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면소통 - 삶의 변화를 가져오는 마음근력 훈련
김주환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나는 편도체를 안정화시키는 훈련으로, 내 몸과의 내면소통에 기반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전두피질을 활성화시키는 훈련으로, 내 마음과 내면소통에 기반한 것이다.

_ 마음근력 훈련이 필요한 이유 중 - P51

마음근력의 세 가지 요소는 자기조절력, 대인관계력, 자기동기력이다. 사회정서 학습은 이 세 가지 마음근력을 강화하는 것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자기인식과 자기관리는 ‘자기조절력‘과, 대인관계인지와 대인관계기술은 ‘대인관계력‘과, 그리고 책임 있는 의사결정은 ‘자기동기력‘과 각각 연관이 있다.

_ 마음 근력 훈련이 필요한 이유 중 - P54

그러나 여러 연구결과들이 계속해서 밝혀내는 것은 어떤 분야에서든 높은 성취를 이뤄내는 사람들은 끈기, 집념, 동기, 회복탄력성, 열정, 집중력등의 비인지능력 수준이 높다는 사실이다.마음근력은 대표적인 비인지능력이다.

_ 마음근력 훈련이 필요한 이유 중 - P57

마음근력은 마치 몸의 근육처럼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 얼마든지 강화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음근력의 핵심 요소는 세 가지다. 목표를 세우고 꾸준히 노력하는 끈기와 집념을 발휘할 수 있는 자기조절력, 호감과 신뢰를 바탕으로 자신의 아이디어에 대해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고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대인관계력, 스스로 하는 일에서 의미와 재미를 발견하고 열정을 발휘하는 자기동기력이 그것이다. 이러한 마음근력을 강화하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적극적인 도전성과 역경을 새로운 도약의 발판으로 삼는 회복탄력성도 지니게 된다. - P63

대학과 각급 학교에서 제공하는 교육 커리큘럼의 상당 부분은 학생들의 미래 밥벌이를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가르치는 사람들의 현재 밥그릇을 위한 것에 불과하다. - P67

이러한 소음이 있는 한 텅 빈 자리이며 고요한 침묵과도 같은 배경자아를 알아차리기란 어렵다. 내면의 소음을 가라앉히고 고요함을 알아차리는 것이 명상의 첫걸음이다. 고요함은 외부에있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우리 내면에 있다. 그 고요함이 배경자아이고 ‘나‘의 본원적 모습이다.

_ 마음근력을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전통 명상 중 - P631

유발 하라리에 따르면 현대인의 가장 큰 마음의 병인 ‘불안‘은 농경사회에 진입하면서 미래에 대한 예측이 가능해졌다는 사실에서 비롯된 것이다. - P633

과거와 미래에 끌려가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지금 여기로 끌어오는 것이 배경자아의 내면소통이다. 늘 지금 여기에 존재하는 배경자아는 고요하고 평온하다. 그러한 상태를 지향하는 것이 내면소통 명상이다. - P6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