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리스도인의 정의 - D. A. 카슨이 말하는
D. A. 카슨 지음, 송영의 옮김 / 국제제자훈련원(DMI.디엠출판유통) / 2011년 10월
평점 :
그리스도인의 정의
D. A. 카슨 지음 / 송영의 옮김
저자는 여기 4편의 빌립보서 강의를 소개하고 있다. 자신이 1994년 영국의 스켁니스에서 고난주간에 전했던 4편의 설교를 우리에게 전해 주고 있다. 그(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을 본받아 고난에 동참하며 부활의 권능에 이르고자 하는 사도 바울의 소망이 절절히 느껴진다.
오늘 새로운 단어를 배웠다. ‘적당한 복음’이다. 나의 상황과 형편에 맞춘 복음. 이런 변질된 복음에 무슨 생명력이 있을까? 그러나 온갖 합리화와 변명 그리고 게으름으로 범벅이 되어 내가 받은 복음을 왜곡시키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고 두렵고 떨림으로 다시 선다. 복음만이 내가 가장 먼저 앞세울 명분이요 가치임을 다시금 새긴다. ‘교제(fellowship)’의 의미가 ‘동업(partnership)’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즉 우리의 비젼을 공유하고 거기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기 위해 기꺼이 희생을 감당하는 것이 그리스도인의 교제다. 나를 우선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인을 먼저 생각하고 그에게 맞추는 삶이 그리스도인의 삶, 복음을 앞세우는 삶임을 다시 한 번 새긴다. 이것이 전임 사역자의 삶이 아니라 모든 그리스도인의 삶이어야 함을 저자는 강조하고 있다.
사도 바울을 삶이 위대한 것은 그가 이룬 업적보다도 그의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에 대한 자세 때문인 것 같다. 그의 관점은 자신이 어떻게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가에 있지 않고 오직 어떻게 복음이 진보를 이루고 전파되어 가는 가에 있었다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자신이 로마에 잡혀가 죽음을 당하게 되는 것이 인간적으로 무모해 보일지라도 이로 인해 복음 전파의 진보를 이룬다면 자신은 기꺼이 이러한 부당함도 받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자신의 영광과 안위를 생각하는 우리에게 도전을 준다.
우리의 삶의 기준이 어디에 맞추어 져야 할까? 사도 바울은 날마다 예수의 죽으심과 부활에 맞추어져 있었다. 그의 소망은 그의 죽으심과 부활의 권능에 동참하는 것이었다. 오직 이 길만이 예수 그리스도를 온전히 알아가는 것임을 그는 깊이 인식하고 있었다. 그의 가슴은 이로 인해 뛰었고 날마다 새로웠다. 그에게 고난이 유익했던 것은 그로 인해 그리스도의 고난에 동참하고 그가 누리는 기쁨과 은혜가 충만했기 때문이리라. ‘하나님 아버지, 복음의 사로잡히게 도와주소서. 그의 고난과 부활을 사모하게 도와주소서.’ 복음 전파의 삶이 고난이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에 동참함이며 그를 전인격적으로 알아가는 고난이다.
그러면 그리스인답게 행한 삶은 어떤 삶일까? 의견이 다를 지라도 복음을 앞세우고 일치점을 찾아가며 주변 문제는 자연스럽게 해결되도록 놔두라고 조언한다. 적극적으로 기뻐하며 자기를 앞세우지 않으며 염려하지 않고 대신 기도하는 삶을 살도록 말한다. 거룩함을 사모하며 자족을 배우고 감사하는 삶을 행하도록 권면한다. 말이 아니라 삶으로 그리스도인의 모습을 보여주어야 할 때다.
이런 저런 이유로 자기에 매여 있는 많은 그리스도인들에게 많은 경고를 주는 책이다. 다시금 자기를 돌아보고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새롭게 하는 시간을 가졌다. 오늘도 보이지 않는 세력과 싸워 승리하는 그리스도인의 삶을 살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제공 받아서 작성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