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유독 그 사람이 힘들다
배르벨 바르데츠키 지음, 김세나 옮김 / 와이즈베리 / 2015년 12월
평점 :
절판




나는 유독 그 사람이 힘들다

배르벨 바르데츠키 지음


며칠 전, '인간의 품격'이라는 책을 읽으며 

아담1과 아담2에 관한 인간의 관점(?)을 알 수 있었는데,

이 책이 어쩌면 그 책과 같은 선상에 놓여질 수 있는 책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었다.

연이은 독서, 책의 내용이 같은 선상에 이어지게 될 때,

개인적으로는 그 독서가 더 풍부해지는것 같은 기분이 들곤 한다.


우리 사회의 모습을 드러내는 사회 키워드 중 '자기 중심'이 있을것 같다.

'힐링'이라는 것으로 지친 우리의 마음을 위로하고 다독이기도 했지만

그 이외의 것들을 다독이는 것에는 아직 조금 부족한 감이 없지 않다.


자기 중심적인 삶에 빠진 것, 흔히들 '나르시시즘'이라고 표현되는데

이 책을 읽으며 책장을 몇 장 넘기지 않고서 

'나르시시즘'의 대한 정의가 내가 알고 있던 것에 비해 더 큰 것을 아우르는 개념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나르시시즘에 대한 작가의 정의를 바탕으로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는 혹은 나의 모습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심리학적 또는 사회학적 예시들을 만나고

그에 관한 작가의 분석을 들어볼 수 있었다.

마치 판도라의 상자처럼 항상 물음표를 달았던 , 일에 대한 궁금증이 하나씩 벗겨져가는 기분이 들었다.


나르시스적인 사람들이 가진 최고의 방어기제는 책임 전가와 경멸이다. 

모욕을 받으면 이 두 가지 수단이 작동하기 시작한다.

 모욕에 따른 분노는 너무나 격렬해서 정해진 다른 대응 방식을 모두 잊어버리게 만든다. 

다른 사람의 말은 더 이상 들리지 않는다. 

오직 자신의 논거만 들릴 뿐이다. 

생각과 행동의 범위가 좁아지면서, 자신이 생각하는 방식으로만 대상을 보게 된다. 

동료가 자기의 생각을 말하면서 진정시키려고 하면,

 그 말을 곡해하는 바람에 결국 그 동료는 죄인이나 멍청이가 되어버린다. 

자신이 갈등 촉발에 기여한 부분은 보지 않고, 다른 사람들을 바보로 낙인찍어버리는 것이다. 

(/ p.110)


책의 표지에 '자기중심적인 사람들 사이에서 자존감과 성취감을 지키는 지혜'라고 표시되어있는데,

책의 내용은 표지에 적인 내용의 그 이상인것 같았다.

오늘날 사회의 부정적인 단면을 날 것 그대로 드러낸것 같았고,

그 이유가 자기 중심적인 것에서 비롯된 것임을 여러 각도로 알아 볼 수 있게 하였다.

세상에서 나 자신을 제일 잘 알것같은 사람이 자기 자신이지만, 

사실은 자기 자신을 제일 모르는 사람 또한 자기 자신이 아닐까 싶다는 생각을 하게 한 책이다.

저자의 다른 책 또한 만나고 싶다라는 생각을 하게 한 책이다.

나르시시즘에 대한 정의부터, 그리고 그것을 알아내는 관점,

 그리고 실천 방안까지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242페이지 안에

담겨져 있는 이 책, 타인도, 나도 모두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책 

<나는 유독 그 사람이 힘들다> 서평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