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덤
요 네스뵈 지음, 김승욱 옮김 / 비채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린 가족이다. 우리가 믿을 건 가족뿐이야. 친구, 애인, 이웃, 이 지방 사람들, 국가. 그건 모두 환상이야. 정말로 중요한 때가 오면 양초 한 자루 값어치도 안 된다. 그때는 그들을 상대로 우리가 뭉쳐야 해, 로위. 다른 모든 사람 앞에서 가족이 뭉쳐야 한다고. 알았지?” (13페이지)


동생을 사랑했다. 글쎄, 가족으로의 끈끈함이었던 걸까, 아니면 동생에 맹목적으로 되어버린 이상한 마음인 걸까. 오프가르 집안의 첫째 로위는 동생 칼에게 그런 존재였다. 약간 부족한 듯한 태도를 보이지만, 그래서 더 다른 사람의 눈을 속이기 쉬운 이미지였는지도 모른다. 어릴 적부터 형을 의지했던 동생 칼에게 로위는 조건 없는 존재였을 것이다. 언제나 동생을 보호해줄 보호자, 동생이 무슨 짓을 했어도 동생 편에 설 수 있는 지지자, 자신의 인생을 포기해서라도 동생의 옆에 머물 희생자. 로위의 삶에서 언제나 1순위였던 칼을 빼면 그의 인생 어떻게 흘러갔을까, 이제 와서 궁금해지기도 한다. 마냥 평범하게, 어느 시골의 작은 집에서 새로운 가족을 꾸리며 살아가고 있지는 않았을까 짐작해 본다.


칼이 바라보는 형은 어떤 사람일까. 오프가르 집안의 둘째 칼은 어릴 적부터 아버지에게 학대당했다. 어린 형제는 아버지를 감당할 수 없었다. 너무 강했고, 아버지의 말이라면 무조건 따라야 했던 집안의 분위기만 봐도 겁이 난다. 형보다 어린 동생에게 아버지는 더욱 커다란 존재였을 거다. 아무것도 할 수 없던 동생의 두려움을 알아챈 형의 도움으로 칼은 학대의 공포에서 벗어난다. 무난하고 무료한 날을 더 좋아했던 형과 달리, 칼은 영리한 머리로 더 넓은 세상으로 향한다. 공부하겠다며 떠난 동생에게 학비를 보내던 형에게 가끔 소식을 전하면서 형제의 우애는 지속한다. 그리고 어느 날, 칼은 형에게 돌아간다. 그들이 자랐던 곳, 그 시골 마을 오스를 변화시킬 거대한 계획을 세우고. 사실 칼이 고향에 돌아온 건 호텔 사업을 위해서였고, 사업을 위해서 고향 사람들의 투자가 필요했다. 그는 빈털터리였으니까. 이번에도 칼은 형의 도움이 필요했다. 거대한 규모의 사업을 구상하는 칼에게 로위는 언제나 그래왔듯이 협조한다. 칼은 사랑하는 동생이니까.


오르막길의 거의 끝에 있는 오프가르 형제의 집. 부모는 사고로 동시에 사망했고, 사고 흔적이 어디 있는지 알지만 찾지 못한다. 오직 형제만이 그 진실을 알고 있을 뿐이다. 형 로위는 고향에서 머물고 동생 칼은 유학 끝에 집에 돌아온다. 그의 아내 섀넌과 함께. 혼자였다가 갑자기 셋이 된 이들은 마치 처음부터 그래왔던 것처럼 지낸다. 형과 동생, 동생의 아내. 너무 사랑하는 가족이라고, 떨어질 수 없는 형제애라고 읽혔다. 타인은 모르는 그 집안만의 불행이 있었고, 그 불행의 끝에 살아남은 형제는 이제 세상의 유일한 가족이었으니, 두 사람만이 남은 상황에서 더 똘똘 뭉치는 게 당연해 보였다. 그리고 이 형제의 역사에는 살인이 있다. 두 사람을 둘러싼 거의 모든 일에 살인이 일어난다. 이들이 죽였을까? 글쎄. 그건 둘만이 아는 진실이겠지. 명확한 사실은, 둘은 형제이고, 사랑하는 가족이라는 것. 그리고?


사람의 마음이 언제까지나 한결같을지, 나는 이런 마음이 언제나 궁금했다. 그 궁금증을 로위를 통해 조금이나마 해소한 기분이 든다. 로위에게 칼은 언제나 지켜줘야 할 동생이었고, 동생의 말이라면 당연히 따라줘야 한다고 여기며 살아왔다. 형은 시골에서 자동차 정비소를 하면서 그럭저럭 살아가고 있는 삶이었고, 동생은 타국의 도시에서 그의 꿈(?)을 이루며 살아가고 있다. 무엇이든 동생이 원하는 것이라면, 이뤄지도록 돕는 게 형의 의무이자 일상이었다. 이번에 돌아온다는 동생에게 형은 같은 마음이었을 거다. 갑자기 왜 돌아오는지 궁금하면서도 동생의 말을 들어줄 준비가 이미 되어 있었다. 막상 뚜껑을 열고 동생의 입에서 나온 말에 당황할 수밖에 없었지만, 그래도 어쩌랴. 동생인데, 상처를 안고 자란 녀석인데, 내가 아니면 누가 그의 편을 들어주고 그를 행복하게 해줄 수 있을까 하는 마음. 아마도 로위는 이런 마음이 이 아니었을까? 그래도 전과 같은 건 아닐 것 같다. 세월이 흘렀고, 로위는 지금의 고요한 생활이 마음에 들었다. 갑자기 나타나 칼과 섀넌이 아니라면, 이 생활 그대로 유지하는 데 별문제는 없었을 텐데.


가끔 무슨 일이 생겼을 때 갈등에 빠지는 경우가 있는데, 그건 가족과 얽힌 문제일 때가 많다. 누가 봐도 저건 허무맹랑하고 이상한 일인데 그걸 다른 사람들에게 믿게 하려고 애쓰는 사람이 가족이라면, 나는 어떻게 해야 할까 생각한 적이 있다. 상식적으로는 그런 일을 생각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화를 내고 나무랄 것인데, 가족이라는 이유로 감싸주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것도 어쩔 수 없다. 그럴 때 정말 이성이라는 걸 장착한 사람이 분명하게 이 혼란을 정돈시켜줘야 하는데, 이 형제에게는 그 중립을 지키며 이 문제를 해결할 사람이 없다. 아니, 섀넌이 있었나? 칼의 아내 섀넌은 칼과 같은 마음일까? 두 사람의 등장은 로위의 일상을 흔들고, 오랜 세월 이 가족에게 감춰졌던 비밀이 드러날 위기에 처한다. 비밀은 비밀로 남아 있을 때 힘이 되는 법인데, 로위에게 힘이 되었던 그 비밀이 흔들리기 시작하자 이 형제의 운명도 변화를 일으킨다. 형제의 아버지가 이뤄냈던 그 왕국, 오프가르 집안의 명성을 유지하는 일은 아버지를 이어 로위에게도 운명처럼 어깨에 내려앉은 듯하다. 가문의 수치, 부끄러움은 누구의 몫인가. 로위가 해야 할 일이 점점 많아진다. 동생 칼도 보호해야 하고, 비밀이 비밀로 남도록 만드는 일도 해야 한다. 도대체 그는 무엇을 위해서 이 모든 일을 감당하고 있느냔 말이다. 가족이 무엇이기에, 형제가 어때야 하기에, 고통을 이기려고 했던 그 일들이 모두 가려진 채로 남아야만 하는 이유를, 우리는 들을 수 있을까?


가족관계, 피를 끊어낼 수 없는 혼란을 그대로 표현한 소설이 아닐까 싶다. 그 안에는 분명 사랑도 가족의 애정도 존재하지만, 때로는 끊어낼 수 있는 냉정함도 필요하다는 것을 느낀다. 어느 정도까지 우리는 감당할 수 있다고 여기며 가족을 끌어안는다. 하지만 범죄라면? 어느 날 뉴스에서나 보던 사건을 작가의 입으로 듣는다. 대개 가족 내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잔혹하고 폭력적으로 된다고, 가족의 강한 유대와 의리가 도덕을 넘어서는 순간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그 이야기라고 말한다. 가족이니까 가능한 일들, 가족이니까 해서는 안 되는 일들. 이 형제는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품고 산다.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강요하듯 자리 잡은 믿음은 이 형제에게 끔찍한 진실을 가린 채로 살게 한다. 로위가 견뎌야 했던 일은 헤어 나올 수 없는 수렁이 된다. 아마도 그곳은 지옥이 아니었을까. 로위는 그 지옥에서 한 번도 벗어난 적이 없었던 거다. 후켄 계곡에 쌓여가는 시체와 망가진 자동차를 보면서, 누구도 그 진실을 찾아내지 못하게 지키면서 살아가는 일. 아버지가 세운 왕국을 지키면서, 마치 그는 지옥문을 지키는 수문장처럼 그곳에 머문다.


우리가 사랑한다고 생각하는 다른 사람들, 우리를 사랑하는 것 같은 사람들, 그 사람들은 전부 사막의 신기루야. 하지만 형이랑 나는 하나야. 우리는 형제니까. 사막의 두 형제. 한 명이 사라지면 다른 하나도 사라져.”

그래. 죽음은 우리를 갈라놓지 않는다. 우리를 하나로 만든다.

짐승의 속도가 더 빨라졌다. 우리 모두가, 살인할 수 있는 심장을 지닌 우리 모두가 가게 될 그 지옥을 향해 가는 길이었다. (686페이지)


눈에 뻔히 보이는 살인, 용의자가 바로 앞에 있는데도 왜 이들을 가만히 둘 수밖에 없는지 지켜보는 독자는 답답할지도 모른다. 법으로 그들을 심판하려면 찾아야 할 그것, 증거. 심증 말고 물증. 매의 눈으로 주시하는 것 말고 눈앞에서 찾아낸 무언가로 살인자를 증명해야 한다. 의심하고 추측하지만, 아무도 이들 형제에게 죄를 묻지 못한다. 그렇게 범죄의 증거는 누구도 함부로 내려갈 수 없는 절벽, 후켄에 쌓여가고 형제는 여전히 숨을 쉬고 있다. 그들만의 방식으로, 그들만의 사랑으로. 혹시 지금 내가 보는 게 맞는 걸까 싶을 정도로, 로위가 풀어가는 이 이야기는 낯설면서도 익숙하고, 알 것 같으면서도 모를 것 같은 마음이 자꾸 갈등을 일으킨다. 설마 하는 순간 사실이 되고, 의심하는 순간 사건은 벌어진다. 그들의 감정을 읽어갈수록 머릿속이 복잡해졌다. 이게 사랑인가? 아니면 죽을 때까지 벗어날 수 없는 질투인가? 지켜야 할 것을 지키고, 해야 할 일을 하는 이들에게 이제 남은 건 무엇인가.


요 네스뵈의 작품을 좋아하고(이렇게 말하지만, 열정 독자는 아니었던 듯), 언제나 신간 출간 소식이 반가웠지만(언제나 신작 소식은 즐거움), 그런데도 그의 작품에 쉽게 빠져들 수 없었던 건 그를 기억하게 하는 해리 홀레 시리즈를 완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가 빠지듯이 읽어온 그 작품들은 언젠가 완독해야 할 목표가 되었고, 그러다 보니 해리 홀레 시리즈라면 신작이라도 섣불리 덤비지 못하게 하는 약간의 두려움이 생겼다. 그 와중에 만난 <킹덤>은 반갑고 또 반갑다. 새로운 독립적인 이야기인 데다가, 이보다 더 인간적인 모습이 있을까 싶을 정도의 본성(?)을 확인하게 되는 순간이었다. 가족 이야기이면서, 형제 이야기이기도 하고, 타인을 통해 나를 보는 섬뜩함까지 마주하는 일이 내 앞에 펼쳐진다.


혹시나 나처럼, 요 네스뵈의 작품을 미친 듯이 읽고 싶지만, 그 시리즈의 두려움에 망설이는 독자가 있다면 이 책을 얼른 펼치라고 말하고 싶다. 단박에 빠져들고야 말 테니. 그러고 나면 이 빠진 것처럼 읽은 해리 홀레 시리즈의 완독도 멀지 않았다는 기대감에 빠지리라.





#킹덤 #요네스뵈 #비채 #리뷰 ##책추천 #소설 #북유럽소설 #THEKINGD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