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는 다이어리의 첫 장에 올해 하고 싶은 일들을 적었다. 쉽다면 쉽고 어렵다면 어려운 일들. 그래도 한 번은 꼭 해보고 싶은 일들. 어쩌면 불가능할 확률이 높기에 조금은 모험 같은 바람을 담아 소박한 소망을 적었다. 남자는 우연히 여자의 다이어리의 그 페이지를 보게 된다. 여자를 만나러 가는 어느 날, 남자는 다짐하며 집을 나선다. 여자가 다이어리에 적은 그 많은 바람 중의 하나는 이뤄주고 싶다는 마음으로, 여자의 목록 중 한 가지를 이뤄주려 어딘가를 향한다. 여자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일을 ‘가능’으로 바꿔놓는다. 여자는 놀랐다. 이렇게도 이룰 수 있는 일이었구나, 하는 마음에. 안 된다고 생각했던 일이 별것 아닌 것처럼, 이 남자로 이뤄지는 순간 때문에... 남자는 천기누설을 알려주겠다며 말한다. 다음 생이라는 건 없다고, 설령 다음 생이 있다고 해도 그때 다시 태어나면 전생을 기억이나 할 수 있겠느냐고, 기억도 못 하는 전생에서 바라던 것을 그때 이룰 수 있겠느냐고. 그러니 이번 생에서 하고 싶은 건 지금, 이번 생에서, 지금, 해야 한다고...

 

 

 

 

 

 

 

 

 

좋아하는 소설의 한 장면이다. 처음 이 소설을 읽었을 때, 남자가 저 말을 하는 건 여자의 소망을 이뤄주기 위해 애를 쓰면서도 쑥스러워서 핑계 대는 말일 거로 생각한 적이 있다. 이 소설을 몇 번 재독 했는데, 그때마다 저 장면에서 한참을 멈추게 된다. 처음에는 그저 남자가 마음 표현하는데 어색해서 하는 말일 거로 생각했던 게, 두 번째 세 번째 읽는데 점점 남자의 말이 진심이라는 걸 알게 된다. 정말 다음 생이라는 건 없을지도 모르겠다는, 그러니 이번 생에서 다음 생으로 미루는 일을, 다음 생에서는 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짙어지곤 했다. 종교적인 의미로도 많은 해석이 있을 수 있겠지만, 굳이 그걸 믿는다거나 믿지 않는다거나 하진 않았다. 그러거나 말거나 별 관심이 없었다는 게 더 맞겠다. 그 정도로 나에게 크게 와 닿지 않는 말이었는데, 요즘은 가끔 궁금해진다. 남자의 말처럼, 정말 다음 생이 없을까. 이번 생에서 이루지 못한 것을 위로하는 마음에서라도 하게 되는 다짐을, 정말 다음 생에서 기억조차 하지 못하는 걸까.

 

‘만약’이라는 가정을 좋아하지도 않고, ‘다음에’라는 약속도 그다지 즐기지 않는다. 굳이 다음 생이 아니어도 지금 할 수 있는 건 그냥 하면 되고, 할 수 없는 건 포기하기 마련이라 크게 의미를 두는 단어가 아니었다. 만족도 아니고 포기도 아닌 것들에 대해 ‘만약’이라는 가정은, 지금의 불안을 잠재우려는, 몇 분 동안만 지속할 ‘순간의 처방전’ 같았다. ‘다음에’라는 약속 역시 내가 지키지 못할 것 같은 불안함에 누군가에게 쉽게 하지 않게 되는 말이 되었다. 그래서 소설 속 남자의 말에 종종 공감했다. 진짜 원하는 건 이번 생에서 해야 하고, 기억도 못 하는 다음 생에 대한 기대나 약속 같은 건 의미 없어 보였다. 그게 맞는 거로 여겼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나도 모르게 ‘만약에’라는 가정을 떠올리고, ‘다음 생’이라는 부질없는 기대를 하기도 하고, ‘다시 태어난다면’이라는 의미 없는 바람을 자꾸 하게 된다. 다시 태어나서 하고 싶은 게 많은 것도 아니다. 무조건 돈이 많기를 바라는 것도 아니다. 지금 못하고 살았던 모든 것을 다 싸가서 이루고 싶은 것도 아니다. 단 하나, 딱 하나, 오직 하나. 다시 태어난다면, 다시 태어날 수 있다면, 나는 ‘딸 바보 아빠’의 딸로 태어나고 싶다. 아니, ‘딸 바보’까지 바라지도 않는다. 가족이 소중한 줄 알고, 자기가 만든 가정에 책임감을 느끼며, 자식을 사랑하면서 키워야 한다는 그 뻔하고 당연한 진리를 아는 아버지의 딸로 태어나고 싶다. 불가능할까? 정말 다음 생의 나는 이런 바람을 기억조차 못 할까? 이게 그렇게 거창한 바람인 건가? 분명한 건, 나의 이번 생에 아주 많은 시간이 남아있다고 해도 결코 이룰 수 있는 바람이 아니라는 거다. 이미 이번 생에는 결코 이룰 수 없는 일이라는 것을 아주 오래전에 확인한 것이니, 죽어서 다시 태어나지 않는 한 절대 바랄 수 있는 소망이 아닌 거잖아. 그러니 자꾸 기대고 싶은 가정일 수밖에. 정말 다음 생이 있다면, 이라는 가정을 자꾸 바라게 되는 걸 어쩔 수가 없잖아...

 

12월 한 달을 병원에서 보내고 있다. 매일 저녁에 병원으로 가서 아침 찬바람을 맞으면서 집으로 온다. 시간이 어떻게 가는지 잘 모르겠다. 며칠 전에는 친구가 보낸 문자 한 통에 크리스마스인 걸 알았다. 병실 입구 보호자 휴게실에서 사람들이 케이크를 먹고 있기에 누구 생일파티를 병원에서 하는 줄 알았는데, 그날이 크리스마스이브였던 거다. 1년 반 사이에 아버지의 병원행이 벌써 세 번째. 기간으로 따지면 두 달을 넘기고 있다. 중환자실에서 열흘을 보내고 겨우 일반실로 옮기니 간병이 문제가 된다. 24시간 보호자 대기해야 가능한 일반실행이 처음부터 꼬이고 삐걱댔다. 작년에는 전화 한 통에 바로 구해지던 간병인이 이번에는 왜 그렇게 구하기 힘든 건지, 이대로라면 그냥 중환자실에 있어야 하나 하는 고민까지 했다. 업체 서너 군데를 알아봐도 지금 바로 올 수 있는 사람이 없단다. 연말이라 그런지 왜 그런지 모르겠다. 지인께 부탁해서 건너건너 겨우 한 명 구했는데, 그나마도 계약된 시간보다 40분씩 늦는다고 미리 말한다. 병원까지 오는 시간이 좀 오래 걸린다면서 아침 시간 40분 늦는 것에 이해를 구한다. 아쉬운 입장이라 바로 오케이 하고 시작했는데, 며칠 지켜보니 생각보다 간병인이 잘 봐주고 있어서 도움을 많이 받고 있다. 그러면서 슬슬 사적인 것으로 시선을 돌린다. 아무도 찾아오는 이가 없어 궁금한가 보다. 왜 다른 가족들은 찾아오지 않느냐고 묻는다. 다들 멀리 살고 있고 연말이라 바빠서요, 라고 둘러댔다. ‘아무도 아버지를 보고 싶어 하지 않아요.’라고, ‘나도 여기서 도망가고 싶어요.’라고 사실대로 말이 나오지 않는다. 진짜 그러고 싶은데, 도망가고 싶은데...

 

겨울이 빨리 지나갔으면 좋겠다. 시간이 빨리 흘렀으면 좋겠다. 그렇게 시간이 흐르고 흘러서, 어서 다음 생을 만나고 싶은 건, 정말, 아이 같은, 철없는 바람인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