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븐시스터스는 1973년 유가 통제력을 잃었다. 그렇다면 가격결정권은 누구의 손에 떨어졌을까? 오펙이었다. 하지만 결정권만 오펙으로 바뀌었을 뿐, 결정 방식은 세븐시스터스가 만든 기존 과점 체계를 따랐다. 즉, 일단 공시가 되면 그 가격은 시장에서 존중받았다. 하지만 이 상황을 뒤흔드는 복병이 나타났다. 역시 원자재 중개 업체였다. 그들이 득세하면서 가격을 결정하는 힘의 주인공이 완전히 바뀌었다.

_ 황제의 대관식 중 - P119

"이게 힘과 권력의 문제란 것을 모르시네요. 돈이 곧 권력이고 힘입니다. 이게 전부입니다. 복잡할거 없어요."

_ 황제의 대관식 중 - P126

이제 런던이나 뉴욕에 있는 석유 메이저가 미국과 유럽 정부와의우정 속에 품위 있게 유가를 결정하던 시대는 끝났다. 무한 경쟁의 정글 혹은 도박장과 같은 로테르담 마켓이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원자재 가격을 결정하는 권한을 이어받았다.

_ 황제의 대관식 중 - P133

이른바 ‘제3세계‘로 불리는 중동, 아프리카, 중남미는 자원 국유화 바람을 타고 자국이 생산하는 원자재에 대한 통제력을 장악했다. 이렇게 된 이상 힘과 권력의 이동은 정해진 수순이었다. 과거 미국과 유럽의 석유 메이저, 광산 업체가 가진 힘과 권력은 제3세계 정부로 옮겨 갔다. 이런 변화는 원자재 중개 업체에 새로운 기회의 문을 열어줬고, 그들은 그 기회를 냉큼 붙잡아 원 없이 달콤히 빨아먹었다. 게다가 원자재 중개 업체는 강경한 목소리를 가진 많은 원자재 생산국에 ‘귀한 손님‘이 됐다. 그들 국가와 국제금융 시스템을 잇는 가교 역할을 했을 뿐 아니라 천연자원이 유일한 수익원인 정부와 위정자에게 달러가 흘러갈 수 있게 도왔기 때문이다.

_ 끝없는 탐욕 중 - P141

마크리치앤드코와 자메이카와의 거래는 원자재 중개 업체가 새로 획득한 권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 주는 최고의 교과서다. 그들은 한 손엔 유례없는 막강한 재정을 쥐고, 다른 손으로는 시장을 지배함으로써 자메이카 같은 국가의 경제적 약점을 이용했다. 서방 석유메이저와 광산 업체가 빠져나갔고, 규제와 감시가 거의 없었으며, 월스트리트가 이머징 마켓을 아직 발견하지 못한 틈새에서 원자재 트레이더들은 무제한의 자유를 즐기며 활개 쳤다.

_ 끝없는 탐욕 중 - P157

원자재 중개 업체가 시장에 대한 뛰어난 통찰과 이해를 바탕으로이익을 실현했다면 문제가 될 게 없다. 하지만 그들은 도덕적·윤리적원칙 대신에 경제적 이익을 기꺼이 선택했기에 문제가 된다. 남아공과의 거래와 관련해 문제 제기가 있을 때면 그들의 답변은 판에 박힌듯 같았다. 모든 거래는 합법적이었다는 것이었다.

_ 끝없는 탐욕 중 - P167

"사실 파생상품은 최종 이용자, 항공사, 선박용 연료유 소비자에게 팔려고 월스트리트가 만든 거죠. 이게 나중엔 원자재 시장에 동력을 넣었고, 1990년대엔 파생상품이 게임 그 자체가 됐습니다."

_ 황제 계승식 중 - P188

"우리를 월스트리트랑 엮지 마시죠. 걔넨 푼돈 하나에 사람 등쳐 먹을 궁리만 하는 애들이에요. 우리는 다릅니다. 우리는 분석에 따라 결정하고 끝까지 기다릴 겁니다."

_ 황제 계승식 중 - P1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