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이혼합니다
가키야 미우 지음, 김윤경 옮김 / 문예춘추사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편의 사망을 알리는 친구의 엽서에 부럽다고 말하는 여자의 마음은 무엇일까 생각했다. 일단 크게 한숨 쉬지 않을까? 이 한숨에는 두 가지 의미가 담겨있을 것 같다. 한 가지는 남편의 사망 이후로 혼자 지낼 친구의 안부가 걱정되어 한숨, 다른 한 가지는 이제 그녀를 힘들게 하던 고민 하나가 줄었으니 얼마나 좋을까 싶어서, 말 그대로 부러움의 한숨. 아마 이 상황을, 이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을지도 모르겠다. 내 남편이 빨리 죽었으면 하고 바라는 여성의 삶을 경험해본 적 없을 테니 말이다. 남편과 함께인 삶이 얼마나 고통스러웠으면 남편이 빨리 죽기를 바랄까. 아니, 남편의 죽음이 아니어도 좋겠다. 그저 눈앞에서 남편과 마주하지 않는 일상이라도 바라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 그만큼 남편과 함께 사는 일이 고통스럽다는 게, 친구 남편 사망 소식에 부럽다고 말하는 여성의 진심일 테니까.


이혼을 예능의 소재로 삼을 만큼 이제는 이혼을 숨겨야 하거나 가십으로 여기지 않는다. 물론 그중에는 다른 사람의 이혼을 누가 묻지도 않았는데 신나게 얘기하는 사람이 있기도 하다. 과거의 우리 사회가 이혼을 무슨 큰 잘못을 하는 것처럼 수근대는 시대가 아니라는 말이다. 내 주변에도 이혼한 사람이 생각보다 많다. 처음 그들의 이혼을 접했을 때는 의외의 소식에 놀라기도 했다. 그럴 만도 한 게, 누구보다 행복한 가정을 꾸리고 있는 걸로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혼 소식 후 이어지는 그들의 결혼생활은 내가 봤던 것만큼 행복하지만은 않았다는 거다. 여기서 그 식상한 말을 또 한 번 해야겠다. 멀리서 보면 희극 가까이서 보면 비극. 타인의 삶 내면을 우리는 결코 알 수 없을 거라는 진실을 다시 확인하는 셈이다. 어쨌든. 이 소설의 주인공 스미코의 삶도 타인의 시선으로 판단하는 행복에 맞춰있었다는 거다.


58세의 평범한 주부 스미코는 결혼하고 아이를 낳으면서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었다. 그동안 남편의 수입으로만 살다가, 아이들이 크고 제 갈길 가면서 그녀도 시간제 일을 하기 시작했다. 알겠지만, 돈으로만 따지자면 그녀의 수입은 남편과 비교할 수 없다. 그래도 그녀의 일상과 노동을 시간제 일의 수입으로만 따질 수 있을까? 모든 집안일을 혼자 해야 했고, 몸이 불편한 시부모도 간병했다. 며느리가 시부모를 간병하는 게 당연하게 여기며 남편을 비롯한 남편 집안 남자들은 그녀에게 많은 의무를 지웠다. 그렇게 해야 하는 줄 알았다. 그러니 속이 터질 것 같아도 참고 그 모든 걸 감당하면서 살아왔겠지. 그러다 순간, 친구 남편의 부음에 더는 이렇게 살 수 없다는 생각을 한다. 그녀의 인생 이제 어디로 가야할지 막막하지만, 적어도 한 가지는 확실하다. 이대로는 안 된다.


처음 이 책을 펼치고 몇 페이지 넘기지 않아도 바로 숨이 막혀왔다. 일방적으로 모든 집안일을 떠 앉은 그녀의 하루를 머릿속에 그리기 시작했다. 새벽부터 분주하게 아침을 차리고, 남편이 출근하면 뒷정리하면서 발을 동동 구를 것이고, 그녀 역시 급하게 아침 출근길을 서두를 테지. 시간제라도 일하는 게 힘든 건 마찬가지고, 퇴근 후 또 다른 집안일을 하다 보면 하루해가 저문다. 이어지는 남편의 퇴근 후 아침 상황이 반복된다. 남편의 식사를 준비하고, 주방을 정리하고, 지친 몸으로 잠이 들고. 그럴 수 있다고 생각했다. 누구나 비슷하게 흘러가는 하루의 시간이 그녀에게만 잘못된 건 아닐 테니. 문제는 가족인 남편이 그 집안의 모든 일에서 남보다 못한 존재라는 거였다. 문득, 아이들이 자라면서도 혼자서 힘든 많은 일이 있었을 텐데, 그녀는 그걸 어떻게 다 해내고 여기까지 왔을까 싶더라만.


우리의 엄마들이 그렇게 살아왔다는 걸 부정하진 않겠다. 모든 엄마가 그러지는 않을 테지만, 엄마니까 아내니까 며느리니까 해야만 했던 일들 앞에서 고통의 시간을 견디는 게 당연한 의무처럼 여겼던 시절을 건너왔을 거다. 그래. 당연하게 생각했던 게 문제였나 보다. 그러니 58세 여성의 이혼 결심을 그냥 한번 던져보는 말로 여기기도 했겠지. 막상 아내가 꺼낸 이혼이 진지한 현실이라는 걸 실감했을 때 남편의 태도가 우습기만 하다. ‘내가 번 돈이고 내 집이니까, 모두 내거야. 당신에게 하나도 줄 수 없어!’ 아무리 부부 공동재산의 분할을 얘기해도 말이 통하지 않는다. 읽으면서 조마조마 했던 게, 스미코의 이혼 결심이 혹시 무너지지 않을까 하는 염려였다. 남편의 일방적인 재산재산 분할 반대와 시골 동네의 가십으로 떠오르지 않을까 하는 걱정 때문에, 그냥 이대로 살자고 지레 포기하는 건 아닐까 두근거렸다. 하지만 그녀가 원하는 삶의 간절함 때문이었을까. 그녀는 남편이 보기 싫다는 단순한 이유가 아니라, 그녀 자신의 삶을 되찾고 행복해지고자 이혼을 선택한다. 그래, 이제 스미코는 이혼한다.


이 소설 속에서 스미코뿐만 아니라, 이혼한 중년 여성(그들 대부분은 스미코의 고교 동창생이다)이 몇 명 더 등장한다. 혹자는 주변의 그런 여성들 때문에 영향을 받은 건 아니냐고 말하고 싶을지도 모르겠다만, 그럼 그녀들이 왜 이혼했는지 듣는 일도 필요하다. 저마다의 인생, 색도 모양도 달랐지만, 그녀들이 바라는 건 오직 하나였다. 자신의 삶, 행복, 진정 바라는 것을 찾아가는 여정 말이다. 그 과정에 이혼이 있었을 뿐이다. 삶이 얼마나 소중한지, 그 삶의 가운데 있어야 할 존재가 바로 자신이라는 것을, 그 삶을 찾아가는데 나이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하는 소설이 아닐까 한다. 그동안 가키야 미우가 보여준 소설 속 인물들이나 내용을 보면, 이번 소설도 크게 다르지 않다. 많은 사회 문제를 주인공의 솔직한 마음을 표현하면서 웃음도 놓치지 않았던 저자가, 이번에도 날카롭고 리얼하게 보여주고 있다. 세월이 많이 흘렀고 세대도 변했지만, 여전히 남성 중심적인 편견이 머문 세상에서 주인공 스미코가 찾아갈 자유와 새로운 삶이 기대되는 게 나만은 아닐 터.


결말이 참 시원시원한데, 웃음이 나면서도 씁쓸한 건 어쩔 수가 없네. 그래도. 많은 독자가 스미코의 같은 상황이라면, 이혼이라는 선택으로 확인하게 될 행복을 더 기대하며 살아갈 것 같다. 세상 모든 스미코에게 응원을 보내고 싶다.


#이제이혼합니다 #가키야미우 #이혼 #자유 #자신의삶 #중년의삶

##책추천 #소설 #일본소설 #문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