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진핑 - 시골촌뜨기에서 권력의 정점에 서다
소마 마사루 지음, 이용빈 옮김, 김태호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시진핑
소마 마사부 지음/이용빈 옮김
얼마 전 우리에게 서울 시장 선거에 따뜻한 바람(안풍)이 불었다. 우리에게는 바람이 불어야 리더가 세워진다. 이웃 중국은 우리가 정치 환경이 다르지만 바람보다는 경험과 능력을 통해 오랜 검증으로 지도자를 세우는 것 같다. 물론 인재 풀이 한정되어 있고 몇 개의 파벌에 의한 지배 방식이지만 변화보다는 안정을 추구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난 번 후진타오와 다음에 예상되는 시진핑 또는 리커창 등을 보며 오랫동안 만들어져 온 인물이며 이를 통해 다음 정치의 향방을 내다 볼 수 있게 하고 있다.
아버지 시중쉰의 영향과 본인의 열망이 오늘 날의 위치에 있게 한 원동력인 것 같다. 어린 시절 문화혁명을 통해 아버지의 몰락과 함께 시작된 혹독한 시련을 통해 연단된 그는 조금씩 자신의 역량을 키우고 아버지의 화려한 복귀를 통해 자신의 입지를 더욱 굳힌다. 그는 남다른 정치적 감각을 갖춰 잠시 물러날 줄과 나아갈 때를 냉철하게 판단해 왔다. 그가 황태자적 이미지를 갖고 있지만 서민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이 아마 중국 지도자들과 중국 사람들에게 호감을 갖게 하는 것 같다. 그러나 한 편으로는 자신은 청렴한 삶을 살아왔지만 그의 형제와 누나는 말이 많은 삶을 사는 것을 보고 왠지 씁쓸하다.
이 책을 통해 중국은 개인의 능력과 자질도 중요하지만 철저하게 인맥을 통해 사람들을 키우고 관리하는 것을 보게 되었다. 또한 현대에 들어야 학벌이 특별히 중요하게 여겨지고 모두가 석, 박사의 호칭을 갖고 있다. 그러나 모두 이해관계에 얽힌 감투임도 드러난다. 원래 중국 사람들이 교활하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지만 특히 저자는 사려 깊지만 교활한 카리스마를 가진 리더로 시진핑을 평가하고 있다.
중국은 경제에 있어서 가장 영향력이 큰 나라이다. 앞으로 정치, 외교적으로도 가장 영향력이 커질 나라이기에 그들의 차기 지도자가 우리에게 많은 관심이 쏠린다. 우리도 내년에 대통령선거가 있다. 우리는 과연 누구를 선택할까? 안개 속에 있다. 과연 어떤 바람이 불까? 그건 아무도 모르지만 바람은 이미 시작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모두에게 정직하고 따뜻한 바람이었으면 한다. 우리 모두가 눈앞의 이익에 속지 않고 더 멀리 보며 나보다 우리를 생각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 본다. 시진핑의 삶을 통해 어린 시절의 열망과 고난을 향한 적극적인 자세를 통해 느낀점이 많다. 시골 생활에 지쳐 도망쳐 나온 그에게 백부와 백모의 권면은 그의 삶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는 생각이 든다. ‘민중에 의지하지 않으면 누구에게 의지할 것인가? 민중을 두려워해야 한다.’ 이를 통해 그는 농촌에 뼈를 묻을 각오를 하고 시골로 내려간다. 이것이 그의 인생의 전환점이 된 것 같다. 젊음의 열정을 불태워야 한다. 거기에 우리의 희망이 있다. 다시금 고민해 본다. 열정! 열정! 젊음! 젊음!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제공 받아서 작성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