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에 오르는 마음 - 매혹됨의 역사
로버트 맥팔레인 지음, 노만수 옮김 / 글항아리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화가 지질의 변화 과정을 표현하는 데 적절한 도구인 까닭은유화 안료의 내부에 지질의 풍경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유화의 안료가 광물들로 제조되어서다. 유화는 15세기 벨기에 플랑드르의 화가들, 그중 특히 반에이크 형제가 처음으로각종 천연 안료와 아마인유를 혼합하려고 시도하면서 고안되었다.

_ 거대한 돌 벽 중 - P99

각각의 돌은 손안에 쥐고 있는 작은 우주였다. 문인석은 풍경의 은유가 아니라 그 자체로 풍경이었다.

_ 거대한 돌 책 중 - P101

지질학이 밝혀낸 황량한 시간의 팽창은 그 어떤 논거보다 설득력 있게 ‘인류의 하찮음‘을 보여주는 증거였다. 산의 침식과 붕괴를 이해한다는 건 인류활동의 불안정함과 유한함을 필연적으로 깨닫는다는 의미였다.

_ 거대한 돌 책 중 - P102

산은 이동한다! 존 러스킨도 이렇게 믿었다. 어쩌면 이것이 우리가 ‘마음의 산‘을 형성하는 데 그가 가장 중요하게 공헌한 점일 것이다.

_ 거대한 돌 책 중 - P104

히말라야산맥은 지구상의 유서 깊은 산맥들과 비교하자면 청춘기이기 때문에 그 날카롭고 거친 능선은 더 오래된 산맥의 민둥민둥하고 닳아빠진 정수리와는 사뭇 다르다.

_ 거대한 돌 책 중 - P113

알프스의 마법이란, 더욱더 산에 오르는 꾐에 빠지도록,
위로 향하도록, 끊임없이 위쪽의 매혹을 향해 올라가도록,
머지않아 애도하고 그리워할 사망자의 명단이 날이 갈수록 더길어지도록 하는.....….

- 프랜시스 리들리 하버갈, 1884년 - P119

산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삶, 그것은 사멸에 가까워질수록 더 치열해진다. 우리가 죽음에 거의 다다른 순간만큼 진정 살아 있다고 느끼는 때는 더 없지 않은가.

_ 골포를 좇아서 중 - P128

"벼랑, 큰 폭포, 설산과 같은 풍경 속에 있으면 처음에는 두려움과 공포심이 다른 모든 생각을 증폭시키고 격화시키다가 점차 고통으로부터 안전해질 수 있다는 암시가 밀려오면 두려움과 공포가 즐거움으로 탈바꿈한다.

_ 공포를 좇아서 중 - P133

그의 유명한 소책자는 거친 자연을 보고 감상할 수 있는 새로운 렌즈를 선사해주었다. 그는 이전에는 어렴풋하고 구별이 아리송했던 경외심에 거주지(바다, 사막, 산, 빙모)와 이름(숭고)을 부여해주었다.

_공포를 좇아서 중 - P135

"한순간 그들은 천사처럼 순결한 하늘에서 하느님과 함께 높이 서 있었다. 다음 순간 그들은 추락해 다시 고토로 돌아와 영원한 잠에 빠졌다."

_ 공포를 좇아서 중 - P147

강렬한 아름다운, 고도와 고독은 산이 가진 새로운 매력의 중요한 요소다. 하지만 이 때문에 발생하는 위험 요소를 무시할 순 없다. 산은 많은 위험과 곤경을 통해 자기 자신을 시험할 수 있는 즐거운 모험으로 가득 찬 환경을 제공했다.

_ 공포를 좇아서 즁 - P148

이따금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는 사실이 지금 살아있는 자들을 크게 고무시켰다. 왜냐하면 이것은 적어도 사망 가능성을 끊임없이 염두에 두도록 하고, 또한 죽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등산의 본질이었기 때문이다.

_ 공포를 좇아서 중 - P1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