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전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 아노크라시, 민주주의 국가의 위기
바버라 F. 월터 지음, 유강은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부가 지속적인 항의 시위에 어떻게 대응할지는 분명하지않다. 감정이 고조되고 예상치 못한 사태가 발생한다. 비타협성과 공포가 자리를 잡는다. 양쪽 사람들 모두 복수를 요구하고 추구한다. 지위가 격하된 집단의 성원들이 초기에 벌이는 테러 행위가 흔히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위험한 것은 이 때문이다.
폭력 사업가violence entrepreneur들은 더 큰 목표를 노린다. 21세기 초의 몇십 년 동안 전쟁을 도발하려는 이 극단주의자들은 전례 없이 강력한 신무기를 보유하고 있다. 값싸고 신속하고, 분노와 원한을 불러일으키는 데 더없이 훌륭하며, 대다수 사람이 아직 그 위험성을 충분히 알지 못하는 무기다. 소셜 미디어가 바로 그것이다.

_ 희망이 사라질 때 중 - P134

하지만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결국 판도라의 상자였다는 것이 드러나고 있다. 정보 공유의 시대는 허위 정보(잘못된 정보)나가짜 정보(고의로 퍼뜨리는 잘못된 정보)가 확산되면서도 규제를받지 않는 무분별한 통로를 양산한다. 예전에는 언론 환경에서 배제된 또는 적어도 대규모 청중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던 - 사기꾼, 음모론자, 트롤, 선동가, 반민주주의자 등이 갑자기 영향력을 얻었다.

_ 촉매 중 - P142

현대사에서 반민주적 성향의 포퓰리스트가 집권하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 아니다. 민주주의 국가가 퇴보를 겪는 것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그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전에는 군 장성들이 쿠데타를 일으키면서 독재가 생겨났다. 하지만 지금은 유권자들 스스로가 독재를 탄생시킨다.

_ 촉매 중 - P151

포퓰리즘은 <민족, 보호, 타자, 분노, 공포〉와 같은 감정적으로 충만한 주제에 호소하는 식으로 <강력>하고 <원시적인> 반응을 촉발시킨다. 스웨덴에서 <사회 뉴스>와 <뉴스투데이>에 올라오는 이야기는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작성되었다. 스웨덴인의 안전, 가족의 안전, 스웨덴의 문화와 사회에 대한 공포를 조성하는 내용이었다. 주로 이런 사이트들에서, 알고리즘에 의해 부각되고 강화된 뉴스를 접하면 금세 스웨덴이 결딴나는 중이고 이것이 다 이민자들과 극좌파들 때문이라고 믿게 된다. 누가 뭐라고 설득해도 이런 믿음만 강해질 뿐이다.

_ 촉매 중 - P1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