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잠실동 사람들
정아은 지음 / 한겨레출판 / 201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잠실동 사람들
정아은
며칠 전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이 책에 관한 저자의 인터뷰를 들은 적이 있다. 저자는 이 책의 주인공들을 만나보면서 느낀 것은 한 마디로 자신의 현 삶이 불안해서 자기가 알고 있는 삶의 방식대로 아이들을 교육시키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그 방법이 미래에서도 그대로 통한다는 보장이 없다고 하였다. 그렇다고 딱히 다른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영어에 몰입하고 열광하는 것이라고 했다. 우리는 어느 때부터인가 영어라는 블랙홀에 빠져 있다.
이 책에는 대입이라는 대 명제 앞에서 우리나라 최고의 입시 전쟁이 벌어지는 잠실과 대치동 사람들이 어떻게 생활하는 가를 자세히 보여준다. 초등학생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어머니들과 학교 선생님 그리고 영어 학원과 수학학원 그리고 영어 과외선생, 학습지 선생 그리고 가사 도우미와 아파트 단지 내의 커피전문점 사장과 가난 때문에 몸을 파는 대학생과 이를 이용하는 중년 남성 등이 등장한다. 이들의 삶이 우리의 현 삶임을 부인할 수 없으리라. 저자가 발로 뛰면서 살펴보았기에 더욱 그렇다.
자식을 위해서 모든 것을 쏟아 붓는 우리의 어머니들. 그것이 지나쳐 학교 선생님들을 사지로 몰아넣는 모습이 놀랍다. 초등학교에서 수업 거부라는 사태가 발생하다니 아무리 소설이라고 하지만 충격적이다. 아무리 돈이 지배하는 사회라고 하지만 한 가정의 가장이 어린 대학생을 돈으로 사고 연인관계로 생각하고 자랑스러워하는 지 지극히 자기중심적이고 이기적인 사회가 아닌가?
저자는 앞서 말한 인터뷰에서 자신이 어떤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현실의 문제점들을 온전히 드러내는 것에 의미를 둔다고 하였다. 이제 우리 각자 스스로가 오늘의 현실을 직시하고 하나하나 짚어보고 생각해 보아야 할 과제가 남았다. 아마 이 문제는 교육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의 부재이며 가진 자들의 탐욕이 문제이리라. 물론 부와 명예를 가진 자들의 부조리와 악함을 보고도 앞에서는 손가락질 하고 욕하지만 뒤돌아서면 부러워하는 우리 대다수의 대중들이 더 큰 문제이리라. 그러나 그들에게는 애시 당초 이를 극복할 힘이 없다. 그러기에 이를 아는 중산층을 부재는 우리를 더욱 비참하게 만든다. 오늘 날 중산층의 몰락은 어쩌면 그들 스스로 자초했는지 모른다. 그들 일부가 상류층으로 편입되었을 지 모르지만 대다수는 서민층으로 내려앉았을 것이다. 우리에게 공정한 경쟁은 요원한 것일까? 모두가 수긍하고 존경할 만한 인물들을 만들어 낼 수는 없을까? 오늘도 정치권에서는 능력 있는 사람은 다 그렇게 하는 것이라고 항변한다. 그 정도는 눈감아 주어야 한다고. 과거는 문제 삼지 말고 앞만 바라보자고.
저자는 글 전개를 입체적으로 한다. 세 사람의 대화를 각각의 입장에서는 다시 보여준다. 한 자리에서 벌어지는 대화가 각각 전혀 다른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생각되어진다. 물론 실제로는 우리의 삶이 이와 같으리라. 아프고 슬프다. 너무 일찍 경쟁의 사회로 밀려들어가는 아이들이 너무나 애처롭다. 이렇게 해야만 우리나라는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그러나 이제는 달라져야 하지 않을까 싶다. 이러다 노인들만 남고 젊은이들은 아무도 없을까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