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의 황홀 - 온 세상을 끌어들이는 한국의 정원
윤광준 지음 / 아트레이크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화정 석축의 아름다움을 스쳐버리면 안 된다. 납작돌만을 써서 쌓은 2단 석축의 안정감은 각별하다. 전라남도 화순에 있는 운주사의 석탑에서도 이런 느낌을 받은 적 있다. 돌의질감과 색깔이 중요하다. 만든 이는 석축 쌓는 돌의 재질과 방법도 허투루 여기지 않은 미감을 지녔음이 분명하다.

_ 보성 열화정 중 - P223

체화정 양옆엔 배롱나무 고목 두 그루가 있다. 형제의 우의를 다지기 위해 만든 정원이니 서로의 상징으로 다가온다. 붉은 배롱나무꽃으로 둘러싸인 체화정은 여름 한 철 화려함을 뽐낸다.

_ 안동 체화정 중 - P231

만휴정 앞의 송암폭포가 얼어붙은 겨울에 이곳을 찾았다. 여름에 가보니 이런 풍경은 마주칠 수 없었다. 주변 숲의 울창함에 파묻혀버려서다. 만휴정은 우리 정원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폭포가 있는 멋진 경치 속에 사람이 들어가면 모든 것이 해결되는 만휴정에선 넉넉해진다. 산과 물, 하늘이 몽땅 내 것 같은 시선의 포만감을 느끼게 될 테니까.

_ 안동 만휴정 중 - P238

강을 멀리 돌아 들어와야 고산정에 닿는다. 누마루에 앉으면 이어지는 청량산과 낙동강이어우러진 풍경을 만든다. 바깥에 있는 이들은 절경 속의 고산정을 보고 안에 있는 이는 넉넉하지만 소박한 보통 풍경을 본다.

_ 안동 고산정 중 - P250

배롱나무꽃 만발한 명옥헌에 때맞춰 들른다는 건 거의 행운에 가깝다. "바쁘다 바빠!"를입에 달고 다니는 현대인에게 시간의 여유가 있을 리 없기 때문이다. 나도 열 번 넘게 명옥헌을 찾았지만 배롱나무꽃 핀 모습을 본 기억이 별로 없다. 사진 속의 명목헌도 만개된 상태가 아니다. 온 산은 붉은색으로 넘실대고 내는 핏빛으로 흐른다는 소문은 언제 확인해볼 수 있을까.

_ 담양 명옥헌 중 - P2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