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라서 좋다 - 두 여자와 반려동물의 사랑스러운 일상의 기록들
김민정.조성현 지음 / SISO / 2017년 2월
평점 :
절판
애견인과 애묘인의 사랑스러운 일상 <너라서 좋다>
좋은 대학에 탄탄한 직장, 마치 이 것만 해내면 행복해질 것처럼 생각하지만, 여지없이 나타나는 다음 단계가 있다. 그렇게 정해져 있는 코스대로
살아 가기 위해 노력하다 보면, 행복은 차지하고 정말 이 길이 과연 끝나기는 할는지 의문이 들 때가
있다. 이 책의 저자인 김민정, 조성현 역시 그러했던 것
같다. 그런 두 사람에게 나타난 것은 바로 자신들과 함께 살아가는 개와 고양이의 행복이었다. 나 역시 반려견과 행복한 추억을 많이 쌓아왔기 때문에 정말 많이 공감하면서 읽었던 책이다. 그리고 왜 몰랐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스콧 니어링의 말처럼
덜 갖고 더 많이 존재”하는 법, 혹은 “안지아 미즈마루가 마음을 다해 대충 그림을 그렸다”는 것처럼 살아가는
법을 배우기 위해서는 그저 시선을 옆으로만 돌렸으면 되었는데 말이다. 그리고 내 옆에 행복이 가득했는데
말이다. 문득 ‘파랑새’라는
동화의 주인공이 된 느낌마저 들었다.
얼떨결에 나의 반려견을 만나게 되었을 때, 나는 일단 시츄에 대한
전문서(읽다보니 정말 전문서라는 말 밖에는..)와 강아지를
키우는 법에 대한 책을 사들였다. 마치 책이 나에게 길을 알려줄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도 언급한 그대로 “흥분했지만 내용 없는 열정이었고, 많이 알았지만 깨달음 없는 지식”이었다. 정말 온 몸으로 부딪치고, 수없이 토라지고, 수없이 행복하고, 수없이 울화통이 터지고, 수없이 웃음보가 터져야 알 수 있는 것이었다. 심지어 그 다음에
만난 말티즈와 푸들 아니다 견종과 상관없이 각자 성격도 다르고 원하는 것도 다르고 취향마저 확고하던지 말이다. 복댕이와 짱을 우애좋은
톰과 제리로 비유하는 것이 절로 이해가 갈 정도였다.
마치 초능력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하여 ‘소머즈 키위’라고 불리지만, 막상 ‘키위, 일로와!’라는 고성만은 듣지 못하는 고양이키위를 보면서도 ‘개와 고양이가 닮은 점이 많네’라며 웃곤 했다. 그러다가도 같이 사는 다른 고양이 요다를 다정하게 부르면, 얼른
달려오는 질투만은 키위의 모습도 정말 나와 함께 살았던 질투견 구름이를 떠올리게 한다. 하지만 막상
달랐던 점, “가자”라는 한마디면 좋아서 날뛰는 강아지들과
달리, 그 말이면 자연스럽게 사라져버린다는 고양이라니, 웃기지만
그게 또 매력포인트가 아닌가 싶다.
두 사람과 함께하는 강아지들과 고양이들의 이야기를 읽다 보니, 참
행복했다. 그리고 우리가 죽으면 “먼저 가 있던 반려동물이
마중 나온다”는 말 나 역시 너무나 믿고 싶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