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일의 엔딩 ㅣ 소설Q
김유나 지음 / 창비 / 2024년 9월
평점 :
희망이란 게 있긴 있는 건가? 종종 생각한다. 오늘 이렇게 살아가는 이유는 많겠지만, 궁극적으로는 내일, 모레, 훗날 언젠가의 우리가 더 잘 먹고 잘 살기 위한, 지금 불행하다면 행복하기 위해, 지금 행복하다면 더 행복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살아가는 건 아닐까 하고 말이다. 늘 그렇듯 바라는 일은 뜻대로 되지 않고, 노력하면 되겠지 하는 바람은 가뿐히 무시당하기 쉬웠다. 소설의 주인공 자경이 아버지를 책임(?)지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나는 자경의 노력이 형체 없는 어떤 신으로부터 밟히고 있는 건 아닌지 생각했다. 내가 너무 부정적 사고만 앞세워 살아가고 있는 건지도 모르지만...
자경은 요양병원에 누워 계시던 아버지의 죽음 소식을 듣고 달려가는 중이다. 6년 전에 아버지가 갑자기 뇌경색으로 쓰러지고, 자경은 서울의 직장과 본가인 전주와 아버지가 입원해 있는 대전을 주말마다 오가고 있었다. 살아가는 날들이 아닌, 그저 버티는 날들로 채워지는 삶이었다. 그마저도 끝이 있었던 거라, 아버지는 돌아가셨고 대전에 장례식장을 마련했다. 예상하지 못했던 사람들이 조문을 오면서 자경의 싸늘했던 마음에 온기가 돌던 것도 잠깐, 시간에 쫓기듯 살아왔던 방식은 금방 제자리로 돌아온다. 마감 기한이 있는 업무들이 그 자리를 지키고 있었고, 상중에 경황도 없는데 회사의 팀원들이 단체로 퇴사했다는 소식을 듣는다. 2년째 함께하고 있는 애인은 자경의 상황도 모른 채로 원망어린 말들을 쏟아낸다. 아버지의 장례가 다 끝나기도 전에 본가의 집을 급하게 정리해야 할 일도 생겼다.
읽는 내내 드는 느낌은, 단거리 달리기와 장거리 마라톤을 같이 뛰는 것만 같았다. 자경이 아버지를 돌보면서 하루하루 촉박하게 살아가는 것을 보니, 이 달리기의 피니시 라인은 어디쯤에 있을까 궁금했다. 아버지의 장례식을 치르면서 회사일, 애인의 말, 본가를 정리하는 것까지, 잠깐 사이에 일어나는 일들이 너무 벅찼다. 자경이 열 명 있어도 숨이 찰 것만 같았다. 그래도 해야만 하는 일, 누구도 아닌 자경이 직접 처리하고 해결해야 할 일들이었기에 더 절망적이라고 해야 하나. 어떤 일이든 하나하나 정리하다 보면 끝이 있겠지만, 그 과정이 참 고되기에 항상 좋은 생각이 먼저 나오지는 않더라. 겪어 봐서 안다. 장례식, 손님이 별로 없어도 힘들고, 상주 자리를 지키는 것도 고단하다. 끝나고 나면 온 몸이 두드려 맞은 것처럼 몸살이 나기도 하고, 며칠 동안 잠만 자도 피로가 풀리지 않는다. 그런데 자경은 장례식이 끝나자마자 아버지의 집을 정리하느라 또 숨이 차다. 가구와 가전을 중고로 버리고, 집안 구석구석 차지하고 있는 짐을 커다란 김장 비닐이 가득 담아서 버리기를 여러 번. 이제 좀 쉬려나 싶었는데, 아직 한 곳이 남았다. 아버지의 서재. 어릴 적 자경이 지냈던 방이지만 자경이 떠나고 아버지의 일상으로 채워진 곳이다.
우연한 발견은 고단한 삶을 조금 다른 방향으로 바꿔놓는 마법이 되기도 하는 건가. 자경이 아버지의 서재를 정리하면서 발견한, 자경은 몰랐던 아버지의 세월을 엿보기도 한다. 자경을 낳고 바로 돌아가신 엄마를 대신해 혼자서 자경을 키운 아버지였다. 그런 아버지가 자경의 이십대를 지켜보면서 저장해둔 기억과 흔적은, 오늘까지도 어둠에 휩싸여 있던 자경의 일상에 조금 다른 빛을 비추기 시작한다.
무모하다고 했다. 쓸데없는 시간낭비라고도 했다. 살아가면서 각자가 바라는 간절한 어떤 것을 이루려는 노력을 누구나 같은 시선으로 보지는 않는다. 자경이 모든 것을 쏟아 부어 빠져들었던 영화인의 삶은 이십대의 한순간에 머물러 있었는데, 그 시절을 잊고 지금까지 살아왔다. 그 시절을 지금까지 끌고 왔다고 해서 오늘의 삶이 크게 달라져 있을 것 같지는 않지만, 오늘 다 놓아버리고 싶은 마음은 그때의 기억을 소환하여 변화를 일으키기도 한다는 것을. 자경이 영화를 만들면서 보았던, 다시는 보지 못할 것 같은 그 불빛을 기억하면서, 다시, 아직도 거기에 있는 것들을, 그 시절의 자경을 지탱하게 만들었던 것들을 생각한다. 지독한 현실에 치여 살면서 어느 정도 단단해졌다고 여기던 것도 무색하게, 잊고 있던 이상한 순간이 떠오르면서 마음이 흔들리고, 마음은 이제 흔들리는 방향으로 따라가려고 한다. 이게 이상한가?
자경이 본가를 정리하기 시작했을 때,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서재를 남겨두었을 때, 내가 바란 것도 이런 마음이었다. 사는 게 다 그렇지 뭐 하다가도, 노력을 결과물을 기대하면서도 절망의 순간을 마주하곤 하는 게 우리 인생이라고 해도, 그래도 말이야, 상실과 절망의 순간에도 버틸 수 있었던 건 오늘과 다른 엔딩을 기대해서는 아닐까. 자경이 그동안의 연애에서 배운 대로 자기 이야기를 지금의 애인에게 할 수 없던 이유가 오늘의 현실이었다면, 오늘 정리하면서 보게 된 작은 빛 하나로, 차단된 통로를 다시 열기 위해 용기 내려고 하는 건, 내일의 엔딩이 오늘과 다르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라고. 그런 거지, 그래도 오늘을 사는 이유 말이다. “그래도 우리가 같이 있을 수 있지 않을까 해서. 그런 선택을 해볼 수도 있지 않을까 해서.”(135페이지)
일상에 익숙하게 녹아 있는 팍팍한 삶이 들려 와서 답답했는데, 살아가는 일에는 언제나 한 가지 엔딩만 존재하는 건 아니기에, 그래서 우리의 마음이 흔들리는 방향으로 가는 건 막지 말아야 하는 건 아닐까 싶었다. 어느 곳에는 위로가, 반대 방향에서는 기회가, 옆에서는 어떤 날의 기억이, 또 다른 곳에서는 따뜻하게 진심을 내미는 마음도 있다는 게, 그래서 언제나 시작이 가능하다는 사실이 우리에게 희망을 품어준다고.
우리를 둘러싼 모든 것은 사라질 수밖에 없고 우리는 모두 정해진 엔딩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지 모른다. 그러나 시시한 삶의 그 지난한 과정 속에 아주 잠깐씩 빛나는 순간이 있는 거라고, “다시 멀리서 보면, 모두 거기에 있는 것들”, 그것을 우리는 아름다움이라고 부를 수 있다고 이 소설이 얘기해주는 것만 같다. 너는 혼자로만 존재하는 사람이 아니라고, 그러니까 ‘너’에게 곁을 내어주는 사람들을 너무 두려워하지 말라는 메시지를 건네며 소설은 엔딩 이후를 기약한다. 우리가 상실한 많은 것들이 실은 우리를 살게 한다는 걸 이 소설을 통해서 배웠다. 기울어지고 연학한 마음을 서로에게 조금 기대는 방식으로. (소설가 김유담의 발문 중에서, 149~150페이지)
분량도 짧아서 잘 읽히는데, 잘 읽히는 것만큼 감정은 단순하지 않아서 마음이 복잡해지는 소설이기도 했다. 그래서 좋았다. 별 것 아닌 일로 심란했던 감정들이 조금 단순해졌다고 해야 하나. 하나씩, 쓸데없는 마음들은 쳐내고, 절실한 마음들은 꼭 품으면서 오늘도 잘 지내봐야겠다고, 나를 힘들게 하는 것 말고, 지금 나에게 곁을 내어주는 사람들을 더 마음에 담아야겠다고 다짐하게 된다.
#내일의엔딩 #김유나 #소설 #한국소설 #창비 #소설Q
#책 #책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