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혹하는 글쓰기 - 스티븐 킹의 창작론
스티븐 킹 지음, 김진준 옮김 / 김영사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대학 3학년이었던 것 같다. 하루는 친구가 비디오를 보러 가자고 했다. 뭘 볼지를 고민하던 중 친구가 뽑아 든 것은 '들로레스 클레이본’이었다. 스토리도 모른채 그저 친구가 보고싶다는 말 한마디에 보게 되었다. 비디오를 다 본 소감? 우... 나는 머리 아픈 건 싫다. 누군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스릴러를 본다는 데 난 섬득한 장면이 있는 건 그게 비디오든 책이든 피하는 편이다. 그래서, 스티븐 킹의 소설을 읽을 기회를 만나지 못했지만...
하지만, 참 이상하게도 '쇼생크 탈출'에서 탈옥하여 자유를 외치던 그 장면이 잊혀지지 않고 깊이 남아 있듯이 그 영화 역시 정말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 잔영이 남아있다. 그게 바로 스티븐 킹이 말한 유혹하는 글 덕택인가? 난 사실 스티븐 킹의 책을 읽어 본 적이 없다. 영화는 서너 편 보았지만... 그땐 그 비디오가 스티븐 킹의 소설을 영화화 한 것인지 몰랐다. 그렇게 스티븐 킹에 대해 잘 몰랐던 내가 이 책을 읽을 건 단지 어떻게 하면 글쓰는 법에 대해 알 수 있을까 하는 바램에서 였다.
진리는 아주 쉽고 단순한 것일까? 많이 읽고 많이 써라. 돈이 아닌 진짜 자신이 원해서 하는 일이어야 하고 중요한 건 주제가 아닌 스토리고 진실성이 있어야 하며... 난 아마도 획기적인 그 무엇인가를 바랬던 것 같다. 단지 그 무엇인가를 하면 꼭 그것만 하면 되는 마치 만병통치약 같은 거 말이다. 이 책을 덮었을 때는 좀 마음이 답답해 졌다. 정말 책만 많이 읽고 많이 쓰면 되는 걸까? 하는 의구심이 나를 짓눌렀다. 정말 훌륭한 작가, 위대한 작가는 타고 나는 것. 스티븐이 이야기 했듯 나 역시 공감한다. 정말 좋은 책을 읽을 때만 느끼게 되는 그 경이로움과 움추려듬. 하지만, 그는 약간의 희망의 빛은 남겼다. 노력하면 가능하다고...
어떤 책을 읽을 때면 그런 느낌이 든다. 어? 뭐 이 책이 베스트 셀러야? 뭐 그렇게 유식한 말을 쓴 것도 아닌데 말이야... 또 어떤 책을 읽을 땐 와~ 어쩜 이런 상황을 이렇게 멋지게 표현할 수 있을까? 나도 이런 글을 한 번 써 봤으면 좋겠다.하는 생각.
처음 도입부의 스티븐이 작가가 되기까지의 이야기는 좀 지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연장통과 창작론은 도움은 되었지만, 미국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는 좀 멀게 느껴지기도 했다. 마지막 인생론은 다소 이 책을 자서전으로 만들어 버린 것 같아 아쉬웠다. 정말 아쉬웠던 건 만약 이런 책을 한국 작가가 저술했더라면 좀 더 현실감도 있고 생생하게 공감하고 도움이 되었을 것 같은데 그렇지 못한 것이 아쉬웠다. 그래도 글쓰기를 희망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 읽어 볼 만한 책이라 생각한다.
가끔 내 안의 또 다른 내가 웅얼거릴 때가 있다. 무언가 말하고 싶어 안달이 나 있을 때가 있다. 지금은 그 때가 오기를 대비해 스티븐이 말한 연장통을 준비하고 녹이 슬지 않도록 기름을 둘러 잘 닦아 두어야 할 때 이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