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로 보는 인류의 흑역사 - 세상에서 가장 불가사의하고 매혹적인 폐허 40
트래비스 엘버러 지음, 성소희 옮김 / 한겨레출판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골집으로 들어가는 큰길에는 짓다가 만 건물이 있다. 도로변에 있어서 못 보고 지나칠 수 없는 위치인데, 이렇게 방치된 상태가 10년이 넘었다. 좋은 자리여서, 건물이 들어서기만 하면 뭘 해도 손해는 안 볼 거로 생각했다. 동네 사람들 누구도 이 건물이 이 상태로 머물러 있을 거라고 예상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 건물은 1층과 2층 사이의, 철근이 위험하게 솟아 있는 회색의 콘크리트 상태로 10년이 넘는 세월 동안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마치 누가 와서 미완성의 그림을 완성해주길 기다리는 것처럼.


저자는 이 책으로 모든 버려진 장소에 남겨진 이야기를 전한다. 말 그대로 한때 화려함을 자랑했으나 이제는 누구도 찾지 않는 장소. 생각만 해도 등골이 서늘해진다. 아무 위험요소가 없어도 그냥 겁부터 나게 하는 말이다. 황량하고 스산한, 사람도 없고 건물도 사라져가는, 지금 여기에 사는 이가 없다는 게 얼마나 무서운 일인지 그대로 보여주는 장소가 됐다. 여기에서 소개된 장소들은 어쩌다가 지금의 악명을 남기게 된 걸까. 저물어가는 곳이 되고, 마지막에는 누구도 찾지 않는 장소가 되어간 과정을 들려주면서 꽤 쓸모 있는 교훈을 전한다. 인간이 만든 이 흑역사 속에서 어떤 교훈을 발견할 수 있을지 기대하면서 읽게 된다.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마다 다른 이유에서 시작된 장소들의 역사를 들려준다. 예정된 운명이 이루어진 곳, 세상의 변화에서 끝내 도태되어버린 곳, 시간의 무게에 잠식되어버린 곳, 찬란했던 영광의 잔해로 남은 곳, 그리고 오래된 이야기의 마침표가 된 곳. 그런 곳들이 모여 인간 역사의 쓸쓸함을 더하는 게 아닐까 싶을 정도였다. 많은 고아를 돌봤던 뷔위카다 보육원은 튀르키예와 그리스의 싸움으로 문을 닫아버렸다. 그 많은 아이는 어디로 가야 했을까. 1964년 보육원이 문을 닫고 아무도 돌보지 않은 그곳은 방치를 거듭하며 시간의 흔적으로 남았지만, 흉물이라 불리며 역사의 한 장면으로 박제되었다.



영국의 해외영토 몬트세렛은 비틀즈의 프로듀서가 만든 AIR 스튜디오가 생겨나면서 많은 가수가 찾아오곤 했다. 어느 순간 유명한 곳이 되었지만, 최악의 허리케인 휴고가 몬트세렛을 덮쳤다. 돌이킬 수 없는 피해로 도시의 회복은 더뎠고, 더 끔찍한 악몽이 시작되었다. 휴화산 수프리에르힐스가 폭발했고, 녹아 흐르는 용암은 섬을 집어삼켰다. 거듭된 화산 폭발은 이곳을 금지구역으로 만들었다. 사람이 드나들지 않는 곳은 무너져가기 마련, 위험한 곳으로의 사람 발길은 끊겼고 폐허가 되었다.


도쿠가와 막부의 쇄국 정책으로 나라 밖으로 나가기 어려웠던 일본인은, 60년 전만 해도 하와이에 가고 싶어도 쉽게 갈 수 없었다. 2차 세계대전의 패한 여파로 일본 내에서는 전후 경제 지원을 위해 현금이 국내에 머물러야 한다고 믿었고, 외국 여행과 관광을 억제했다고 한다. 그에 하와이 대신으로 하치조지마는 일본의 대표 관광지가 되었고, 하치조로열 호텔은 화려함을 자랑하며 일본 내 관광객을 흡수했다. 하지만 일본이 부유해지면서 해외여행은 쉽고 저렴해지면서, 일본인들은 더는 하와이를 닮은하치조지마를 향하지 않았다. ‘진짜 하와이를 갈 수 있었으니까. 그 후로 1990년대 일본의 거품 경제가 붕괴하고 경기 침체가 계속될 때도 이름을 바꿔가며 영업해나갔던 하치조로열 호텔은 2006년 문을 닫았다. 그때 기다렸다는 듯이 정원의 나뭇가지가 제멋대로 자라나면서 나뭇잎이 진입로의 표지판을 가렸고, 덩굴이 건물을 뒤덮고 안으로 파고들었다. 자연이 이 호텔의 폐업안내판이 되어버린 듯하다.


어느 여행작가의 글로 관심 두었던 볼리비아의 우유니 소금사막. 넓게 뻥 뚫린 시원함으로 기억했는데, 그곳에는 열차들의 무덤이 있다. 영국이 초석 등 천연자원 운송 목적으로 철도를 세우고 우유니에 환승역을 건설했지만, 인공 질산염의 등장은 이 자원들의 수요를 줄게 했다. 기차역이 폐기되는 건 당연한 순서였다. 사람이 찾지 않는 곳은 자연스럽게(?) 소외되고 잊히기 마련이다. 녹슨 증기기관과 객차가 모여 앉아 우유니 기차 폐기장을 만들었다. 한때 번영의 상징이 되고 희망을 주었을 그곳이 지금은 쇠락을 보여주는 곳이 된다는 건 어떤 기분일까. 예전에 어떤 어른의 왕년에~’로 시작하는 말을 정말 듣기 싫어했는데, 어떤 건물, 장소, 사람 등 모든 것이 한때의 화려함과 자신만만함을 뒤로하고 오늘의 씁쓸함을 받아들여야 하는 마음이 살짝 읽히기도 한다. 어느 것이든 누구든, 소멸해가고 사라지는 것을 바라보는 일은 정말 경험하고 싶지 않은 기억이다.


가족과 수치는 어떤 관계일까 하는 의문을 잠깐 가졌던 장면이 우간다의 아캄펜섬의 이야기다. 처녀성을 잃지 않은 딸이 결혼 시장의 우수한 상품으로 매겨지는 가능했던 시대. 그러니 결혼 전 처녀성을 잃었거나 아이까지 가진 여성이라면 얼마나 큰 비난을 받았을지 가늠하고도 남는다. 아캄펜섬은 그런 이유로 가족과 사회에서 밀려난 여성이 갇히는 곳이었다. 이 섬을 나가는 방법은 두 가지였다.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가난해서 아내를 얻지 못하는 남자들이 구세주로 나타나거나. 이 관행은 19세기에 아프리카에 선교단이 들어오면서 금지되었다고는 하나, 아캄펜섬 유배 관습은 20세기에도 꾸준히 이어졌다. 아캄펜섬에서 유배되었던 여성이 오늘날에도 생존해 있으면서 그 증언을 생생하게 이어간다고 하니, 산 증인이 된 거다. 그런데 해마다 분요니 호수의 수위가 높아지면서 이 섬이 곧 물 아래로 사라질 위험에 빠졌다고 하는데, 이걸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오랫동안 젊은 여성을 사라지게 했으니 쌤통이라고 해야 할지, 역사의 증거가 된 곳이 사라진다고 하니 잊힐까 봐 걱정해야 할지 말이다.


폐허가 된 많은 도시, 장소, 건물이 정말 폐허로 그 생을 마감해야만 하는 것일까 하는 궁금증이 생긴다. 세상의 변화로 물 흐르듯 그 쓰임이 다해버렸다는 게 안타깝고, 한 시대의 중심이 되었던 사실들이 역사에 그대로 박혀있다는 것에 존재를 유지해야 하는 건 아닐까. 자연스럽게 쓸모없어졌지만, 그래도 꿋꿋하게 남아서 쓸모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는 건가 싶기도 하고. 세월의 덧없음을 지켜본 것 같고, 인간의 욕심과 욕망이 빚어낸 결과가 이렇구나 인정해야 할 것 같기도 하다. 지금 우리가 하는 모든 것이 미래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걸 알면서도 멈추지 못하는 것은 고민하게 하는 이야기인 듯하다. 속도전으로 밀어붙이는 산업화나 환경의 파괴보다 무분별한 발전을 앞세우는 방식들이, 지금 우리가 숨 쉬는 이 시간을 폐허로 만드는 건 아닐까 염려해야 할 때이다. 흑역사라기보다는 씁쓸한 역사의 한 장면들이었다.


#지도로보는인류의흑역사 #트래비스엘버러 #한겨레출판 #인류의역사 #역사 #인문

#사회 #세계사 ##책리뷰 #책추천 #하니포터 #하니포터6_지도로보는인류의흑역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