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이 바다를 건넌 날 - 한국과 일본, 라면에 사활을 건 두 남자 이야기
무라야마 도시오 지음, 김윤희 옮김 / 21세기북스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라면이 바다를 건넌날
무라야마 도시오
21세기북스

개인적으로 '라면'을 좋아해서 이 책의 제목을 보자마자
'아 이건 읽어야겠다!'하고 생각한 책이었어요.
책의 표지또한 라면스럽게(?)되어있어서 재미있었습니다. ^0^

우리나라는 라면 소비량이 높다고 합니다.개인소비량 1위라니 새삼스레 다시 한번 놀랐습니다.
(저도 한 몫하고 있는것 같습니다만....^^;;)

그런데, 이 라면이 어디서부터 어떻게 왔는지에 대해 말하라고 하면 '글쎄'하고 말을 잇지 못할것 같아요.
라면은 전통(?)적인 고유음식은 아니지만 김치가 없으면 서럽기도 한 가장 익숙하고 대중적인 음식인데도
불구하고 라면의 역사는 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 책의 저자 무라야마 도시오는, 한국에 애정을 가지고 있는 일본 사람으로
한국의 라면 역사를 그 당시 생생한 역사 이야기와 함께 이 책에 풀어내었습니다.
근현대사 책에서 봤던 그 당시의 이야기를
라면을 통해 다시 보니 또 다르게 느껴졌습니다.
더 생생하다고 해야할까요?
1960년에 어떠한 발전에 집중했고 그 다음 70년엔 어떤 일이 있었고 이러한 텍스트들이
사람이 살아가는데 있어 제일 중요한 '먹을 것'을 통해 보니
그 시대를 감히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먼 나라 이야기처럼 느껴졌었습니다.

'꿀꿀이 죽'
지금도 쓰는 말이지만,
그 당시 이 죽을 먹기 위해 국민들은 기나긴 줄을 서야했고
그렇게 기다린 음식엔 담배 재도 들어있었습니다.
미군이 남긴 음식을 불리고 불려 만든 음식이었으니까요.
이런 국민들의 모습을 보고 '전중윤'씨는 다니던 직장을 버리고 식량산업으로 뛰어들게 되는데요
그렇게 만든 라면의 모습이 우리가 생각하는 라면의 이미지인 '인스턴트'와는 많이 다르구나 하는 점을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그 당시 한국 상황을 읽다보니 얼마전 광복 70주년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광복 후 , 한국전쟁 그리고 오늘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주변국들과의 이야기도 함께 말이죠.
일본에게 있어서 한국전쟁의 의미도 다시 알게되었구요.
가볍게 읽을 줄 알았던 '라면'의 역사가 책을 덮고 나니 꽤 무겁게 다가왔습니다.
앞으로 만날 라면은 조금 더 다른 생각으로 먹을 것 같아요.

라면 플러스 알파가 담긴 책이 아닐까 싶습니다.
책을 읽기 전 라면의 맛과, 책을 읽고 난 후의 라면의 맛이 달리 느껴질 것 같습니다.

고맙다, 라면 !

<라면이 바다를 건넌 날> 서평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