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브스뉴스 - 뉴스는 이야기다
SBS 스브스뉴스팀 엮음 / 책읽는섬 / 2016년 10월
평점 :
모바일 플랫폼과 스토리텔링을 성공적으로 결합한 ‘스브스 뉴스’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돌아다니다 알게 된 말 그대로 재미있는 뉴스였다. 특히
‘지적갈증과 감성적 허기를 채워주는 뉴스의 혁명’이라는 설명이
딱이다 싶다. 그런 스브스뉴스가 일회성 브랜드로 한때의 유행처럼 지나가게 될 것인지, 아니면 대중이 사랑하는 ‘러브 마크’가 될 것인지를 확인하고 싶어서 책으로 출판되게 되었다. 숙종의 고양이
사랑이라던지, 코난도일가 갖고 있던 셜록 홈즈의 딜레마라던지, 성서에는
예수가 12월 25일에 태어났다는 기록이 없다던지 예전에
봤던 내용들을 책으로 다시 보는 것도 재미있었다.
그리고 삼겹살에 대한 이야기가 기억에 남는다. 2016년을 살아가는
한국인에게 삼겹살의 의미를 가장 잘 보여주는 말로 김준현의 “삼겹살은 약국에서 팔아도 돼요”가 있다고 한다. 그런데 1980년대
매일경제에 실린 양돈업계의 근황을 전한 기사를 보면 삼겹살은 버려지는 돼지고기 부위였다는 것이 놀랍다. 정말
빠른 시간 안에 한국인의 마음을 사로잡은 음식으로 자리잡은 것이 아닌가 한다. 먹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더 하자면, 위는 뇌의 명령에 따라 움직인다는 것이 흥미로웠다. 밥배, 간식배가 따로 있다고 말하는 것을 듣곤 했지만, 실제로 그러하다는
것은 이번에 처음 알았다. 우리가 간식을 보고 ‘먹고 싶다’ 라고 생각하면, 뇌의 명령에 따라 위가 몸을 늘려 공간을 만들어
낸다고 한다. 이는 간식뿐 아니라 술도 마찬가지이다. 간식이나
술 같은 기호식품에는 이런 방식이 적용되지만, 필요에 의해 섭취하는 물은 그렇지 않다. 생각해보면 물을 마시라고 알람을 울려주는 어플은 있지만, 간식을
먹으라고 챙겨주는 것은 없지 않은가? 식탐과의 싸움은 정말 진정한 나 자신과의 싸움인가보다.
나이팅게일하면 백의의 천사, 현대 간호학의 창시자라는 수식어가 떠오른다. 나이팅게일이 크림전쟁 당시 크게 활약하면서 생겨난 것이다. 그런데
크림전쟁 당시 우리가 알지 못하는 간호사가 한 명 더 있었다. 바로 영국의 식민지였던 자메이카에서 온
메리 시콜이다. 그녀는 전쟁터에서 ‘병사들의 어머니’라고 불렸다. 간호인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고 간호사로 지원했던 그녀는
피부색을 이유로 거절당하게 되고, 결국 자비로 최전방에 치료소를 차리고 병사들을 도왔다고 한다. 이번에 처음 알게 된 인물이지만, 기억해두고 싶고, 그녀에 대한 이야기를 더 알고 싶어지기도 했다. ‘B+감수성과 저널리즘’을 결합했다는 스브스 뉴스, 읽으면 읽을수록 재미있고,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어지게 만드는 것을 보면, 아무래도 ‘러브마크’가 되지 않을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