이 이어졌다.

 

처음이다. 3년 동안 마주한 그 선생님과 이런 이야기까지 하게 된 것은. 이런 이야기를 주고받을 거라고 한 번도 예상한 적도 없다. 정신과 진료도 아닌데 이 선생님과 이런 내용의 이야기를 주고받을지 몰랐다. 어차피 환자는 엄마이고, 나는 보호자라는 이름으로 같은 진료실에 동행했을 뿐이다. 점점 얘기가 길어지자 선생님은 나를 향해 묻기도 하고 내 대답에 고개를 끄덕이기도 했다. 늘 그랬다. 이번에 다른 점은 좀 더 사적인 이야기가 깊어지고,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이 길어졌다는 것뿐이다. 선생님이 하는 말도 평소보다 많아졌다. 한 번도 듣지 못했던 말을 계속했다. 환자는 엄마인데, 선생님과 얘기를 주고받으면서 나도 모르게 펑펑 울고 있었다. 그러면서 평소 누구에게도 하지 못하고 엄마하고만 공유했던 이야기를 꺼냈다. 나는, 지금 내가 하는 이야기는 그 누구도 알 수 없고 이해할 수 없을 거라고 말했다. 지금 이런 생각을 하는 내가 비정상인데 누구에게 말을 할 수 있겠느냐며 따져 물었다. 이건 분명 잘못된 거잖아요, 누구라도 욕할 만한 생각인 거잖아요, 저는 지금 정말 그렇게 하고 싶거든요, 그것 말고는 할 수 있는 생각이 없거든요? 잠도 잘 자고 싶어요, 웃고 싶어요, 밥도 맛있게 먹어보고 싶어요. 무엇보다, 행복해지고 싶어요. 그 행복이란 게 가능해지려면 가장 먼저 해결되어야 할 문제가 바로 그거거든요. 그런데 해결되지 않을 거거든요. 간절하게 바라게 되는 일이 되어버렸어요. 그런데 말이에요. 누구도 그런 소원을 바라는 사람이 없을 거잖아요. 그래서 제가 비정상인 거잖아요...

 

한참을 들으며 중간에 한 번씩 대꾸하던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다.

 

“정상입니다.”

 

“어떻게 이게 정상일 수가 있어요. 누가 봐도 저를 욕할 일인데요? 이런 마음을 욕하고 벌을 주려고 할 텐데요.”

 

“그게 정상입니다. 그런 상황에 그런 마음 드는 게 지극히 정상입니다.”

 

“정말요?”

 

“네. 맞아요.”

 

“정말요?”

 

“네. 걱정하지 마세요. 그게 정상인 거니까요.”

 

계속 의심하면서, 끊임없이 물으며, 같은 질문을 반복했다. 정상이라는 말이 믿어지지 않아서...

 

하아... 또 한 번 통곡하듯 울고 말았다. 이런 비정상이 있을 수 있나 싶게 생각했던 게 정상이란다. 그게 맞댄다. 그러니 염려 말라고 한다. 그런 마음이 들면 드는 대로 괜찮은 거란다. 좀 더 시간이 흐르고 나중에 이러이러한 마음이 들게 될 텐데, 그것마저도 거부할 수 없을 거라고 한다. 그리고 그다음에는 또 이러이러한 마음이 들게 될 거라고. 그게 순서이고, 거부할 수 없고, 그런 시간을 맞이해야 한다고. 의학적으로도 그렇고, 오랜 시간 많은 환자와 가족들을 보면서 확인한 결과, 열이면 열 모두 그러하다고. 경험에서 나온 말이고, 정신적으로도 그럴 수밖에 없는 일일 것이니 그것마저 받아들여야 한다고 했다. 나는 그런 마음을 갖는 게 너무 싫다고 했는데, 그것도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했다. 싫다고, 거부한다고 해서 그런 마음이 찾아오지 않는 건 아니라고... 그러니 그때가 되면 그 마음을 받아들이고, 지금은 또 지금의 마음을 받아들이는 게 덜 불행해지는 방법이라고 했다.

 

 

 

 

 

 

 

 

 

선생님 말씀으로는, 불화가 생기는 이유는 상대에게 바라는 게 있어서, 라고 했다. 상대에게 무심하고 아무 상관도 없을 거라면 불화가 생길 이유가 없다고. 상대와의 관계를 유지하고, 더 좋은 관계가 되고 싶어서 상대에게 자꾸 바라는 게 생기는 거라면서. 그게 채워지지 못할 때 불화가 생기고, 고통의 시간이 이어지며, 상처로 깊숙하게 남는다고 했다. 그 말을 들으면 계속 생각했다. 지금 나를 고통스럽게 하는 그 상대에게 나는 좋은 관계를 만들고 싶은 의지가 있었나? 전혀 없다. 칼처럼 잘라내고 끊어내고 싶었지, 어떤 관계가 되고 싶지도 않고 끊어내고 싶은 이 관계를 유지하고 싶은 마음도 없다. 그러면? 내가 지금 겪는 이 고통의 무게만큼이나 나는 그 상대에게 무언가를 바라던 게 있었던가? 있다. 오직 한 가지가 있더라. 나뿐만 아니라 우리 가족 모두가 원하는 단 한 가지가 있었다. 그걸 바라는 게 이렇게 큰 고통을 받아야만 했던 일인가. 아닌 것 같은데, 그래서 자꾸 머릿속에 내가 비정상이라고 배워왔던 생각들이 가득한 건데... 병원에 다녀온 지 일주일이 다 되어 가는데 선생님 말씀을 자꾸 곱씹고 있다. 오직 한 가지 바라고 있는 그것마저 버린다면, 무심해진다면, 눈 감고 귀 닫고 모른 척한다면, 이 불화도 끝날 것 같다는 생각이 짙어지는 중이다.

 

 

진료시간 5분을 넘기는 일이 굉장히 힘든 일인데, 선생님은 우리에게 20여 분의 시간을 내주었다. 오래 보아온 환자와의 유대감을 만들어준 것일까. 아니면 그동안 풀어내지 못했던 진짜 원인을 이렇게 찾아내어 준 걸까. 일어나서 진료실 밖으로 나오면서 한 마디 덧붙였다.

 

“선생님, 다음에는 엄마가 아니라 제가 진료받으러 올게요. 저에게 더 필요한 시간이었어요. 고맙습니다.”

 

진료실 밖으로 나가면서 인사하니 선생님이 웃더라. 3년 동안 다니면서 가벼운 농담을 건네기도 했는데, 그 선생님 한 번도 웃은 적이 없었다. 이번에 웃는 걸 처음 봤다. 다음에는, 조금 더 편하게 볼 수 있을까요? 라고 묻고 싶은 걸 간신히 참았다.

 

그동안 어떤 병원에 다녀도, 대학 병원이든 동네 병원이든, 의사들에 대한 인간적인 신뢰가 없었다. 그들이 의술을 행하는 사람이라고만 생각했지, 인간적으로 호감이 없던 대상이었다. 실제로 여러 의사를 겪으면서 반감이 생길만한 일도 있었던지라, 그저 한 개인이 선택한 직업이고 그들 나름의 밥그릇을 챙기는 일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이번에 이 선생님과 보낸 20여 분의 시간이 그 생각을 바꿔놓을 정도로 큰 힘을 발휘했다. 적어도 이 선생님에게만은 의사 이전에 인간적인 신뢰를 무한히 보낼 수 있을 듯하다. 선생님이 내놓은 그 말의 의미를 알아들을 수 있는, 그 정도의 마음을 읽을 수 있는 나는, 정상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