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중국의 영토 확장주의를 저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항행의 자유‘를 수호한다는 명목으로 중국의 12해리 구역 안으로 군함을 보내 교전을 일으켰다. 이러한상황에서 중국의 힘을 두려워하는 아시아국가들은 한편으로는 미군에 기대면서, 동시에 ‘경제적으로는 특히 2022년 1월 1일부로 발효된 동남아시아 10개국과 한국, 일본, 중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15개국 간의 자유 무역 협정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을 통해 중국과 가깝게 지내는 등 이중 전략을 펼치고 있다.
_ 중국 중 - P107
중국의 커져가는 야심과 미국의 탈퇴에맞서 일본은 보다 자주적인 정책을 펼치기로 결심했다. 여기에는 2018년 말 발효된, 미국이 빠진 채 11개국으로 구성되면서 명칭이 변경된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과 미국의 보호주의에 대항하기 위해 2019년 유럽연합과 맺은 자유무역 협정이 포함된다. 전략적 측면에서 이들정책은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FOIP)‘ 전략이라는 비전 형태를 띠고 있다. - P115
또한 인도-태평양은 일본,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인도로 구성된 ‘쿼드(QUAD, 4자 안보 협의체)‘를 강화하는 역할도 했다. 쿼드는 2020년 11월 인도양에서 4개국이 모두 참가한 합동 해군 훈련인 말라바르 2차 훈련을 실시했는데 이는 중국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중국과 이 지역 이웃 국가들(대만, 인도, 일본, 필리핀)과의 갈등을 더욱 심화시키고 지역 내 경쟁의식을 강화한 것 또한 사실이다. 따라서 지금 우리는 중국의 일대일로 계획과 이에 맞서 서구적가치를 수호하는 인도-태평양 전략 간의 정면 대결을 목격하고 있다. - P118
전면적인 위협
북한은 2017년 봄부터수십 차례에 걸쳐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이중거리 미사일은 일본과 괌에 있는 미군 기지에도 다다를 수 있을 정도다. 화성-14호와 같은 장거리 미사일의 경우 이론적으로는 미국에까지,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한다면 유럽에도 다다를수 있다.
_ 북한 중 - P128
트 현재 중국은 7,100만 명의 인구를 가진주강 삼각주의 거대 도시에 홍콩을 편입시1 키고자 한다. 스위스만큼 커다란 이 지역은GDP가 한국이나 스페인 수준에 달하며 미국의 실리콘밸리처럼 신기술을 주도하고있다. 사실상 중국은 세계의 공장이라는 타이틀을 이미 방글라데시나 베트남에 넘겨주었다.
_ 홍콩 중 - P130
이때부터 오스트레일리아는 인도, 일본, 베트남과 같은 역내의 다른 국가들과 관계를 강화하고자 했고 미국과는 그 어느 때보다도 더 강화된 군사적 협력을 기대하게 되었다.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2021년 9월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영국의 삼각동맹인 오커스(AUKUS)가 프랑스와 맺었던 계약을 파기하고 미국의 핵추진 잠수함을 매입하기로 결정하면서 대규모 외교 위기를 불러오게 되었다.
_ 호주 중 - P144
"중국은 우리의 고객이고, 미국은 우리의 친구입니다."
_ 호주 중 - P149
한편 러시아는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이탈리아나 한국보다 GDP가 낮다. 정치적으로는 중국을 제외하면 구소련 지역에서의 영향력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으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거의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_ 러시아 중 - P21
독일의 국경
1990년 이후 독일은 라인강, 오데르-나이세강, 알프스에서 발트해 사이에 속하는 더욱 좁아진영토를 갖게 되었다.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까지 아우르던 신성로마제국의 영토도, 러시아 국경지대까지 확장되었던1871년 독일제국의 영토도,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 원인이기도 했던폴란드회랑에 의해 둘로 나뉘어 있던 영토도 지금은 더는 독일 영토가 아니다.
_ 독일 중 - P24
이러한 사실이 냉전이 종식된 이래로 독일을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유럽의 중심에 있는 강대국"으로 만들었다. 유럽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는 지리적 위치와 경제적 힘이 더해지면서 독일은 이웃 유럽국가들의 기대를 한몸에 받고 있다. 이에반해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보다 뒤처져 있으며 영국은 끝내 2020년에 유럽연합을 탈퇴했다. - P25
블라디미르 푸틴은 나토를 러시아 국경에서 격퇴한다는 논리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감행했지만 결국 얻은 것은 그가 원했던 것과는 정반대의 결과였다. 나토는 30개 회원국에서 32개 회원국으로 확장되었고 새로운 존재 이유도 획득했다. 바로러시아라는 새로운 제국주의로부터 유럽대륙을 수호하는 것이다.
_ 스웨덴 중 - P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