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이 잘 풀리는 철학적 사고술 - 니체가 알려주는 후회 없는 인생을 살아가는 법 ㅣ 아우름 28
시라토리 하루히코 지음, 박재현 옮김 / 샘터사 / 2017년 12월
평점 :
‘다음 세대를 생각하는 인문교양 시리즈’를 표방하는 ‘아우름’, 처음에는
왜 이렇게 좋은 시리즈를 늦게 알게 되었을까 했는데요. 서재를 쭉 돌아보니, 이미 저 역시 아우름의 책을 한 권 갖고 있었더라고요. 아무래도
제가 이해인 수녀님의 책을 좋아해서였겠지만 그래도 나름 위안을 얻어요. 아니죠. 이번에 읽은 <인생이 잘 풀리는 철학적 사고술>에서 강조한 니체의 운명애(amor fati)를 떠올리며, 위안이 아닌 행복을 잡아보려고 합니다.
이 책의 저자는 시라토리 하루히코인데요. 제가 이 분의 책을 꽤 읽은
편이고, 특히나 니체에 대한 저서를 챙겨 읽은 편이라서 그런지, 조금은
반복되는 느낌이 들기도 했어요. 하지만 글로 읽었을 뿐, 아직
제 삶에 녹여내지 못했기에, 더욱 자신을 돌아보는 마음이 들더군요. ‘왜
알면서 실천하지 못했을까?’ 라는 생각에 말이죠. 특히나
이 부분이 중요하게 느껴지는 것이, 마음과 현실은 분리시킬 수 없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달았기 때문이니다. 보통 현실과 이상이 다를 경우, 내 마음 같지 않다며, 한탄을 하는데요. 하지만 마음이라는 것은 자신의 말과 행동으로 표현될
때, 진짜 내 마음이 되는 것이라고 할까요? 그래서 단순히
알고 있는 것과 내 것인 것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요즘 제가 고민하는 것이 있어서, 다른 사람들과 상의도 해보고, 이런 저런 해결책을 나름 머릿속에서 시뮬레이션을 해보기도 했는데요. 책을
읽으며 문득, 제가 생각하는 것들의 중심이 저 자신이 아니라 상대였음을 깨닫게 되었는데요. 그냥 나 자신을 내 삶의 중심에 두고, 나의 행복을 추구하며 선택을
하면, 생각보다 문제가 쉽게 보인다는 것도 알게 되었고요. 왜
굳이 제가 다른 사람의 의도를 추측하고 계산하고 거기에 맞는 대응을 생각하느라 소중한 시간을 허비했을까라는 반성도 들었어요. 행복하게 사는 것, 어릴 때는 참 쉽게 느껴졌던 거 같은데, 어느 사이엔가 이런 저런 번민에 빠지면서 참 먼 길로 돌고 있는 거 같아요.
앞으로는 조금 더 명확하게 행복하게 살고 싶다라는 나만의 목표를 세우고, 그 길을 향해
일직선으로 나아가야 할 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