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변신·시골의사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
프란츠 카프카 지음, 전영애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우리는 하나님께 감사 할 수 있게 됐어.”
그레고리 잠자가 죽자, 그의 가족들은 이렇게 말한다.
성실히 집안을 이끌어 나가던 일꾼, 그레고리 잠자는 어느날 아침 벌레가 되어 일어난다. 그의 엄마는 그런 그레고리를 보고 충격과 공포에 다가가지도 못한다. 그리고 아빠는 그레고리에게 화만내며, 폭력을 행사했다. 단지 동생만이 그레고리에게 동정을 보냈다. 그레고리가 돈을 벌 수 없게 되자 수입이 사라진 가족들은 모두 일터에 나간다. 그레고리는 그들에게 짐밖에 되지 못한다. 결국 가족들은 아무런 가치도 없이, 방해만 되는 그레고리가 사라지기를 바라고, 무자비하게 대한다. 그리고 그는 무가치한 가족의 짐인 존재로 죽음을 맞이한다.
그가 벌레가 된 이유는 무엇일까? 벌레는 아무런 쓸모없는 존재이자, 귀찮은 존재로 상징되고는 한다. 그레고리가 변한 것은 외모, 그리고 돈을 벌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한 것 뿐이다. 그러나 그는 사회에서는 물론 가족 안에서까지 벌레가 된다. 가족 안에서도 그는 그저 돈을 벌어오는 존재이지 밖에 못한 것이다. 그가 인정했듯, 그의 직업은 상당히 고달픈 것이었다. 그러나 참고 몸을 혹사 시켜 살아온 삶의 결과는 벌레가 되는 것이었다. 가족들은 분명, 그레고리 잠자를 사랑했다. 그러나 그들은 그레고리 자체가 아닌 ‘그레고리 잠자의 돈을 벌어 오는 능력’을 사랑한 것이다.
그레고리의 아빠는 그가 ‘변신’을 하자 친절했던 태도를 경멸과 멸시로 바꾼다. 폭력을 행사하고, 일꾼 하나가 사라졌다는 것에 불만을 표시한다. 그나마 가족중 동생만이 그를 ‘오빠’로 여겼지만, 그마저 가족의 경제 활동에 지장을 준 뒤 태도가 변한다.
책을 읽으며, 그레고리를 단 하나의 돈벌이로 밖에 보지 않았던 가족들의 모습에 소름이 돋았으나 우리 사회의 모습이 그들과 같았다. 물질만능주의에 묻혀, 가족도 그저 돈으로 밖에 존재하지 않는 사회를 새삼 느낄 수 있었다. 돈을 얻고자, 가족을 죽이는 일도 서슴치 않고, 사랑하지도 않으면서 돈이 많다는 이유로 결혼을 한다.
‘변신’은 이러한 우리들의 모습을 꼬집어 준 듯 하다.
정작 그러한 사람들을 비판하고 있는 나조차도 가족 중 누군가의 모습이 벌레로 변해, 돈을 벌어올 수 없다면 어떤 태도를 취하게 될까? 우선 그레고리의 엄마처럼 두려움에 다가가지 못할 것이요, 당장 궁핍해지고 모든 것을 줄여야 하는 상황에 불만을 표할 것이다. 단지 모습과 돈을 벌어온다는 능력만이 사라진 가족에게, 아직도 나와 한 가족인 사람에게 나의 태도는 많이 달라져 있을 것 같다. 내가 우리 가족을 사랑하는 이유가 그들의 ‘어떠어떠함’이었음을 발견하고, 고개가 수그러 든다. 그리고 나도 내 가족에게 그러한 존재가 되어 버릴까 두렵다.
‘변신’을 했다고, ’벌레‘가 되지 않는 사회였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