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슈퍼차이나 - KBS 특별기획 다큐멘터리
KBS <슈퍼차이나> 제작팀 지음 / 가나출판사 / 2015년 4월
평점 :
이제는 미국과 함께 G2로 어깨를 나란히 한 중국이 갖고 있는 슈퍼 파워를
다각도로 살펴본 KBS 신년 특별 기획 8부작 ‘슈퍼차이나’, 방송 당시에도 큰 화제를 몰고 왔던
다큐멘터리였다는데, 이번에 책으로 만날 수 있었다. 중국의
자본, 기업, 내수시장,
군사력, 문화, 공산당 리더십 그리고
중국대륙이 갖고 있는 가치까지, 정말 다양한 분야로 중국을 만나볼 수 있었고, 또 전문가들의 명쾌한 분석이 더해져 중국의 영향력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었다.
‘런둬리량다’라는 마오쩌뚱의
출산장려운동으로 거대한 노동인구를 형성할 수 있는 베이비붐 세대가 결국 중국의 경제적 성공을 뒷받침 할 수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세계의 공장’이라는 별명처럼 중국은 수출 중심의 경제체제로 많은 이득을 봤다.
하지만 세계 시장의 5분의 1에 달하는
내수시장을 구성한 그들이 없었다면, 분명 한계에 부딪치고 말았을 것이다. 그리고 거대한 중국의 인구는 아르헨티나의 대초원을 콩의 재배지로 바꿀 정도로 그 자체만으로도 영향력을 충분히
행사하고 있다. 중국인들은 돼지고기를 즐겨먹는데, 그
돼지를 사육하는데 있어 콩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국은 그렇게 축적한 자본으로 자신의 영향력을 넓혀나가고 있다. 세계
영화 배급망의 20%를 목표로 달리고 있는 완다그룹이 첨병이 되어 문화산업에 힘을 키워나가고
있다. 한편으로는 자신들과의 외교관계가 없는 나카라과의 운하를 건설하고 거기에 대한 운영권리를
차지하기 위해 홍콩의 작은 사회사를 내세워 계약을 따내기도 한다. 또한 저가의 제품시장을 갖고 있는
아프리카, 그리고 고가의 제품군을 원하는 유럽시장을 섭렵할 수 있는 지정학적 이득을 갖고 있는 아테네
항을 비롯하여 재정위기에 빠진 그리스의 국유자산을 매입하고 있다.
이렇게 해외에서 자신들의 입지를 다지고 있는 한편으로는 농촌까지 경제성장의 활기가 전해질 수 있도록 중국 전역을
거미줄처럼 연결하는 고속도로를 깔아서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다. 또한 거대한 네트워크로 움직이는 중국
공산당 역시 빠르게 변해가는 현대사회에 흐름에 발맞추어 유연하게 움직이고 있다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사실 거대한 대륙과 거대한 인구, 거기다 우리와 다른 체제를 갖고 있는 중국을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다. 농담으로 중국의 인구를 알 수 없는 이유가 조사를 하는 사이에도 끝없이
인구가 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지 않는가? 그래서 중국의 현재와 그들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을 잘
짚어주는 이런 책이 있어서 중국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