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은 유물에 있다 - 고고학자, 시공을 넘어 인연을 발굴하는 사람들 아우름 27
강인욱 지음 / 샘터사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부터도 고고학자하면 인디아나 존스를 떠올리는데요. 고고학에 접근할 수 있는 책이 많지 않다는 고고학자 강인욱의 이야기에 더욱 공감이 가더라고요.  그래서 <진실은 유물에 있다>를 읽으며, 어떤 면에서는 낯설고 신기했네요. 고고학자들에 대한 이야기도 많이 나왔는데, 그 중에 고조선에 관련된 비파형동검을 연구한 진펑이도 나오는데요. 학창시절에 마치 공식처럼 외웠던 거 같은데, 비교적 최근의 연구였다는 것에 놀랍기도 했고요. 또한 고조선 연구의 부찐, 그리고 고구려 연구의 자릴가시노바 같은 학자들이 기억에 남더라고요.  

그는 고고학을 과거의 유물을 통해 사람의 본질을 연구하는 것이라고 이야기해요. 고고학자들의 대부분의 시간을 차지하고 있는 유물을 정리하는 작업을 대신할 수 있는 세상에서 고고학의 미래가 더욱 밝다고 생각하더군요. 저 역시 동감하는 것이, 책을 읽다 보면 고고학은 과거의 현재를 나아가 미래까지 연결할 수 있는 학문이라는 느낌을 받았거든요. 그 중에 와신상담臥薪嘗膽에 대한 이야기가 있어요. 대를 이어온 앙숙지간인 오나라와 월나라 왕들의 칼이 발견되면서, 고고학이 이를 뒷받침하게 되었는데요. 2500년 전에 땅에 묻혔던 칼 날이 아직도 시퍼렇게 살아있다니, 그들이 품었던 복수에 대한 의지는 섶에 눕고 쓸개를 씹는다를 넘어 시간마저 초월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문득 들더군요. 이야기는 끝없는 대립 끝에 국력이 쇠하여 초나라에게 망한 오나라와 월나라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오월동주吳越同舟]’로 이어지면서, 남한과 북한의 갈등에 대한 우려의 시선으로 흘러가요. 조나라 혜문왕의 화씨의 벽의 고사에서 등장하는 인상여의 검이 백두산 자락에서 발견된 이야기 역시 그러했는데, 고고학의 의미가 어떤 것인지 이해가 되는 부분이었습니다.

매년 등장하는 고고학계의 3대뉴스가 있다고 해요. 그 중에 하나가 한민족의 기원 발견이었는데요. 고고학에서 끊임없이 연구하는 분야 중에 하나이기도 한 거 같더군요. 사실 고고학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에서 반복되는 이슈가 있는 거 같아요. 왜 그럴까 가볍게 생각해본 적이 있는데, 책을 읽으며 함께 생각해볼 수 있었어요. 여러 가지 연구와 가설이 쌓이고 쌓여서, 길을 찾아가는 과정이 아닐까 말이죠. 그래서 다음에 한민족의 기원에 대한 뉴스를 보면, 이전처럼 ???’라고 반응하지 않고, 노력하고 있구나 하며 응원하게 될 거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