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대한민국 트렌드 - 마크로밀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2016 전망
최인수 외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6 대한민국 트렌드

한국경제신문

110만 패널을 통한 과학적 조사와 전망

 

 

어느덧 2016년을 한 달 앞두고 있다.

작년 이맘때즈음에도 2015년에 대한 분석에 관한 책을 읽으며 2015년에는 부정적인 일들 보다는

긍정적인 일들이 가득했으면 하는 바람을 가졌는데,

2015년 올해는 여러 가지 면에서 아쉬웠던 점이 더 많지 않았나 싶다.

 

그렇다면 앞으로 다가올 2016년,

대한민국의 트렌드는 과연 무엇일까?

 

이 책은 part 7으로 나뉘어져 우리 생활 전반을 아우르는 분야들에 대한 미래를 예측하고 있다.

올해와 크게 다르지 않은 패턴이지만, 어떤 부분은 긍정적인 요소가, 어떤 부분은 부정적인 요소가 나타날 것으로

과학적인 조사결과를 타나내는데, 과학적 근거를 베이스로 한 예측이 날카롭고 분석적이여서

신뢰감이 많이 형성될 수 있는것 같았다.

 

개인적으로 part2부분인 '집'에 대한 이야기에 관심을 가지고 읽어보았다.

올해 우리나라 방송에서 많이 볼 수 있었던 '요리'에 대한 관심이 앞으로 DIY와 결합하여 '집'에 대한 공간으로

옮겨가지 않을까 싶었는데, 집값에 대한 이야기부터, 인테리어, 집안에서의 정서적인 안정, 그리고 개인별 맞춤형 티비 서비스 제공까지..

집에서 리모콘 하나면 많은 것들을 누릴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와 관심이 집중될것 같았다.

절반 이상은 사회적 불안감이 커지면서 집에 머무는 시간이 점점 더 많아진 것 같다고 응답했다.

많은 사람이 집에서 여러 불안감을 달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회적 불안감의 증대와 함께 집에 있는 시간이 좀 더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92

이에 대한 책의 분석과 데이터, 예측들에 대하여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미래를 내다보는 것은 한 발짝 더 멀리 달릴 수 있는 혜안이 아닐까 싶다.

그런만큼 '트렌드'를 다루는 책들을 관심있게 읽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2015년에도 그렇듯, 책에서 말한 트렌드들을 연말인 지금 뒤돌아 보니, 어느정도 맞는 것도 있고, 다르게 흘러온 부분도 있는 것 같았다.

트렌드를 말하는 책들도 좀 더 분석적이고 여러가지의 관점에서 철저하게 분석되는 것으로 성장하는 느낌도 받았다.

part 6,7에서 말하는 '불안,불신'과 같은 부정적인 요소들은 내년에는 긍정적인 것으로 풀어졌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보았다.

좀 더 나은 2016년을 위한 책, <2016 대한민국 트렌드> 서평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