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 미국 진보 세력은 왜 선거에서 패배하는가
조지 레이코프 지음, 유나영 옮김, 나익주 감수 / 와이즈베리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보와 보수, 문제는 프레임이다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10주년 전면개정판

조지 레이코프

와이즈베리

 

언어학이라는 분야는 알면 알수록 흥미롭다.

생각과 언어의 관계는 생각이 언어에 갇히는 것인지, 아니면 그 반대의 관계에 놓여있는 것인지에 대한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면 그 과정에서 상당히 재미있는 이론들이 많이 거론될거라 생각한다.

이것을 조금 다른 시선으로 바라본, 정치에 대한 프레임에 대한 이야기는 어떠할까?

인지언어학 분야를 창시한 조지 레이코프의 10주년 전면개정판인 이 책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은,

모순이라고 여겨질 수 있는 사회, 경제문제에 대해 프레임이라는 시각으로 그 문제를 바라본다.

어쩌면 아직까지는 낯설게 여겨지는 언어학이라는 시각에서, 정치와 사회가 연관된 문제들을 이야기하는 글들은 

조금은 충격적이자 그동안 보아왔던 시야가 확 트이는 듯한 기분까지 드는듯 했다.

 

이 책의 제목,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누군가에게 이 책의 제목의 말을 하게 되면, 스스로 '코끼리'를 떠올릴 것이다.

이러한 언어와 생각의 구조는 대단히 밀접한데,

이것을 보수정당에서 프레임이라는 구조를 통해 대중들에게 전하는 메세지를 살펴본다.

피케티의 통찰, 기업의 지배 , 환경문제, 세금과의 관계 등

미국사회내에서 일컬어지는 문제들을 읽어낼 수 있는 생각의 힘을 기를 수 있게 하고

또한 한국어판에서는 번역자와 감수자가 논의하여

 미국의 상황을 한국의 상황과의 적용관계에 대한 부분을 통해

우리 사회내에서의 프레임은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 지에 대한 쟁점들을 읽어낼 수 있다.

 

이 책의 저자 조지 레이코프는 이런 쟁점들을 추상적인 말로만으로 풀어낸 것이 아닌,

과학적, 심리학적인 접근으로 대중들의 생각을 분석했다.

특히 5장에서 다룬 '정치와 인성'이란 부분인데, 여기서 다루어진

'감정이입과 도덕성 이면의 과학'에서 뇌, 뉴런 체계를 통해 감정이입의 효과를 설명하고

이런것들이 공감과, 정치 인성이라는 분야까지 하나로 유기적으로 설명되어져있다.

 

이러한 분석들을 읽으면서 어쩌면 '무섭다'라는 단어가 생각날 정도로

정말 세분화되어있다는 점을 통해, 프레임에 대한 것을 읽지 못한다면

수동적인 입장에서 사회문제들을 바라볼 수 밖에 없겠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진실이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려면,

그것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존의 프레임에 부합해야 합니다.

만약 진실이 프레임과 맞지 않으면, 프레임은 남고 진실은 튕겨 나갑니다.

왜 그럴까요?

-47

 

며칠 전 읽었던 캐스 선스타인의 '누가 진실을 말하는가'를 읽어서 그런지

진실과 프레임의 관계는 어떨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캐스 선스타인과 조지 레이코프가 만난다면 어떠한 대화가 오고 갈지도 궁금해졌다.

정치와 도덕, 그리고 언어라는 프레임.

읽어내지 못한다면, 프레임의 덫에 걸려버릴 지도 모르겠다.

단 한단어만으로도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프레임,

보다 더 넓은 시야를 갖게 해준 책,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서평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