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전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 아노크라시, 민주주의 국가의 위기
바버라 F. 월터 지음, 유강은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후세인이 생포되었을 때, 민주화를 탐구하는 연구자들은 축하하지 않았다. 민주화, 특히 심각하게 분열된 나라에서 급속하게이루어지는 민주화는 엄청난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다. 실제로 변화가 급진적이고 급속할수록 안정을 해칠 가능성이 높다. 미국과 영국은 자신들을 환영하는 주민들에게 자유를 안겨 주고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실상은 내전이 벌어지기 딱 좋은 조건을 안겨주려는 참이었다.

_ 아노크라시의 위협 중 - P25

미군은 불과 몇 달 만에 후세인을 권좌에서 끌어내리고 이라크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경로에 올려놓았었다. 하지만 거의 그만큼 빠르게 이라크는 내전 상태에 빠졌고, 잔인하기 짝이 없는내전이 10년 이상 지속될 터였다. 독재자의 동상이 쓰러진 것처럼, 누르의 희망 새로운 목소리, 새로운 권리, 새로운 꿈에 대한희망도 모두 산산조각이 났다.

_ 아노크라노의 위협 중 - P29

아노크라시, 특히 독재적 특징보다 민주적특징이 더 많은 아노크라시 (연구단은 이를 <부분적 민주주의>라고 지칭했다)는 정치 불안이나 내전을 겪을 가능성이 독재 정부보다 두 배, 민주정부보다는 세 배 높았다.

_ 아노크라시의 위협 중 - P36

누르는 자신이 소수파이거나 혹은 종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친구들이 시아파인지 수니파인지도 알지 못했다. 「그런데 사람들이 공개적으로 그런 질문을 던지기 시작하는 거예요. 당신은 누구인가? 어디 출신인가? 종교가 무엇인가? 나라면 이렇게 말하겠어요. <나는 이라크인이에요. 왜 그런 질문을 하는 거죠?>」 누르가 고개를 저었다.

_ 아노크라시의 위협 중 - P50

정치 불안정 연구단은 오래전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던 중에 인상적인 양상을 발견했다. 각국의 한 가지 독특한 특징이 정치 불안정 및 폭력과 강한 관계가 있었다. 그것은 <파벌주의>라고 명명한 극단적 형태의 정치적 양극화였다. 파벌주의로 분열되는 나라들에는 이데올로기보다는 종족이나 종교, 인종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정당들이 존재하는데, 이 정당들은 타자를 배제하고 희생시키면서 통치하려고 한다. 구 유고슬라비아 시민들은 정치적 신념에 따라 스스로 조직할 수 있었다. 티토가 장려한 것처럼 공산주의를 중심으로 뭉치거나 자유주의나 코포라티즘corporatism을 중심으로 합칠 수도 있었다. 그 대신 지도자들은 종족적, 종교적 정체성을 활성화하는 쪽을 택한 뒤 전면적 지배를 추구했다.

_ 고조되는 파벌 싸움 중 - P59

<파벌화되었다>고 간주되는 나라들에 존재하는, 정체성에기반을 둔 정당들은 대개 비타협적이고 유연하지 않다. 정당들 사이의 경계가 엄격해서 치열한 경쟁과 심지어 전투로까지 이어진다. 경쟁하는 집단들은 종종 규모가 비슷하다. 실제로 두 집단사이에 힘의 균형이 존재할 때 이처럼 치열한 경쟁이 발생한다. 승리나 패배의 결과가 대단히 크기 때문이다. 이 당들은 또한 성격상인물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족적, 종교적 민족주의에호소해서 권력을 획득하고 유지하는 지배적 인물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대개 일관된 정강정책이 부재하다.

_ 고조되는 파벌 싸움 중 - P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