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가 편한 사람들의 관계 심리학
데보라 잭 지음, 이수연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혼자가 편한 사람들의 관계심리학
데보라 잭 지음
이수연 옮김
 
시끄러운 세상에서 조용한 사람이 살아남는 법 !
케케묵은 인간관계 규칙깨기
 
 
스마트폰과 같은 기계의 발달 , 그리고 SNS라는 새로운 소통의 장까지 몇년 만에 급속도로 발전했다.
'인간관계'는 이 속에서 새로이 재조명되고 있고 인터넷상에서는 나의 의견을 당당히 표출하고
이야기도 많이 나눌 수 있는 친구들이 많지만 현실 세계에서는 '내성적'인 사람으로 지내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어느샌가 외향적인 사람은 좋은 사람, 내성적인 사람은 외향적인 성격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는 사람으로
사회에서 인식되고 있는것 같다.
누군가에게 내성적인 사람으로 비춰지기보다는 외향적으로 보이고 싶어하는 사람들도 많은것같고,
이에 자신의 진정한 면모와 보여주기 위한 행동의 차이에서 괴리감도 적지 않게 느끼는것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외향적-내향적 사람을 좋고-나쁘고와 같은
 이분법적 사고를 하는것은 위험하고 잘못된 생각이구나. 하는 점을 배울 수 있었다.
인간관계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인간관계를 못한다고까지 생각한다.
사실은 그 반대라는 것이 저자의 설명이다.
도리어 엄청난 마당발이 될 자질을 가추고 있다고 한다. 그동안은 그저 잘못된 규칙을 따랐을 뿐이다.
 
평소 스스로 외향적이라고 생각했던 사람도 이 책을 읽는다면,
'아 내가, 사실은 내성적인 사람이구나,'라고 깨닫게 될지도 모르겠다.
나도 몰랐던 나의 본성을 알게되는것같고
내향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을 어떻게 대해야하는지 인간관계에 관한 노하우도 들을 수 있다.
 
책을 읽고 난 후 그냥 덮지말고 자신이 필요한 부분을 표시하여
저자가 말해주는 노하우들을 습관처럼 행동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 또한 필요하다.
그래야 이 책을 읽는 진짜 의미가 있을듯 ^^
 
나는 내성적인 삶이 단체 활동을 잘 못한다는 그릇된 생각을 완전히 없애고 싶다.
이 잘못된 편견은 꼭 사라져야 한다.
순진한 사람들은 내성적인  사람들이 내부 지향적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못한다는
엉성한 논리에 고개를 끄덕인다.
하지만 절대 그렇지 않다.
내성적인 사람들은 집중력과 세세한 부분에 대한관심,
이면을 들여다 볼 수 있는능력을 이용하여 팀에 훌륭히 기여한다.
-책 049쪽 내향성과 외향성의 차이
 
내향적인면은 그동안 부정적인 시각에서 많이 바라보았다.
하지만 외향적인 면모와 다르게 장점또한 많고 훌륭했다.
이렇게 내향적인면과 외향적인 면의 차이를 객관적으로 고찰할 수 있어서 이 둘의 관계를 새롭고 신선하고 편견없이 바라볼 수 있었다.
 
 
황금률과 백금률에 대한 설명도 신선했다.
황금률 : 내가 대접받고 싶은 대로 다른 사람을 대접하라
백금률 : 상대방이 대접받고자 하는 대로 대접하라.
 
이 둘의 차이가 인간관계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내 자신이 어떻게 성장할 수 있는지 책에서 보여준다.
 
또한 책목차마다 명언과 간단한 퀴즈가 있어서 흥미롭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개인적으로 이런 재미는,
그동안의 편견을 깬다라는 점에서 신선하고 재미있게 다가왔다.
 
심사숙고와 관점 전환을 통해 "실패했어"라고 생각해왔던 것을
실패가 변화의 신호이자 개선의 기회라고 관점을 전환해보자
危機
첫 글자는 위험을, 두번째 글자는 기회를 뜻한다.
이 두글자를 한단어로 보면 위험이라 생각했던 것이 사실은 기회라는 뜻이된다.
 
관점의 전환을 통해 나의 성격과 나를 둘러싼 사람들과의 원만한 관계를 위해
노력해보자.^^
 
+ ) 책의 구성도 깔끔하고 중간중간 도표도 있어서 이해하기 쉬운 책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