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C 힐러리 로댐 클린턴
조너선 앨런.에이미 판즈 지음, 이영아 옮김 / 와이즈베리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HRC 힐러리 로댐 클린턴  

조너선 앨런, 에이미 판즈
와이즈베리

2016년, 미국의 대선에 대한 이슈가 슬슬 거론되고 있다.
대선 인물 중에 가장 유력한 후보이자,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힐러리 클린턴'.
이 책은 그녀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 책의 저자 조너선 앨런과, 에이미즈 판즈는 힐러리의 이야기를 듣고 이 책을 써나갔는데,
여러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힐러리의 모습들을 보며 그동안 어쩌면 편면적으로만 알고 있던 모습이
이러한 이야기들을 통해 ​그녀의 새로운 모습을 알 수 있겠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힐러리 클린턴은 2008년 민주당 예비선거에서 패배후,
그녀의 전반적인 정치적인 인생에서 가장 큰 위기를 겪었다고 볼 수 있었는데,
오바마의 대통령 당선 이후, 국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그녀의 역량을 볼 수 있었다.

'힐러리', 어쩌면 고유명사와 같은 굳어진 그녀의 이미지가 (마치 양날의 칼과 같은)
고루한 인물로서가 아닌, 이 시대에 꼭 필요한 지도자의 자질을 확인 할 수 있는 하나의 자료를 본 것 같았다.
​미국의 대선이 한국에 영향에 끼치는 것도 분명히 있는 만큼,
2016년 대선으로 거론되어지는 인물들의 평가, 흐름의 역학관계가 궁금한 이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지도자의 모습으로서의 힐러리는, 외교관 역할에 있어서 미국인들의 2/3이 만족 할만한 업무성과를 해내며,
그동안 굳어져있던 어떠한 정치인의 모습이, 업무수행능력평가로 초점이 맞추어져
진정한 실력자의 모습을 볼 수 있지 않았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어렸을때부터 '힐러리'의 이름을 들었던 만큼, 그동안 힐러리의 정치인생 또한 오래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점들이 장점이자 어쩌면 단점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또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들을 어떻게 장점화시켜 미국의 미래를 다시 이끌어 나갈 지 궁금해졌다.
책으로만 써져있는 리더십에 대한 이야기가 아닌, 실제 우리 동시대를 살고 있는 인물의 이야기로서,
그 리더십을 배울 수 있는 좋은 독서였다고 생각한다.

그녀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내년에 있을 대선, 그리고 그 후의 미래가 한 데 어우러져 그녀의 모습을 읽어낼 수 있게했다.
정치든, 경제든, 어떠한 면에서도 다른 곳과 비교했을 때에 합리적일것 같은 미국사회에서도
여성에 대한 유리천장이 존재한다는 사회속에 힐러리는 또 어떤 돌파구를 보여줄지도 ​궁금해졌다.
물론 그녀가 일반 사람들이 말하는 '유리천장'에 해당되는 사람들과는 어떠한 면에서 다르다는 잣대를 들이밀수도 있겠지만,
단순하게 편면적인 모습에서 볼때 미국의 보수적인 면모속에서의 힐러리의 모습을 통해 또 다른 미국사회의 모습을
읽어낼 수도 있지 않을까생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힐러리는 미국정치에 있어 가장 유명한 여성 정치가인만큼
그래서 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보게 되는 2016년 대선을 보는 것 같다.
상원의원때는 어떤 한쪽에서는 단순히 운이 좋은 여자라고 일컬어질때도 있었지만,
이 책의 인터뷰를 통해 그녀의 노력을 읽을 수 있게 되었다.

보좌관이 가지고 온 자료들을 매일 아침 브리핑을 준비시켰고,
국무장관이 되고 나서는 자신의 가족들에 대한 뉴스 기사들과 논설까지 포함시키며
안과 밖으로 노력을 많이 했구나하는 점을 알 수 있었다.

​ 책에서 흥미롭게 읽었던 부분이 스마트파워라는 방식이었는데,
이것은 다른 어떠한 목표와 연계하면 더 큰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지략이 아닐까 생각했다.
 미국은 다른 여러나라와의 관계도 중요한만큼 또 이것의 문제와 자국 국민들의 이해관계?를
쉽게말해, 잘 풀어내기 위한 좋은 방법이 아닐까 생각했다.

다음 대선을 생각했을때, 국무장관의 시기가 오로지 국무장관의 업무가 아닌 다른 쪽으로도 생각했을수도 있었을텐데,
그녀의 큰 관심사는 미국의 바람직한 가치를 중심으로 두고 업무를 수행했다는 것을 읽어낼 수 있었다.
그리고 얼마전에 읽었던 진보와 보수의 프레임을 말한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와 연계시키니 읽는 재미가 더 배가 된 것 같았다.
한 사람으로서, 한 여성으로서, 정치인으로서, 그리고 내년 대선에 있을 중요한 후보자의 한 사람으로서,
여러가지의 면을 읽어낼 수 있는 독서였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