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변화를 먹고 살아라
나카타니 아키히로 지음, 이선희 옮김 / 바움 / 2004년 3월
평점 :
품절


다소 실망스러웠다. 정말 이 책에서 저자도 이야기 하듯이 선입견을 갖고 이 책을 접근했기 때문일지는 모르겠다. 30대에 해야할 일들에 대한 책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이 책의 요는 30대에 변화를 먹고 살려면 책을 읽어라 였다. 사람의 부류를 피곤하니까 책을 읽는 사람과 피곤하니까 책을 읽지 않는 사람으로 구분하는 부분에서부터 걷기 싫어하는 사람은 책을 읽지 않는다는 작가의 주장은 공감할 수 없었다. 난 걷는 걸 싫어하지만, 책 읽는 건 좋하하므로.

그리고, 책을 한 주일에 한 권씩 낸다는 말은 실로 놀라웠다. 물론 저자는 평소에 글을 통해 일기를 쓰는 것을 이야기 하고 있지만, 저자가 정말 능력있는 작가라기 보다는 책이 좀 가볍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어떤 작가는 한 작품을 위해 10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는데... 물론 시간이 중요한 건 아니지만. 적어도 다른 사람에게 시간(독서시간)과 돈(책값)을 지불케 하려면 그만큼 투자가치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말하고자 하는 사항이 고농축액 상태이어야지 흰멀건한 물상태로는 좀 곤란하지 않나 싶다.

가벼운 마음에 쭉 읽어 나갔다. 한 1시간이면 족히 읽을 책이다. 나의 30대도 이렇게 가벼운 마음에 살아낼 수 있으면 좋으련만 그건 그렇지를 못하다. 책이 내가 살아가야할 30대에 직면할 모든 문제들의 해답을 풀어주지는 못하겠지만, 적어도 참고서 정도는 되어주지 않을까 싶다. 한국의 CEO 100인에게 독서에 대해 조사한 자료를 본 적이 있다. 정말 독서를 많이 했다. 시간이 날 때가 아닌 시간을 내어서. 심지어 안철수 사장은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 기다리는 시간 동안 책을 읽는다면 1년에 책 1권은 읽을 수 있다고 했다.

책의 내용이 너무 뻔한 이야기여서 일까? 부딪히기 직전에 피하면 배울 수 없다. 세상을 바꾸려면 의식이 바뀌어야 한다.... 이런 구태연한 이야기들 말이다. 하지만, 안다. 이렇게 단순하고 내 가까이에 있고 내가 알고 있는 사항들이 나를 변화시킨다는 것을. 이 책을 대하는 내 태도에 문제가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그 무엇. 경이롭고 획기적인 그 무엇을 기대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모든 책이 그러하듯 읽어볼만 하다. 하나가 되었든 둘이 되었든 얻음이 있으니까. 나도 이젠 양이 아닌 질의 공부를 해보고 싶다. 양적이 아닌 질적인 어른의 삶을 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