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명견만리 : 미래의 기회 편 - 윤리, 기술, 중국, 교육 편 ㅣ 명견만리 시리즈
KBS '명견만리' 제작진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16년 9월
평점 :
명견만리(明見萬里), ‘뛰어난
통찰력으로 미래의 일을 환하게 살펴서 알고 있다’라는 사자성어를 주제로 다양한 강의를 진행하는 KBS프로그램이다. 그 중에 ‘미래의
기회’라는 테마를 가진 윤리, 기술, 중국, 교육편이 나왔는데, 1편에
이어서 정말 유익한 책이다.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김영란법’에
대한 이야기도 있었다. 가끔 친구들이랑 김영란법에 대한 기사를 보면서,
‘자기 밥을 자기 돈으로 사먹는 것이 그렇게 낯선 일인가’라는 이야기를 나누곤 한다. 그만큼 김영란법이 적용된 후의 격렬한 반응과 부정적인 예측이 놀랍기 때문이다.
각국의 부패인식지수를 살펴보면, 대한민국은 경제규모는 선진국에 가까운 것에 비해, 부패지수는 개도국의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한다. 또한 ‘엘리트카르텔’ 유형에 속하는 국가로 분류되며, ‘여전히 공공분야의 부패가 일반적인 국가’라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요즘의 상황을 보면 과연 ‘엘리트카르텔’ 수준인가 싶을 정도로, 황당한 기사들이 쏟아지곤 한다. 과도한 기업의 접대비나 뇌물을 통해 일을 해결하는 것이 당연시 하다 보면, 거기에
대한 사회적 비용이 커질 수 밖에 없다. 심지어 이 법이 통과되면 경제적으로 손실이 날 것이라는 예측도
쏟아졌는데, 비슷한 수준의 규제를 하고 있는 미국, 일본
등의 나라들은 어떻게 버티고 있는 것인가 하는 아주 1차원적인 의문이 생기기도 했다. 차라리 이런 법으로 사회구성원 사이에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면, 우리나라의
미래가 더욱 밝아지는 것이 아닌가 한다.
2016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의 주제는 4차 산업혁명이었다고 한다. 이에 대한 이야기를 읽다 보면, 우리나라가 거기에 대한 준비가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또한
1990년대 태어난 중국의 청년을 일컷는 ‘주링허우세대’들이 새로운 창업을 위해 도전할 수 있게 해주는 중국정부의 투자와 지원을 보면서도 그런 생각을 했다. 우리가 준비해야 할 미래를 위해 일본의 ‘사토리세대’와 비슷한 ‘N포세대’가
더 이상 늘어나지 않기를 바라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