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혜옹주 - 조선의 마지막 황녀
권비영 지음 / 다산책방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고종이 소재가 되어 TV에 나오면 시청률이 바닥이 된다는 얘기를 들었다. 그 만큼 우리들이 구한말 대한제국 시대의 역사를 부끄럽게 여기고 보기 싫어한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그 동안 접했던 조선말, 대한 제국의 이야기는 대부분 명성황후, 대원군, 동학 뭐 이 정도였던 것 같다.  

     덕혜옹주는 몇 년전 윤석화 주연의 연극때문에 처음 이름을 들어보았었다. 그전까지는 영친왕, 의친왕은 들어봤어도, 한낱 '옹주'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곳은 없었다. 연극이 인기를 얻을때에도, '아, 조선의 마지막 황녀얘기래'정도의 관심만 있었지, 그 여자(?)가 어떻게 살았고 어떻게 죽었고 하는 생애적인 관심은 전무했다.  

     그러던 찰나, 덕혜옹주 이야기가 이제 베스트셀러라 되었고, 이에 나도 베스트셀러 중 한 권쯤은 읽어봐야지하는 맘에 책을 들었다.  

     어린 나이에 나라를 잃고, 아버지를 잃고, 조국을 떠나고, 원치 않는 결혼을 하고, 딸도 떠나고,.. 가장 믿던 여종마저 그녀를 지키다 떠나고... 그곁에 누구도 남아 있지 않게 되었다. 그러다 어릴 적 아버지 고종이 정혼해준 약혼자의  도움으로 마침내 대한민국으로 돌아온다. 고국에 돌아온 후 이승만 정부의 감금 아닌 감금으로 창덕궁 낙선재에서만 기거하다 조촐한 죽음을 맞는다.  

     간단한 줄거리이지만 권비영 작가는 깔끔한 문체로 군더더기없이 잘 표현해놓았다. 진짜 눈 깜짝핼 새에 한 권을 다 읽게 된다. 그렇다고 글이 가벼운 건 또 아니다. 깔끔한 이야기체에 덕혜옹주의 그 가녀린 어깨에 가졌을  역사의 고뇌와 무게에 고스란히 느껴지기 때문이다.  

     우찌하였든, 조선말 우리의 가슴 아픈 역사를 다시 되돌아보고, 해방 후 이 승만정권의 조선 왕실에 대한 처우를 되새기게 해준 유익하고도 재밌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