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앤더
서수진 지음 / 한겨레출판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입시 준비에 그렇게 필요하다던 스토리가 이 아이들에게는 없었다. 없는 스토리도 만들어내야 할 정도로 열을 올리는 엄마의 주장과는 다르게, 아이들이 한 번도 가져본 적 없던 스토리가 이렇게 시작되려고 한다.


엄마의 재혼으로 호주로 쫓겨간 해솔, 홈스테이하는 집주인 딸 클로이, 불법 이민자로 살아가는 집안의 문제아 엘리. 세 사람의 이야기가 각자의 시선에서, 또 같이 들려온다. 처음에는 엄마가 버리듯이 호주로 보내진 해솔의 방탕한 유학기가 펼쳐지는 게 아닐까 싶었는데, 한국에서도 공부에 집중하던 해솔이 호주에서도 우등생으로 살아가는 걸 보고 있자니, 이 아이는 도대체 어떤 삶을 바라는 걸까 궁금했다. 반항하고 싶고 엄마에게 애정을 갈구하고 싶은데, 그걸 봐줄 엄마가 옆에 없다는 거. 삐뚤어지기 딱 좋은 배경 아닌가? 그런데 해솔은 호주에서도 공부를 놓지 못하고 자기에게 필요한 학원을 찾아다닌다. 한국에서의 공부가 호주에서는 이미 앞서가는 우등생의 수준이었는데도 말이다.


그런 해솔에게 같은 집에 사는 클로이는 서로 안쓰럽게 보면서도 경쟁자 관계다. 공부 잘한다고 호주 한인 사회에서도 유명하고, 딸의 그 유명세로 목에 힘을 주는 클로이의 엄마. 엄마의 꿈이자 클로이의 목표인 의대에 가는 게 유일한 일상의 힘이 되는데, 그 힘을 빠지게 하는 해솔의 등장은 경계 대상 1호다. 홈스테이의 규칙을 줄줄 읊어가면서 주시한다. 마약, 술 안 됨. 친구 데려오지 말 것. 남의 입에 오르내릴 만한 짓 하지 말 것. 먹는 것은 정해진 곳에 둔 것만 손댈 것. 뭐가 더 있지만, 내 귀에도 그냥 귀찮은 아줌마 잔소리로만 들려서 금방 잊힌다. 언제나 의대를 부르짖으며 공부에 매달리는 클로이의 일상이 정상적인가 싶으면서도, 한국이나 호주나 좋은 학교 좋은 직업을 위해 달려가는 모습은 똑같구나 싶다. 거기에 등장하는, 클로이네 앞집 사는 문제아 엘리는 두 아이의 삶과는 다르다. 마트에서 물건도 훔치고, 마약도 하고 술도 마신다. 이 아이에게는 호주에서의 삶이 목표가 없는 걸까.


한국에서처럼 죽기 살기로 공부하지 않아도 되는 학교 분위기가 읽는 나도 낯설었다. 그런 곳이 있다면 바로 천국이 아닐까 싶고, 한국으로 다시 돌아가지 않아도 되는 일정이라면 그곳의 분위기에 푹 빠져 살고도 싶었다. 그런 환경에서도 클로이는 1, 최고의 성적에 닿으려는 몸부림을 멈출 수 없었고, 언젠가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야 하는 해솔에게 그곳의 환경은 약이 될지 독이 될지 알 수 없었다. 어떻게 보면 클로이와 해솔의 중간쯤에 있는 게 엘리의 삶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부모가 호주에 머물기 위해 없는 형편에 대학에 다녀야 했고, 호주에 있어야 하는 명확한 이유가 없기에 돈을 벌면서도 불법체류자로 머물러야 했으니까. 오직 현금으로 주고받는 일을 해야 했고, 누구네 집 창고에서 사는 일에서조차 을이 되어야만 하는 오늘의 현실이 무엇을 말하는지 궁금했다. 이들은 왜 호주를 떠나지 못하는 거지? 왜 호주에서조차 숨이 차게 사는 한국과 닮은 일상은 보내는 거지? 이민자 1.5세대, 유학생, 이민자 2세대. 제각각의 이유로 그곳에 머무는데, 정작 그 시간을 사는 당사자는 그 이유를 알 수 없다는 게 또 문제네.


자기만의 서사를 쓰는 일이 쉬운 것 같지만, 사실 너무도 어려운 일이라는 걸 알 것 같다. 살아온 시간, 지금의 삶, 살아갈 시간을 채우는 게 한 사람의 서사라고 해도 된다면 간단해 보이는데, 그걸 어떻게 채우고 써야 하는지 모른다면 한없이 어려운 일. 이 나이 먹고도 잘 모르겠는데, 10대의 이 아이들은 얼마나 알까. 그걸 알게 해주는 게 어른의 역할이고 부모의 의무 같은데, 이 아이들의 부모는 자기 삶을 들여다보느라 정신이 없다. 무조건 의대에 가야 한다고 노래를 부르며 딸의 스펙이 자기 목표인 것처럼 구분하지 못하는 엄마, 자기 행복 찾느라 혹시 걸림돌이 될까 봐 피해버리는 엄마, 무엇을 위해 호주에 머물러야 하는지도 모르면서 끝까지 호주를 떠나지 못하는 부모. 이 환경에서 자기 삶을 찾고, 자기 이야기를 써 내려가는 법을 온전히 배운다는 게 불가능하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어서 그런가. 오히려 이 아이들이 일탈하는 게 반가울 지경이었다. 꽉 막힌 일상에서 불법이든 뭐든 많은 것을 보고 부딪히면서 자기가 원하는 방향을 찾게 된다면 그것도 괜찮은 방법 아닐까 싶어서.


이만큼 살아왔는데도 모르겠다. 당장 다음 주에 펼쳐지는 새로운 환경에 어떻게 적응하며 살아가야 할지도 모르겠는데, 10대에 놓인 이 아이들의 내일이 불안하면서도 같이 보고 싶은 건 왜일까. 궁금한 것도 세상에 경험하고 싶은 것도 많은 나이, 불안하지만 그래도 한번 해보고 싶으니까 나아가고 싶은 호기심, 사소해 보이지만 인생을 걸어야 한다고 믿는 무모함마저 무기로 보이는 이 시기를 잘 건너갔으면 좋겠다. 이 책의 제목처럼, 만지기만 해도 독이 닿고, 조금만 흡입해도 죽음에 이를 수 있는 올리앤더 나무 같은 시기를 건너고 있는 듯하다. 가까이하기에는 마냥 어려운 상대, 위험한 시기를 감당해 낼 수밖에 없는. 언젠가, 어떻게든 완성될 이 아이들의 스토리가 기대된다. 호주 조기 유학의 실상을, 한인 이민자 사회의 민낯을 보여주면서, 그 사회에 머물기 위해 애쓰는 마음을 이렇게 보여준다.


#올리앤더 #서수진 #한겨레출판 #소설 #한국소설 #문학 #한국문학

#이민자 #이방인 #하니포터 #하니포터5_올리앤더 #책리뷰 #책추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