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데이 모닝스
산제이 굽타 지음, 최필원 옮김 / 느낌이있는책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첼시 제너럴 병원, 신경외과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먼데이 모닝스> 그 곳에서 세상에서 가장 복잡한 구조물인 뇌를 다루는 의사들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정말이지 500페이지 가까운 책을 단 한번도 내려놓을 수가 없었다. 이미 이 책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동명의 미국드라마를 작년에 봤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솔직히 드라마보다 책으로 접했을 때 훨씬 더 재미있고, 더욱 의사들의 고뇌와 삶을 잘 느낄 수 있었다고 할까?

첼시 제너럴 병원의 신경외과에는 아주 특별한 코드가 있다. 그래서 유수의 의사들이 이 병원을 지원하게 되는데 그것은 바로 311.6이라는 호출. 월요일 오전 6시에 311호에서 열리는 모임 먼데이 모닝스이다. 이 모임은 호출을 받은 사람만이 참여할 수 있는데, 생명을 살리는 역할을 하지만 한편으로는 실수를 통해서 배울 수 밖에 없는 의사들이 모여서 자신들의 실수에 대해서 토론하고 또 그를 통해 완벽한 체계를 갖추어 나가는 장이다.

하지만 그 것이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이야기가 시작되고 처음 열린 M&M에서는 천재적인 신경외과의사이자 병원의 스타라고 할 수 있는 타이 윌슨이 재물(?)로 받쳐진다. 그리고 타이는 한동안 수술을 하는 것을 어려워할 정도로 본인에 대한 믿음을 잃게 되기도 한다. 그 다음에 등장했던 의사도 기억에 남는다. 그는 실수를 자주 하던 의사인데, 그를 주제로 한 모임은 발전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의사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한 그런 자리였다. 그 자리에서 한 의사가 낮은 징계에 항의를 하며 환자의 부고를 읽던 장면이 있었다. 그저 환자 누구로 기억되던 사람이 누군가의 부인이고 누군가의 엄마이고 누군가의 딸로 이야기되는 모습에 나도 모르게 눈물이 고이고 말았다.

환자도 그러하지만 의사들도 그러하다. 한국인 의사 성박. 사실 드라마를 볼 때 처음에는 그를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았다. 지나치게 경쟁적이고 강박적인 느낌을 주었다고 할까? 한국에서 최고의대를 졸업하고 의사생활을 하다 미국에 와서 다시 그 과정을 반복한 의지의 인물이기는 하지만 말이다. 하지만 그는 뇌종양 중에 최악으로 꼽히는 교모세포종에 걸리게 된다. 다행히 수술이 잘 되고 아무도 기대하지 못한 순간에 그가 M&M에 등장했을 때 많은 의사들이 기립박수를 치는 모습은 참 감동적이었다. 물론, 내가 흥미로워하던 인물 조지를 위기에서 구해낸 상황이라 더 좋아한 것도 있었지만 말이다. 상당히 전형적인 인물로 그려질 줄 알았던 성박의 변화도 인상적인 작품이기도 하다.

내가 가장 좋아했던 인물. 미식축구 선수 출신이라 하지만, 선수시절보다 더 큰 덩치를 갖고 있는 조지. 심지어 그저 의자에 앉았을 뿐인데 의자가 부서질 정도였다. 그래도 재기넘치는 혹은 공격적인 유머를 즐기며 응급실을 장악하던 그를 늘 응원했는데. 사실 모두가 해피엔딩일수는 없겠지만, 왜 하필? 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그래도 뭐처럼 잘 짜이고 의학소설을 만났다고 할까? 입체적인 인물들과 흥미진진한 에피소드로 꽉 채운 이 책은 두고두고 읽어도 재미있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