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의 성과를 이끌어내는 리더십 하버드 머스트 리드 시리즈 4
피터 드러커 외 지음, 이덕주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5년 9월
평점 :
절판


조직의 성과를 이끌어내는, 리더십
기본으로 돌아가, 최고를 만든다.
HBR's MUST READS SERIES 는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HBR'에서 꼭 읽어야 할 대가들의 글을
주제별로 10개씩 엄선한 컬렉션입니다.
인적자원관리, 변화관리, 리더십, 자기경영, 전략, 핵심이라는 6가지 주제의 경영학적 이론과 사례를 담았습니다. (책 소개글 중)
 
이 책은 ON LEADERSHIP ,좋은 관리자에서 뛰어난 리더로라는 주제로 내로라하는 학자들의 이론과 사례가 담겨있습니다.
리더십, 어쩌면 너무 많이 논의되서 자칫 그 의미의 중요성이 그리 높지 않게 느껴지지 않을까하는
우려속에서도 리더십의 중요성은 많은 사례를 통해 다시 한번 경영의 기초가 됨을 알 수 있습니다.
 
리더십에 관한 그 전의 책들은 어떤 한 가지의 관점으로
리더십을 바라보고 그것이 '맞다'라고 주장하는 반면, 이 책은 여러가지의 관점에서의 리더십을 말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책 한 권을 집중해서 읽고 실천할 수 있다면
리더십에 관한 다른 책들을 몇 권 더 읽는 효과와 같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선 책의 구성적인 측면부터 보자면,
책의 편집이 독자로 하여금 이해하기 쉽게 설명되어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단순히 책이 아닌 교과서 같은 느낌도 들었구요.
이론을 설명하고 각 주제에 맞게 다시 한번 보라색 박스에 정리가 되어있습니다.
나중에 다시 읽을 때 이 부분만 집중해서 읽어도 책 한권을 다시 읽는 효과를 나타낼것같아요.
독자입장에서는 이렇게 다시 한번 깔끔하게 정리된 부분을 읽을 수 있으니
각 단원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한 눈에 요약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사실은 그 반대다.
먼저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진솔함을 높이 평가한다.
또한 리더는 어떤 능력에 대해서 솔직하게 평가하는 일을 반복해야 한다./18
 
요약하자면 리더십은 비전을 가지고 사람들을 한 쪽으로 이끄는 것이라고 정의하는 생각은 틀렸다.
왜냐하면 이런 생각은 변화를 기술적인 문제로 치부하기 때문이다.
권한이 있는 사람은 회사의 방향에 대해서 모든 것을 알고 있고 나머지 사람들은 따르기만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134
 
리더십이라면 당연 어떻게 해야지하는 틀에 박힌 고정관념을 깨뜨리는 부분도 많았습니다.
리더는 모든 것을 알고 , 비전을 가지고 사람들을 한 쪽으로 이끄는 것과 같은 것 말이죠.
하지만 이런 리더상은 오늘날에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없다고 하는 것과 같이
새롭고 현실적인 리더상이 요구됩니다.
그래도 리더가 그래도 될까? 하는 물음에 대한 것에 느낌표를 찍어주는 듯한 확답이 들어있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책을 읽고 나니 리더십에 대한 느낌이 다르게 느껴졌어요.
현실적으로 요구되는 리더십은 이거구나,
그런데 아직도 틀에 박혀있는 리더십에 대한 정의와는 격차가 있구나
하는 점을 비롯해 실무이야기를 통한 구체적인 예시를 볼 수 있어서 책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오늘날의 리더십에 대한 책, '조직의 성과를 이끌어내는 리더십'의 서평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