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디스토피아, 제조업 강국의 불안한 미래 - 쇠락하는 산업도시와 한국 경제에 켜진 경고등
양승훈 지음 / 부키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게다가 한국의 노사관계는 대개 적대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제조 대기업은 노사관계를 유연하게 푸는 대신 20년넘게 높은 수준의 자동화와 로봇 도입으로 생산직 숙련 노동자를 우회하는 방법을 찾아왔다. 결국 신규 산단이 입주하는 지역뿐 아니라 기존 모공장이 위치한 산업도시에서도 정규직 생산직 채용이 줄어들 수있다. - P85

그런데 최근 상황은 제조 대기업이 생산직 노동자의 숙련을 우회하거나 배제하는 방향으로 재편하고 있다. 생산직 노동자들 대신 고학력의 대졸 엔지니어를 많이 뽑아 그들의 숙련도를 높이는 것이 제조대기업의 관심사다. 저학력이지만 고숙련 공정을 담당했던 정규 생산직노동자의 자리가 자동화와 로봇에 의해서나 혹은 비정규직 노동자나저임금-저숙련 하청 노동자로 대체됐다. 중숙련 업무인 사무직 자리는 신규 채용 대신 ‘경력직 같은 신입‘이나 경력직을 통해 충원되거나, 전직을 바라는 엔지니어에게 돌아간다. 특히 산업도시에서는 사무직을 정규직으로 뽑지 않으려는 경향마저 있다. - P86

연구개발과 설계가 생산 현장과 분리되면 현장은 의미를 잃는다. 적대적 노사관계에서 자동화가 끝없이 전개되면 노동자의 숙련과 역할은 점차 사라진다. ‘구상과 실행의 분리‘가 뜻하는 것을 요약하면 그렇다. 제조업에서 연구개발, 제품 개발, 설계 등 구상 기능은 이전보다 훨씬 중요해졌다. 그에 비해 실행을 담당하는 공장과 조선소, 그리고 공장과 조선소에서 일하는 생산직 노동자의 역할은 줄었다. 더불어 도시라는 관점에서 구상 기능을 담당하는 연구소가 생산현장을 보유한 울산에서 점차 멀어져 수도권으로 향하고 있다. 제조업 내부에서 울산의 역할이 줄어들고 언제든지 대체 가능한 존재가 됐다는 말이다. - P91

경제 부문에서는 넓은 의미에서의 생산의 공간적 형태가 재조직화되었다. 다양한 형태의 분점 양성, 생산 조직에서 본사의 분리, R&D 기능의입지 분리 및 전문적인 생산자서비스의 수용 등과 같은 변화는 하나같이 경제 기능의 공간조직에 주목했고 각 기능을 연계하는 사회적 관계의 공간적 확장을 모색한 것이다. 경제 공간은 생산관계의 지리적 조직화로 구성되어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도린 매시, 2015:69-70) - P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