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티 워크 - 비윤리적이고 불결한 노동은 누구에게 어떻게 전가되는가
이얼 프레스 지음, 오윤성 옮김 / 한겨레출판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더티 워크를 간단히 표현하면 이 정도가 되지 않을까. 분명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지만, 누구나 선뜻 먼저 하고 싶지는 않은 일. 이 사회나 국가가 굴러가는 데 필요하지만, 많은 사람이 두 손 들고 반길 만한 일은 아니라는 것. 오히려 불편하게 느껴질 정도이니, 어떤 상황인지 감이 온다. 이 사회 구석구석 찾아보면 이런 일이 많을 테다. 이 분야에 있는 사람들 덕분에 우리 삶이 편한 부분도 있다는 것을 알지만, 그런데도 그 면면을 들여다볼 생각은 깊게 하지 못했다.


저자가 미국 내에서의 환경을 근거로 설명하고 있기에 우리 정서와 맞지 않는 부분이 있을 수도 있지만, 더티 워크를 설명하려는 기본 취지는 다르지 않다. 교도소의 정신병동 근무자, 전쟁 상황에서의 드론 원격 조종사, 미국 국경의 국경수비대원, 대규모 도살장 노동자의 경우를 소개한다. 이들이 겪는 육체적 정신적 고충은 감히 상상할 수 없는 지경이다. 사회와 국가가 필요로 하지만, 많은 사람이 불편해하고, 현장에서 그 일을 감당하는 이들의 도덕적 외상을 외면하는 일이 빈번하다는 게 더 아픈 일이다. 혹자는 이렇게 말할지도 모른다. 그럼 다른 일을 선택하면 되는 거 아니겠냐고 말이다. 하지만 이 분야에 뛰어들어야 하는 이유가 대부분 경제적인 문제라면 다른 선택지를 쉽게 고르지 못하는 것 역시 현실이다.


어느 시험에서 봤던 문제가 생각난다. 직업으로 규명되려면, 비윤리적이지 않아야 하고, 사회적으로 가치 있고 쓸모 있는 일이어야 한다고 했다. 저자의 설명을 듣다 보면 여기에서 소개된 일들은 직업으로 규명하기 어렵다는 건데, 그럼 이들의 직업은 무엇으로 설명될 수 있을까. 실제로 여기에서 더티 워크라 불리는 일은 여러 가지 의미를 포함한다. 때로는 폭력을 행사하면서 인간이나 동물, 환경에 피해를 주는 것도 해야 하는 일. 선량하다고 불리는 사람들의 시선에 비윤리적이거나 더럽다고 보이는 일. 다른 사람의 무례한 시선을 감당하거나 상처받게 되는 일. 선량한 사람들은 그 일이 사회질서 유지에 필요하다고 여기지만, 암묵적으로는 그 일에 동의하지 않으면서 책임을 회피할 수 있는 일. 누군가 이런 일을 하면서 고통과 책임을 치른다는 걸 알면서도 위임한다.


문득 나는 이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서 이걸 몰랐다고 하기에는 얼마나 책임을 피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더라. 나는 정말 몰랐을까? 전부는 아니어도 어느 정도는 느끼고 생각하고 있었을 거다. 그러면서 내가 그 역할을 하지 않으면 된다고 여기거나, 그들의 고역을 이해한다고 함부로 판단하거나, 그 일을 하면서 당연히 감당해야 한다고 생각한 건 아닐까 싶기도 하다. 그것도 아니라면, 나는 그 일에 관한 많은 것을 전혀 알지 못하고 있거나.


이 책에서 소개하는 일이 왜 더티 워크가 되었을까 궁금했다. 겉으로는 자기에게 주어진 일을 묵묵히 해내는 것으로만 보였는데, 그 이면의 이야기를 내가 전혀 몰랐던 거였다. 사회질서 유지에 힘쓰는 교도관이 더티 워크로 소개되는 게 놀라웠는데, 가장 큰 이유가 보이지 않는 집단이라는 거였다. 재소자를 관리하고 그들의 갱생에 한 역할을 한다고 여겼는데, 그 안에서는 내가 상상하지 못한 비윤리적인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기도 한다는 것. 주변의 나는 분도 교도관으로 일했는데, 겉으로 보기에 근무환경이 나쁘지 않다고 생각했다. 오랜 고민 끝에 그만두었다는 얘기를 들었을 때는 좋은 자리 박차고 나왔다는 생각도 했는데, 말하지 못한 이유가 있다는 표정이었다. 그때 다 이해하지 못한 것과 이 책에서 말하는 걸 조합해보니, 어쩌면 내가 상상조차 하지 못한 일이 그 안에서 벌어지고 있는 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인간적으로 감당하기 힘든 역할을 해야만 하는 게 고역스러웠을지도.


드론을 원격으로 조종하며 사람을 죽였다는 죄책감은 드론 조종사들을 고통스럽게 한다. 그런 죄책감은 일을 계속하는 걸 어렵게 한다. 여러 가지 감정의 고됨을 돕고자 부대 안에 목사나 상담사가 있지만, 아무리 이들의 도움을 받는다고 해도 그들이 원격 조정하여 사람을 죽이는 일로 생기는 고통은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않는다. 우리가 좋은 먹거리를 찾을 때 도축 현장의 노동자들은 더 힘겹게 일하고 있으며, 노동현장은 더 열악해지고 있다. 환경과 동물을 생각한다면서 돌린 시선에서 현장 노동자들의 환경은 열악한 그대로였다는 것을. 선량한 사람들이 사회와 국가, 지구를 생각하며 전환한 소비의 이면이었다.


암묵적으로 용인되는 많은 차별이 더티 워크를 만드는 게 아닐까? 더럽고 지저분한 것을 보면 피하고자 하는 게 새롭지는 않다. 눈에 보이지 않는 곳으로 치워두고 싶은 것도 당연하게 계속되어왔다. 하지만 눈앞을 깨끗하게 만들고자 해왔던 일은 야만적이거나 비도덕적인 경우가 허다하다. 때로 이 역할을 하는 이들이 보이지 않을 수는 있겠지만,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 역시 사실이다. 누군가는 해야 할 이런 역할이 존재하면서 사회의 불평등한 구조는 존재하기 마련이고, 수면 위로 떠 오른다. 이 책의 설명처럼,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면서 필수노동자에 관한 관심은 커졌다. 그들의 자리에서 해내는 일들에 노고를 위로하고, 없어서는 안 될 존재로 말하는 게 어색하지 않았다. 하지만 필수노동자가 그들만 있는 건 아니다. 이 사회의 필수노동으로 규정하지만 더티 워커라 불리는 이들의 존재를 생각하지 않았다. 이들이 수행하는 필수노동 작동방식과 사회구조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저자가 들려주는 이 불평등 구조의 과정과 책임에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 고민하는 게 이 책의 역할이 아닐까 싶다. 어둠 속 필수노동자에 대해 연대와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는 것을 상기하게 한다.


#더티워크 #이얼프레스 #한겨레출판 #노동 #연대와책임 #필수노동자

#사회과학 #사회학 #사회문제 ##책추천 #책리뷰 #하니포터_더티워크 #하니포터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