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늦가을 무민 골짜기 ㅣ 토베 얀손 무민 연작소설 8
토베 얀손 지음, 최정근 옮김 / 작가정신 / 2019년 4월
평점 :

이제야 조금 무민의 이야기를 제대로 즐길 수 있을 것 같았는데, 벌써 무민 시리즈의 마지막 이야기를 듣고 있자니 괜히 서운했다. 무민 가족과 그 친구들이 들려주는 가슴 따뜻해지는 이야기에 일상의 다정함 같은 것을 전해 받는 느낌이었다. 착해지는 마음이라고 해야 할까. 투덜거리고 싸우는 것 같아도 진짜 마음은 그게 아니라는 것을 이미 알아서일까, 이들이 주고받는 마음이 그냥 생겨난 게 아니라는 것도 알게 되니 더 푸근해지곤 했다. 그런 이야기를 이제는 더 들을 수 없다니, 매우 아쉽다.
무민 가족은 어디로 갔을까. 무민 가족이 없는 골짜기로 모두가 모였다. 어쩌다가 이렇게 다시 모여들었는지. 여름의 싱그러움은 점차 사라지고 겨울을 바라보는 가을에 이들은 다시 만났다. 바람은 차갑고, 웬만한 곳의 문은 다 닫혔다. 겨울과 함께 추위와 어둠이 몰려올 것이다. 그러니 꽁꽁 닫힌 문은 더 단단하게 닫히길 바라겠지. 그런 숲길을 걷는 스너프킨은 무민 골짜기의 친구들이 일어날 시간을 기다린다. 그럼블 할아버지와 헤물렌, 밈블, 토프트, 필리용크, 스너프킨. 이 여섯 명이 무민의 빈집으로 찾아온다. 무민 가족이 없다는 것을 미리 알았는지 몰랐는지, 아무렴 어떤가 싶은 마음들인지 무엇인지. 주인 없는 집에 모인 이들의 추운 날이 시작된다.
각자의 시간을 살면서 이들은 무슨 일을 겪었던 것일까. 마음에 어떤 생채기를 담게 되었을까. 무민의 골짜기로 모여든 이들은 각자의 아픔이 있다. 드러내지 않았지만, 그 상처 가슴에 품은 채로 살고 있다. 듣는 내가 다 알 수 없는 그들만의 아픔은 오늘을 힘들게 한다. 외롭고, 우울하다. 삶의 피로를 느낀다. 하지만 그들이 기억하는 무민 골짜기는 따뜻한 곳이다. 함께했을 때 그들은 즐거웠고, 그 시간을 기억하는 것만으로도 푸근했다. 아마도 그런 기억과 기대로 다시 그곳에 모여들었을 것 같다. 나의 마음 어루만져줄 유일한 곳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 누구에게나 그런 시간, 그런 장소 하나쯤 가슴에 품고 살아가기 마련이지 않은가. 돌아가고 싶어지는 곳, 그곳에서 마주한 것들로 마음을 채우고 싶은 곳 말이다. 무민 가족은 걱정 없이 사는 듯했고, 일상이 평화로웠다. 아마 그 분위기에 스며들고 싶어서 찾아왔을 텐데, 무민 가족은 없고 집은 텅 비어있었다. 그래서 기다리기로 한다. 주인 없는 집에서 언제 올지 모를 무민 가족을 기다린다. 그건 아마도 간절한 바람 같은 게 아니었을까. 무민 가족을 만나고 그들의 평화로움을 접하고 나면 다시 그들만의 세계로 돌아가도 더는 아프거나 슬프지 않게 살아갈 수 있다는 희망 같은 거.
주인 없는 집에 모인 방문객들이 같이 살아가는 모습은 편하지 않다. 각자 개성이 너무 뚜렷한 이들이 어떻게 지낼지 눈에 선하다. 고집불통에, 소심하고, 결벽증이 심하기까지 하는 이들이 어떻게 한 공간에서 머물 수 있겠는가 싶지만, 어쩌랴, 기다리는 이가 있는 것을. 기다려야만 하는 것을. 이들의 불만은 서로가 맞지 않는 성격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아마 이런 기분 때문이지 않을까? 그런 거, 학교 갔다가 돌아왔는데 집에 엄마가 없어서 괜히 투덜투덜, 뭔가 불안하기도 하고 그 자리에 있어야 할 사람이 없어서 툴툴거리고, 자꾸만 이 방 저 방 문 열고 엄마를 불러보기도 하는, 없는 걸 알면서도 언제 올지 기다리는 것 말고는 할 수 있는 게 없어서 입만 툭 내미는 거. 그들이 바라던 이는 그곳에 없고, 다른 이들과 한 공간에 머물면서 예상 밖의 일(무민 가족이 없었던 일)을 감당해내야 하는 불편함과 괜한 서운함 같은 거 말이다. '나는 아니야, 나는 달라, 그런 거 아니거든!' 이러면서 나에게 변명 같은 화를 낼지도 모르지만, 이들의 모습을 보면서 어릴 적 엄마의 부재로 집이 텅 비어있던 순간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어쩔 수 없다. 그렇지만 또 그 순간을 살아가야 한다는 것을 말하고 싶은 것처럼, 또 그들만의 조화를 이루면서 무민 가족이 없는 순간을 견뎌낸다. 혼자였다가 함께였다가, 각자의 뚜렷한 성격으로 서로가 맞지 않으면서도 한 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무민 가족을 기다린다는 것. 그렇다면 함께 해야만 하는 순간도 인정해야 한다. 함께 할 수 있는 것들을 찾아서, 그들의 공통된 기다림을 즐겁게 보내야 한다. 그렇게 또 하나를 겪는다. 배운다. 때로는 싸우고 때로는 벽을 세우면서도 타인과 함께 하면서 맞춰가는 스스로를 보게 된다. 이런 변화가 성장이 아니면 무엇이란 말인가, 치유와 위로가 아니라면 무엇이란 말인가.
무민 골짜기의 겨울은 해가 뜨지 않는다. 그 겨울의 길목에서 모인 이들의 마음도 딱 겨울이었을 것이다. 이 겨울을 견디는 법을 배우고자, 혹은 위로받고자 찾아온 곳에서 더 혹독한 겨울을 보낼 것만 같은 상황이 두렵기도 했을 텐데, 그래도 견뎌내는 이들의 모습이 은근한 감동을 준다. 화창한 여름에서 대부분의 것이 소멸하는 겨울로 가는 그 과정은 겪지 않아도 알 것 같다. 스산하고 춥다. 마음마저 춥다면 한파를 제대로 겪는 겨울이 되겠지. 하지만 그 겨울을 거치지 않고서는 다시 봄도, 여름도 만날 수가 없다. 무민 골짜기로 모여든 그들의 삶에서 사라진 그 무엇은, 결국 스스로 찾아야만 한다는 것을 이렇게 배운다. 추운 계절을 겪고 따뜻한 계절로 건너가는 것처럼, 무민 가족의 힘을 받아 건너가고 싶었던 마음의 겨울은 스스로 건너가야 했던 거다.
가을이 조용히 겨울을 향해 가는 시간은 나쁘다고만은 할 수 없었다. 자신을 지키고 보호하는 시간이자, 필요한 무엇이든 창고에 그득하게 채워 넣는 시간이었다. (12페이지)
읽으면서 내내 무민 가족은 언제 등장하는지 기다렸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마치 나도 모르게 도움을 줄 누군가를 계속 기다리고 있었던 것 같다. 내 안에서 부족한, 사라진 것들을 채우기 위해 누군가를 기다리는 건 의미가 없다고 말하고 싶었던 걸까? 이야기가 끝날 때까지 무민 가족은 등장하지 않지만, 오히려 그 부분이 이 이야기의 메시지가 되는 듯하다. 누군가는 다시 떠나고 누군가는 아직도 기다리고. 그렇게 우리는 각자의 마음이 흐르는 대로, 겪고 배운 만큼의 시간으로 또 내일을 살아간다. 다시 돌아오는 무민 가족을 만난다면, 괜히 더 반가울 것 같다. 당신들이 사라진 빈집이 마치 마법을 부린 것 같다고 말해주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