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견이란 무엇인가 - 데카르트, 칸트, 하이데거, 가다머로 이어진 편견에 관한 철학 논쟁을 다시 시작한다
애덤 아다토 샌델 지음, 이재석 옮김, 김선욱 감수 / 와이즈베리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편견이란 무엇인가
애덤 샌델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는 '마이클 샌델'의 아들 '애덤 샌델'의 책이 출간되었다.
아들인 애덤도 아버지 마이클에 못지않게 그만의 철학이 뚜렷하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읽어낼 수 있었다.
마이클 책이 철학과 현실에서 논의 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접목시켰다고 봤다면
애덤은 '편견'을 주제로 한 끝없는 고찰이 담겨 있는데
편견의 편견을 없애거나 혹은 우리가 알고 있는 '편견'이라는 것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시도를
데카르트, 칸트, 하이데거,가다머 등을 통하여 편견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모든 철학적 관점을 망라한것 같은 느낌이 들 정돌
전문적이었고 그 깊이 또한 굉장했다.

이 책의 서문을 읽으면서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지체 되었는데,
인문,철학책인 점도 한 몫했지만 , 무엇보다 가장 큰 이유는 '익숙치 않은 용어'가 아닐까 싶었다.
이를테면, 비관여적 판단 detached conception 이라는 건데, 이것은 애덤이 이 책을 통해 도전하고 자하는 판단에 관한
사고방식으로서, 즉 편견을 무조건 배격하는 현상을 말한다. (/14)
그리고 또 하나의 개념으로서는 정확적 판단 situated conception 이 있는데,
이것은 완전한 판단이란 잘못된 사고방식에서 나온 것이라고 한다. 
정황적 판단 개념에 따르면 우리가 처한 삶의 환경은 합리적 사유에 대한 방해물이 아니라 합리적 상에 정보를 
제공하여 판단을 가능하게 해주는 관점으로 기능하게 된다.

이렇게 크게 2가지의 개념을 가지고 그 뜻을 잘 이해하고, 익숙해질때까지 바로바로 찾아볼 수 있도록 표시해두면
이 책을 읽어나가는데 있어서의 하나의 소소한 팁이 아닐까 싶다.
전반적으로 어려운 내용이었지만 이 두가지의 개념을 중심으로 편견이라는 것에 대해 애덤이 안내하는대로
계속 읽어나가다보니 어느새 '철학의 편견'또한 뒤로한채 그의 글을 속도감 있게 읽어나갈 수 있었다.
책을 읽으면서 개인적으로 아쉬웠던 부분은 애덤의 말을 조금 더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개인적 독서가 뒷받침 되어있었으면 좋았을걸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언급하는 철학자 또는 철학의 이야기들이 그 원문을 찾아 제대로 읽어보고 싶어하게끔 하는 호기심을 자극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베이컨과마찬가지로 데카르트도 편견이 우리의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의식하고 있었다.
그는 편견과 이상이 인간의 앎을 지배하기 위해 끝없는 경쟁을 벌인다고 보았다.
베이컨이 동굴에서의 탈출을 계몽으로 향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도전적인 단계로 본 것과 마찬가지로
데카르트는선입관을 유예하는 것이야말로 철학함의 제1원리이자 가장 도전적인 원칙으로 보았다.
예컨대 그는 이성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일을 '고된 작업'으로 칭했는데,
그것은 "나의 습관적 의견이 계속 일어나기 때문이다. 습관적 의견은 나의 바람에도 아랑곳없이 나의 생각을
사로잡는다. 나의 생각은 오랜 직업과 관습 법칙의 결과물로서, 습관적 의견에 종속되어 있다."
(/57)

편견에 대해 당연한 듯 생각해왔던 어떤 것들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었고
편견 그 자체에 대해서도  나를 둘러싼 모든 영향들,생각들에 대해 '생각'할 수 있었던 독서였다.
'생각하는 힘'을 기르게 한 책,
애덤 샌델의 "편견 이란 무엇인가", 일회독으로 덮기엔 조금 어렵고 아까운 느낌이 들어
조만간 다시 공부하는 마음으로 읽을 계획을 다짐하게 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