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형 박사의 둔하게 삽시다
이시형 지음, 이영미 그림 / 한국경제신문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시형박사의 둔하게 삽시다.

 

과잉의 시대,

불행한 삶을 사는 우리에게 던지는 단순하지만 깊이 있는 깨달음이 담긴 책입니다.

이 책에도 적혀있듯이 '둔하게 삽시다'라는 어감이 어쩌면,

 바쁜 현대인들에게 그저 허황된 이야기라고 여겨질 수 있으나

'둔하게'라는 말이 필요이상으로 긴장된 신경들을 조금 느슨하게 내려놓고 올바르게,

그야말로 '잘'살아갈 수 있는 하나의 방법론이

담긴 책입니다. 2015년도 어느새 6월이 코앞에 있는 지금

1월의 시작과 함께 무수한 계획들이 실천 혹은 실천되지 못하며

누군가에게 쫓기듯 살아왔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마 이 책을 만나지 않았더라면 지금 제 상황에 대한 시선도

오로지 제가 바라보는 세상의 시각으로 멈춰버릴 수도 있었겠구나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긴장속에서 살아왔구나 하는 점을 새삼스레 알게되었고,

어쩌면 이것이 긴장인지도 모르는,

이렇게 긴장을 하고 살아도 모자르다라는 생각속에서

'행복'이라는 단어는 넣어둔 채로 시간을 보내왔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책을 만날 독자분들도 삶의 긴장과 행복의 상관관계에 대한 생각을 하실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앞으로의 시간들을 어떻게 살아야겠다라는 인생의 큰 지향점을 수정할 수도 있구요.

 

나는 이제 좀 둔하게 살자고 권하고 싶습니다.

 요즘 우리나라 사람들은 거의 병적인 수준으로 과민 상태에 다다랐습니다.

이대로는 안 됩니다.

신문 사회면에 등장하는 사건사고들을 보면 이미 위험수준을 넘어섰습니다.

이렇게 과민해서야 마음 놓고 살 수 없습니다.

4시간 긴장상태에 있는 사회라 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도대체 우리 사회가 어쩌다 이렇게 사람들을 과민하게 만들게 되었을까요? 가해자, 피해자 모두가 과민 상태에 빠져 있습니다.

 저는 이러한 모든 것을 통칭 '과민증후군'으로 부르기로 했습니다.

여기서 '과민증후군'은 정신과적 진단명은 아닙니다.

하지만 오늘의 한국사회, 한국인의 사회적 정신병리를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는 개념으로서 이보다 적절한 표현은 없을 것 같습니다.
<책 중에서>

 

상처에 민감하지 않은 둔감력, 필요한 순간에

 제대로 쓰이지 못하고 항상 날카롭게 살아있다면 그 화살의 끝은 남이 아닌

자기에게 놓여있다는 사실을 잊은채로 살아가고 있는게 아닐까 하는 만큼,

현재를 살아가는 나에게 큰 호흡을 한번 들이쉬고 내쉬게 해주는것 같았습니다.

그리고 작은 위로도 받을 수 있었구요.

책의 구성적인 측면에서보자면,

책의 장을 나누는 부분이 편하게 읽을 수 있도록 파스텔톤으로 되어있어서 좋았습니다.

책의 중간 중간 짧지만 기억하고 싶은 문구들이 놓여있어서

따로 발췌하여 잘 보이는 곳에 문구를 옮겨놓고 싶기도 했습니다.

자칫 나도 모르게 필요이상의 긴장이 24시간을 지배해버릴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추상적인 관점에서만의 둔감력이 아닌 과학적 접근으로 왜 과잉의 삶을 조금 내려놓아야하는지 설명되어있고,

세로토닌적 삶이 어떠한 것이고 그러한 점들이

 어떻게 나에게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배울 수 있어서 유익한 독서였다고 생각합니다.

봄바람이 살랑살랑 부는 5월의 계절, 지금 딱 읽기 좋은 책인것 같습니다.

나도 몰랐던 나의 과민증후군의 대한 이야기,

<둔하게 삽시다>의 서평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